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지하수 내 우라늄-238 및 라돈-222 산출과 헬륨 동위원소와의 상관성 연구 = Occurrence of uranium-238 and Rn-222 in groundwater and its relationship with helium isotope / 정찬호 ; 이유진 ; 이용천 ; 홍진우 ; 김천환 ; Keisuke Nagao ; 김영석 ; 강태섭 1

Abstract 1

초록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지역 지질 3

결과 및 토의 4

결론 8

References 9

초록보기

본 연구는 다양한 지질의 지하수(대전, 청원, 춘천, 이천, 괴산 지역) 내 우라늄-238 및 라돈-222와 같은자연방사성물질의 산출과 헬륨 동위원소와의 상관성을 해석하고, 헬륨의 기원별 혼합비를 분석하여 대수층의 지표환경과의 연관성을 추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지역에서 9개의 지하수 시료를 채취하여 우라늄-238, 라돈-222, 3 He/4 He 동위원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복운모화강암 지역의 지하수에서 우라늄-238의 농도가 218~477 µg/L의 범위로 높은 함량을 보여주었다.

지하수의 4 He 대기-지각 혼합비와 라돈-222 함량과는 상관성 있는 경향을 보여준다. 즉, 지각기원 4 He비가 높을수록 라돈의 함량이 높은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헬륨과 우라늄-238과의 상관성은 거의 보여주지 않는다. 헬륨과 라돈은 불활성기체이므로 지하환경에서 거의 유사한 거동을 보이는 반면, 무기이온인 우라늄-238과 불활성기체인 헬륨은 그들의 거동 자체가 다르기 때문이다. 대기-지각-맨틀 기원의 헬륨 혼합비를보여주는 3 He/4 He vs 4 He/20Ne 상관관계도에서 지하수는 3개의 그룹(대기, 대기-지각혼합, 지각-맨틀 혼합)으로 구분된다. 연구결과는 헬륨의 기원별 혼합비를 통하여 지하수 대수층의 환경과 지표환경과의 상관성 해석을 위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Case study of slope investigation on the cretaceous sedimentary rocks using the geological cross-sections Myeong-Hyeok Ihm, Woo-Seok Kim, Oil Kwon p. 463-478

보기
Analysis and comparison of rock spectroscopic information using drone-based hyperspectral sensor So-Jin Lee, Gyo-Cheol Jeong, Jong-Tae Kim p. 479-492

보기
반복삼축압축시험을 이용한 국내 모래지반의 액상화 거동 특성 비교 =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liquidization behavior of sand ground in Korea using repeated triaxial compression test 서혁, 김대현 p. 493-506

보기
제방의 취약구간 파악을 위한 전기비저항과 탄성파속도의 교차출력 해석 = Crossplot interpretation of electrical resistivity and seismic velocity values for mapping weak zones in levees 조경서, 김정인, 김종우, 김지수 p. 507-522

보기
황철석 암버럭을 이용한 고속도로 성토체의 산성배수 처리 사례 연구 = Case study on the treatment of acid rock drainage from an embankment with pyrite rocks 공정식, 김태형, 송영석 p. 523-532

보기
비탈면 위험도 평가를 위한 중력장 해석 및 모델링 = Risk assessment of cut slope by gravity field interpretation and modelling 최승찬, 김성욱, 최은경, 이영재, 장현익 p. 533-540

보기
비탈면 취약도 평가를 위한 동적콘관입시험기 모듈개발과 표준관입시험값과의 상관관계 연구 = Development of dynamic cone penetration tester module for slope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correlation of its results with standard penetration test values 채휘영, 권순달 p. 541-547

보기
북극권 자원개발 건설환경 조사를 위한 위성 영상 분석 기법 연구 : Study of satellite image analysis techniques to investigate construction environment analysis of resource development in the Arctic circle : Alberta, Canada / 캐나다 앨버타주 대상 김세원, 김영석 p. 549-559

보기
표준 거칠기 단면의 실험적 검증에 의한 새로운 거칠기 계수 및 전단강도 기준식 = New joint roughness coefficient and shear strength criterion based on experimental verification of standard roughness profile 장현식, 심민용, 장보안 p. 561-577

보기
블록식 보강토 옹벽에서 개별 블록간 거동특성을 고려한 수치해석적 연구 = Numerical analytic study considering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between individual blocks in block-type retaining walls 황성필, 박병석, 우용훈, 박상기, 김우석 p. 579-588

보기
대수층 수리지질특성에 따른 인공함양시험 적용 방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pplication method of artificial injection test according to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aquifer 채동석, 최진오, 정현철, 김창용 p. 589-601

보기
수륙 경계지역에서 얻어진 육상 노달 에어건 탄성파탐사 자료의 고찰 및 자료처리 = Investigation and processing of seismic reflection data collected from a water-land area using a land nodal airgun system 이동훈, 장성형, 강년건, 김현도, 김관수, 김지수 p. 603-620

보기
무등산국립공원 입석대 주상절리 및 지공너덜 암괴의 균열 거동과 기후 모니터링 평가 = Evaluation of crack behavior and climate monitoring of Ipseok-dae columnar joints and Jigong Neodeol rock blocks in Mudeungsan National Park 노정두, 강성승 p. 621-630

보기
강우 지속성과 산사태 발생 빈도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persistence of rainfall and frequency of landslide occurrence 정유진, 최정해 p. 631-646

보기
포항 지열수의 지진에 의한 수온, 화학성분 및 헬륨가스의 변화 = Variations of temperature, chemical component and helium gas of geothermal water by earthquake events in Pohang area 이용천, 정찬호, 이유진, 김영석, 강태섭 p. 647-658

보기
지하수 내 우라늄-238 및 라돈-222 산출과 헬륨 동위원소와의 상관성 연구 = Occurrence of uranium-238 and Rn-222 in groundwater and its relationship with helium isotope 정찬호, 이유진, 이용천, 홍진우, 김천환, Keisuke Nagao, 김영석, 강태섭 p. 659-669

보기
머신러닝기법을 이용한 산사태 발생인자의 영향도 분석 = Machine-learning evaluation of factors influencing landslides 박성용, 문성우, 최재완, 서용석 p. 701-718

보기
현장실험을 통한 개선된 수압암반절개시스템의 굴착 효율성 평가 = Estimation from field tests of the excavation efficiency of an improved hydraulic rock splitting system 박종오, 우익 p. 719-730

보기
토양 보전 및 관리를 위한 표토와 심토의 물리화학적 특성 비교 =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opsoil and subsoil for soil conservation and management 이소진, 추창오, 김종태, 정교철 p. 731-739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