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고는 한국이 1980년대 미국이 주도하는 전략방위구상(SDI)에 참여를 결정하였으나, 이후 해당 결정이 무산된 사건에 대하여 자율-안보 교환 모델에 입각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한국이 동맹국인 미국으로부터 자율성을 양도하는 대가로 기대하는 안보 이익과 관련하여 기존의 군사적 안보 이익뿐만 아니라 경제적 영역의 안보 이익까지 포함될 수 있음을 반영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는 80년대 한국이 미국 주도의 SDI 참여라는 자율성 양도 결정에 있어 과학기술역량 육성이라는 경제적 동기가 그 중심에 자리잡고 있었으며, 이는 당시 수출지향적이고 중공업 및 전기전자산업 위주의 한국 산업구조가 직면한 상황이 직접적인 원인이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한국의 결정이 결국 무산된 것은 당시 미국의 국내정치적 상황이 한국이 SDI 참여를 통해 주요 과학기술을 이전받는 데 불리하게 전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고는 자율-안보 교환 모델이 거래 행태로서 동맹국 간에 협력이 무산되는 원인에 대하여 함의를 제시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해방 후 단군 인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nge in Dangun's perception after liberation : weakening Dangun nationalism and spreading chauvinism / 단군 민족주의의 약화와 국수주의의 확산 전재호 p. 1-33

비대칭 동맹에서 자율-안보 교환 모델의 적실성에 대한 비판적 연구 : The feasibility the of autonomy-security trade-off model in an asymmetric alliance : South Korea's strategic decision to participate in the strategic defense initiative in 1988 / 1988년 한국의 SDI 참여 결정과 이후 전개를 중심으로 김재학, 김성현, 배종윤 p. 35-71

탈냉전기 주한미군과 주일미군의 역할 변화 = The role change of USFK and USFJ in the post-Cold War era 임기훈 p. 73-106

2018년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에 대한 구조적 분석 : Why did the peace process on the Korean Peninsula begin in 2018? : structural variables and the future of U.S.-North Korea relations / '제재의 정치'와 북한의 미래 안경모 p. 107-142

러시아의 영토확장 행동에 대한 나토와 미국의 군사적 대응 연구 : A study on NATO and US military reactions to Russia's territorial expansion : focusing on the 2008 Russo-Georgian War and 2014 Russo-Ukrainian War / 2008년 러시아-조지아 전쟁, 2014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중심으로 남보람 p. 143-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