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산재환자의 업종별 작업능력평가 세부항목 분석 : 한국표준산업분류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sub-items of functional capacity evaluation in work-related patients : based on the Korean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 노동희 ; 조은주 ; 강성구 ; 정인선 ; 김옥형 ; 오태형 ; 성준모 ; 조현주 ; 조남순 ; 김진홍 ; 이강표 1

국문초록 1

I. 서론 2

II. 연구 방법 3

1. 연구 설계 3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3

3. 연구 도구 4

4. 자료 분석 4

III. 연구 결과 4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

2. 작업능력평가 세부항목 분석 4

3.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른 들기 및 옮기기 세부항목 분석 5

4.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른 자세유지 세부항목 분석 10

5.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른 밀기·당기기 및 작업장 이동 세부항목 분석 10

IV. 고찰 10

V. 결론 12

References 12

Abstract 16

초록보기

목적 : 본 연구는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라 산재환자의 작업능력평가 세부항목 실시 데이터를 분석하여 업종별 직장복귀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 후향적 코호트 조사 연구로 근로복지공단 소속병원의 전자의무기록을 활용하여 2018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작업능력평가를 실시한 2,145명의 산재환자의 기초분석과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라 건설업, 제조업, 전문ㆍ기술업, 시설 관리 및 서비스업, 운송업,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으로 분류한 후 대상자들에게 시행된 작업능력평가 세부항목의 수행 빈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 작업능력평가에 참여한 대상자는 남성 1,798명(83.8%), 여성 347명(16.2%)이었으며, 연령대는50-59세가 790명(36.8%)으로 가장 많았다. 산재 요양시작 이후 평균8.83 ± 5.32개월 시점에 평가가이루어졌다. 제조업 692명(32.3%), 건설업 642명(29.9%), 전문ㆍ기술업 308명(14.4%)이 대부분이었고 손상 부위는 하지 손상이 736명(34.3%)으로 가장 많았다. 작업능력평가 시 포함된 세부 평가항목중 어깨높이에서 밀기ㆍ당기기, 작업장 이동에서 걷기, 기어가기, 자세유지평가에서 무릎 꿇기 작업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직업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건설업에서 들기와 옮기기의 수행 빈도가높았고, 가장 무거운 무게까지 평가를 했으며, 제조업에서는 자세유지평가 빈도가 높았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작업능력평가에 참여한 산재환자의 동향과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라 실시되는 작업능력평가 세부항목 차이를 확인하여 임상에서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을 사용한 인지 중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cognitive rehabilitation using VR and AR : focusing on occupational therapy / 작업치료분야를 중심으로 하예나, 유은영 p. 1-22

보기
치매환자의 우울을 개선하기 위한 비약물 프로그램에 관한 문헌 고찰 = A literature review of non-drug intervention programs for depression in dementia patients 김정은, 홍익표 p. 23-34

보기
라이트 박스 훈련을 통한 조기 중재가 자폐 성향 아동의 발달 수준에 미치는 효과 = Effect of early intervention through light box training on developmental level in children with autistic features 권소현, 안시내 p. 35-52

보기
Movement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2(Movement ABC-2)의 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 = Validity and reliability of Movement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2(Movement ABC-2) 사재덕, 박혜연, 유은영, 이지연 p. 53-67

보기
산재환자의 업종별 작업능력평가 세부항목 분석 : Analysis of sub-items of functional capacity evaluation in work-related patients : based on the Korean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 한국표준산업분류를 중심으로 노동희, 조은주, 강성구, 정인선, 김옥형, 오태형, 성준모, 조현주, 조남순, 김진홍, 이강표 p. 69-84

보기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일반적 특성과 인지기능에 따른 공간관계지각 비교 = Comparison of perception of spatial rela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ognitive function of acute stroke patients 황도연, 박진혁, 이성아 p. 85-95

보기
앱(App)기반의 시지각 훈련을 병행한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장애아동의 주의집중력, 시지각 능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combined with app-based visual perception training on attention, visual perception ability, and daily living abil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권미화 p. 97-107

보기
시청각 피드백 기반 시지각 디지털 페그보드 훈련이 좌측 편마비 환자의 시각-운동 통합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audiovisual feedback-based visual perceptual digital pegboard training on the visual-motor integration and cognitive functioning of patients with left hemiplegia 김민호, 김영근, 김경미, 장문영 p. 109-125

보기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태블릿기반 사회성평가 개발 및 예비타당도 연구 = Development and pilot validation of tablet-based social assessment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주유미, 정진욱, 김정호, 정서원, 조선영 p. 127-142

보기
일상생활 활동을 위한 상지 보조기기에 관한 체계적 고찰 = Systematic review on upper extremity assistive technology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이윤환, 문광태, 김종배 p. 143-163

보기
재활치료시기가 산재 수부손상환자의 손 기능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the timing of hand rehabilitation on hand function in patients with hand injury owing to work-related injuries :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 후향적 조사연구 노동희, 차윤준, 조은주, 정인선, 조한별, 감경윤 p. 181-193

보기
가정의 감각환경에 기반한 학령전기 아동의 감각처리반응 평가 도구 개발 = Development of a sensory processing evaluation tool for preschool children based on sensory environment at home 신민경, 유은영, 김종배, 박혜연, 이재신, 이지연 p. 195-207

보기
여가활동 참여에서 수·전동휠체어 사용자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user experience of manual/electric hybrid wheelchairs in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 focusing on focus group interview /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중심으로 김동완, 우지희, 장완호, 이윤환, 김종배 p. 165-179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