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神 중심의 서양 인문학은 기원전 그리스를 중심으로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특별한 구별 없이 논의되었다. 이러한 인문학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정교한 철학 체계를 바탕으로 토마스 아퀴나스의 스콜라철학이 학문의 주류가 되어 프랑스의 파리대학과 이탈리아의 볼로냐대학에서 전성기를 누렸다. 그러나 중세 대학의 위기로부터 출발한 인문학적 학문체계는 종래의 신 중심에서 인간 중심사회로 돌입한 14세기의 르네상스 시대에는 상인계급과 시민계급 중심으로 변화되었다. 그러한 인문학적 방향이 15세기 이후에는 개인의 덕성 함양과 그것과 관계되는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 등의 인문학적 성찰 결과를 시민과 함께 나누는 시민을 위한 인문학으로 발전하였다.

동양 인문학 역시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 대상의 정신적인 측면을 중시하는 인문학과 인간과 자연을 실험이나 관찰 등 정량적 분석 대상으로 하는 자연과학이 서로 統攝하면서 발달하였다. 그러므로 동양학은 원래 인간과 자연 전체를 아우르는 인문학이자 자연과학이며 정치학으로 인간과 천지자연의 우주를 하나의 생명체로 간주하였다. 그러한 사상 가운데, 하늘을 공경하고 인간을 사랑하는 敬天愛人이 중시되었다.

이처럼 동서양을 불문하고 인문학의 본질은 통합적이고, 그 통합적 탐구를 통해 인간의 참신한 가치 재정립으로 자연스럽고 편리한 인류사회의 지속적 행복을 追究하였다. 동시에 이러한 동서양 인문 사상은 인간과 자연을 탐구하는 가운데, 인간 삶의 근원적인 가치 추구와 그 내면에 있는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가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동서양 인문학의 다양한 지식과 정보를 중시하면서도 단순하게 아는 것보다 알고 있는 지식을 사랑[仁愛]과 德을 담은 지혜로 승화시켜 우리의 이웃과 사회에 적용하는 방안을 찾아 인문학을 통한 정신적 풍요와 평화로운 삶을 구축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인문학이란 무엇인가’라는 의문으로부터 인문학의 의미와 성격, 인문학적 학문 방법 등을 통하여 인문학이 담고 있는 평안을 추구하고, 變化無雙한 시대에 삶의 중심과 의미 있는 답을 찾고자 한다. 나아가 현시대가 당면한 4차 혁명 시대와 인문학에 관한 의미와 역할 등을 동양고전의 時習의 즐거움과 그러한 즐거움이 충족되어 정신적 동요나 혼란 없는 平靜의 안정된 심리 상태인 아타락시아(ataraxia)의 평안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朝鮮と日本における科挙観と中華思想 : Imperial examination and sinocentrism in Korea and Japan : focusing on Yi Toegye and Muro Kyuso / 李退渓と室鳩巣を中心に 中村安宏 p. 7-30

落日余晖 : Sunset afterglow : the new theory of human mind and moral mind of Ding Chashan / 丁茶山的新人心道心说 謝曉東 p. 31-60

동양고전의 관점에서 본 인문학과 평안 = Humanities and peace from the perspective of oriental classics 성해준 p. 61-89

『中庸』의 교육설계 : Educational design of Zhōng Yōng : based on Chéng concept / 誠개념을 중심으로 서명석 p. 91-112

정조의 경릉파 인식과 이해 = Jeongjo’s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Jingling coterie 권정원 p. 113-140

다산 정약용의 『大學』 해석에서 恕의 含意 = Implications of Seo in Dasan Jeong Yak yong's interpretation of 『Daehak』 김영우 p. 141-168

도덕함에 관한 박은식의 인식지평 연구 = A study on the perception horizon of Park Eun-sik’s morality / 김용환 p. 169-195

名과 號를 통해서 본 王陽明 = Wang Yangming seen through his name and nicknames 崔在穆 p. 197-226

요산 김정한의 소설집 『낙일홍』과 작가의식 = Yosan Kim Jeong-han's his novel "The Red of the Setting Sun" and writer's ceremony 오현석 p. 253-289

오키나와로 전파된 海岡 金圭鎭의 書藝 : Haegang Kim Gyu-jin’s calligraphy spreaded in Okinawa : focusing on Kim Gyu-jin’s pupil Jahana Unseki / 김규진의 제자 자하나 운세키(謝花雲石) 이성혜 p. 291-316

観光コンテンツとしての歷史人物、蔡璟 = A study on historical figure between Chosun Dynasty and Ryukyu Kingdom : focusing on Saiei 朴在德, 鄭泰晙 p. 317-340

불교의 행복·덕윤리와 긍정심리학적 대화 = Buddhist happiness·virtue ethics and positive psychological dialogue 최용성, 성지은 p. 227-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