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소비자 내러티브 분석을 통한 SNS 광고 소비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대학생 이용자들을 중심으로 = Understanding consumer's consumption experiences of SNS advertising based on consumer narratives : focused on college students / 김봉현 ; 조수선 1

목차 1

국문초록 1

I. 연구 배경 및 목적 2

II. 이론적 논의 4

III. 연구 방법 7

1. 데이터 수집 방법과 절차 8

2. 데이터 분석 과정 9

IV. 연구 결과 9

1. 광고 수용관련 주제 : 양면의 복합적 감정과 인식 10

2. 광고의 의미관련 주제 : 일상적 삶의 맥락과 연결된 광고 소비 13

3. 광고의 용도 : 정보적 활용에서 사회적 활용으로 15

4. 총체적 경험으로서의 광고 : 통합의 공간, 노출부터 구매까지 16

5. 프라이버시 관련 주제 : 맞춤광고의 양날의 칼 18

IV. 결론 및 시사점 20

참고문헌 24

Abstract 28

초록보기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의 핵심 이용 층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SNS 광고 이용 및 소비 경험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들을 질적으로 해석하고 광고 소비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특히, 소비자의 내러티브 사례들을 토대로 본 연구는 광고 소비경험의내용들을 구성하는 일련의 유형 혹은 주제(theme)들이 존재하는지를 파악하는데 주된 초점을맞추고 있다.

소비자 내러티브 사례를 분석한 결과, 대학생 소비자들은 자신의 하루가 SNS로 시작해 SNS 로 마무리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소셜미디어 이용이 개개인 일상의 한 부분으로 확고히 자리하고 있었으며, SNS 광고 및 광고 콘텐츠의 소비 과정에서 광고에 대한 양면적이면서도 때로는 매우 상반되는 복합적인 인식과 감정을 경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욱이 귀납적 주제 분석 방법을 적용해본 결과,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의 주제 즉, ① 광고 수용관련 주제, ② 광고 의미관련 주제, ③ 광고의 용도, ④ 총체적 경험으로서의 광고, ⑤ 프라이버시 관련 주제가 도출되었다. 결과적으로 모바일을 통한 SNS의 이용이 일상 그 자체가 된 상황에서 대학생들은 광고 및 광고 콘텐츠 소비의 의미는 개인의 일상과 맞물려 사회생활 맥락 내의 체험으로서 상징적으로 표현되고 광고의 소비경험 역시 삶의 일상 속에서 개인적 차원은 물론, 사회적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연관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소수의 의견은 항상 침묵하는가? 댓글의 예의·무례함과 소수 의견 지지비율이 소수 의견 입장자의 의견표현 의지에 미치는 영향 = Are minority opinions always hampered? The influence of civil/uncivil comments and percentage of minority opinions on the willingness to express opinions 구유모, 이장근, 김용환 p. 3-36

보기
소비자 내러티브 분석을 통한 SNS 광고 소비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Understanding consumer’s consumption experiences of SNS advertising based on consumer narratives : focused on college students / 대학생 이용자들을 중심으로 김봉현, 조수선 p. 37-64

보기
IFRS 도입 이후 이익조정방법이 원가의 비대칭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earnings management method on the asymmetric cost behavior after IFRS adoption 백혜원 p. 65-88

보기
공공기관 경영평가 지표체계에 대한 형성적 메타평가 = Formative metaevaluation on the management evaluation indicator system of the public institutions 곽채기, 박현식 p. 89-112

보기
노인의 성별에 따른 범죄피해두려움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fear of crime victims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elderly 현재섭, 최응렬 p. 113-132

보기
보호서비스 제공인력의 폭력 경험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violence experience on job satisfaction among protection services workforce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supervision / 슈퍼비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정은, 박세경 p. 133-160

보기
Economic returns from internet use : 인터넷 사용의 경제적 효용 : 패널자료 분석 / analysis of three panel data sets Sangmoon Kim, Philip Inyeob Ji p. 161-182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