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학교부적응 청소년을 대상으로 콜라주 미술치료를 실시하여 학교적응 변화를 살펴 본 사례연구이다. 연구대상은 만 17세의 고등학교 1학년 여학생이다. 주 1회 60분 총 15회기로 콜라주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콜라주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학교부적응 학생의 학교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표로 진행하였으며 연구대상의 심리적인 수준을 평가하기 위하여 학교적응검사와 학교생활화(KSD)검사를 실시하였다. 콜라주 미술치료에 따른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심리·행동적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각 회기별 언어 및 비언어적 행동관찰과 콜라주 작품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콜라주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학교적응 척도와 투사적 그림검사의 사전사후 결과에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또한, 본 사례를 통하여 콜라주 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자기표현, 자기이해, 자기통찰은 물론 타인과의 상호작용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 case study examining changes in school adjustment by conducting collage art therapy for a school maladjustment adolescent.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17-year-old high school freshman. Collage art therapy was performed once a week for a total of 15 sessions for 60 minutes. The collage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with the goal of improving the school adjustment of the school maladjusted student, and the school adaptation scale and the Kinetic School Drawing (KSD)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psychological status of the study subjects.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changes of adolescents maladjusted to school following collage art therapy, verbal and non-verbal behavior observations and collage works were analyzed for each s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collage art therapy program showed positive changes in the pre- and post- results of the school adjustment scale and KSD. In addition, through this case, it was found that collage art therapy is effective for self-expression, self-understanding, self-insight, as well as interaction with others, which can affect school adjustment of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집단미술치료가 특수교육 치료지원 치료사의 심리적 소진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burnout and job stress of paraprofessional therapists in special education 정재원 p. 1-24

문화적응에 스트레스를 겪고 있는 유학생의 자아탄력성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 A case study of art therapy conducted to improve ego resilience in international students with cultural adaptation difficulties 오영미 p. 25-46

우울노인의 우울감소를 위한 활동중심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 Effect of activity-oriented collective art programs on depression reduction in the elderly with depression 유순 p. 47-70

정서적 방임 아동의 학교적응에 관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 A case study of art therapy on adaptation to school life of children with emotional neglect 유세진 p. 71-98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위한 콜라주 미술치료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collage art therapy for school adjustment of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안미숙, 강영주 p. 99-122

학교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스트레스 감소와 자아탄력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class unit's group art therapy program upon youth's stress and ego-resilience 이은미, 김현정 p. 123-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