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비무장지대에서 수습한 총기류 유품은 매장된 상태로 있다가 출토되는 순간 급격한 환경변화로 인해 부식에 취약하다. 특히 철제 총기류에 있어서 활성부식을 일으키는 염소이온(Cl⁻)은 반드시 제거되어야 하지만 근현대에 제작되었다는 재질 특성과 매장기간을 고려하였을 때 고고유물과 동일한 탈염조건을 적용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비무장지대 내 6⋅25 한국전쟁 전사자 유해발굴 현장에서 수습한 총기류를 대상으로 보존처리와 탈염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탈염 실험은 탈이온수와 소디움 세스퀴카보네이크 용액에 온도별로 침적시키는 방법을 서로 비교하여 가장 안정적인 보존방안을 모색하였다. 탈염 실험을 통해 탈염처리 방법에 따른 염소이온의 추출 정도를 비교 실험한 결과, 100℃ 소디움 세스퀴카보네이트에서 가장 많은 용출량을 보였으며 탈염 기간이 1∼2주로 매우 짧은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나머지 유품 중 총신과 방아틀 뭉치는 100℃로 가열하여 8시간, 상온에서 16시간씩 매주 1회 약품을 교체하는 방법으로 총 6회 탈염처리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탄약이 장전된 총신의 경우 탈염처리 시 고온 및 진공함침으로 인한 압력으로 폭발의 위험성을 고려하여 탈염처리와 진공함침 강화처리를 실시하지 않았다.

The weapons excavated from the de-militarized zones (DMZ) of Korea are vulnerable to corrosion due to the immediate and drastic environmental change. Especially, the chloride ions (Cl⁻) in iron weapons cause active corrosion and require removal. In this study, conservation treatment and de-salination was performed for the discovered weapons from excavation sites of soldiers killed in action during the Korean War. Furthermore, an attempt was made to prepare the most stable plan for conservation treatment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of soaking weapons in distilled water without chemicals and in a solution of sodium (SSC) at different temperatures. In the preliminarily experiments, the comparison of the eluted Cl⁻ ions according to different conditions of de-salination showed that the highest number of ions were detected from the de-salination with SSC at a temperature of 100℃, and its duration was much smaller, i.e., 1∼2 weeks. Accordingly, for the parts from the guns and rifles amongst other objects, a six-time de-salination was conducted in the SSC solution for 8 hours at 100℃ and subsequently, for 16 hours at room temperature during which the distilled water and SSC were exchanged every week. However, in the case of a loaded rifle, the de-salination was not conducted, considering the risk that the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by impregnation in vacuum could cause an explosion.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비부착, 비접촉 방식의 계측기를 이용한 반구대암각화 암반 절리면의 계측 = Measurement of bangudae rock joint using non-adhesive, non-contact inclinometer slope laser measuring system 김재현, 이상옥, 정광용, 한민수 p. 617-625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내부 미세변위 정밀모니터링을 위한 디지털 기록화 연구 = A study on digital documentation of precise monitoring for microscale displacements within the tomb of King Muryeong and the royal tombs in Gongju, Korea 최일규, 양혜리, 이찬희 p. 626-637

충주 금릉동 쇠저울유적 출토 고려시대 유병의 유기물 분석 = Organic residues analysis of oil bottle of Goryeo Dynasty excavated from the Soejeoul site, Geumneung-dong, Chungju 윤은영, 김수연 p. 638-647

한지의 제조 조건에 따른 열 손상 평가 연구 =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rmal damage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conditions of Korean paper 김지원, 박세린, 한기옥, 정선화 p. 648-658

울주 천전리 각석의 장기 모니터링을 통한 식생지수 변화 분석 = Analysis of changes in vegetation index through long-term monitoring of petroglyphs of Cheonjeon-ri, Ulju 안유빈, 유지현, 전유근, 이명성 p. 659-669

비파괴 분석법을 통한 안성 청룡사 금동관음보살좌상 내부구조 및 금박층 조사 = Investigation of the internal structure and gold-thin layer of the gilt-bronze seated avalokitesvara bodhisattva at Anseong Cheonryong Temple through the non-destructive analysis 최정은, 최학 p. 670-678

Metofluthrin계 방의제의 전통 목조건축물 적용 평가 = Evaluation of applicability to metofluthrin-based termiticide for the traditional wooden buildings 윤새민, 박용건, 정진영, 황원중 p. 679-688

한지 내절 강도 시험의 측정조건 제안 = Proposal of the measurement conditions for Hanji-determination folding endurance 김명남, 김지원, 손하늘, 정선화 p. 689-700

진도 쌍계사 대웅전 벽화의 재질특성 및 제작기법 연구 =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and manufacturing techniques for the mural paintings in Daeunjeon at Ssanggyesa Temple, Jindo 이나라, 유영경, 이화수 p. 701-711

치성광여래 무신도의 과학적 분석 및 보존처리 연구 = A study on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painting of shamanistic spirits in Chiseonggwang Buddha 이현정, 서정호 p. 712-722

몽골 숨 톨고이 출토 지류 유물의 과학적 분석 및 보존처리 = Scientific analysis and conservation treatment on the buddhist scriptures of paper relics excavated from Sum Tolgoi, Mongolia 배수빈, 양민정, 권윤미, 유지현, 정희원 p. 723-737

전통 제철실험을 통해 생산된 단조박편의 재료과학적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metallurgical characteristic of hammer scale produced through traditional iron-making experiments 조성모, 조남철 p. 738-747

익산 쌍릉 소왕릉 봉분 토층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조영과정 해석 = Interpretation of construction procedure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for soil layers from Sowangneung (small royal tomb) of Ssangneung (twin tombs) in Iksan, Korea 채준, 박석태, 조지현, 이찬희 p. 748-766

전남지역 출토 삼국시대 청동거울의 합금 특성과 제작 방법 고찰 = A study on manufacturing technique and alloy characteristics of bronze mirrors from Jeollanam-do region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이은지 p. 767-777

청주 비중리 석조여래삼존상 및 석조여래입상의 재질특성과 손상특성 연구 = Study on the material and deterio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stone seated Buddha triad and stone standing Buddha in Bijung-ri, Cheongju, Korea 유지현, 최명주, 이명성, 김유리 p. 778-790

이미지 분석을 통한 매우 유사한 증도가(證道歌) 이본(異本)에 대한 비교연구 : Comparative study on very similar Jeungdoga scripts through image analysis :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treasure No. 758-1 and Treasure No. 758-2 / 보물 제758-1호와 보물 제758-2호의 근본적인 차이점 유우식, 김정곤 p. 791-800

목재 보존용 액상 접착제의 제조 및 물성 연구 : A study on the manufacture and physical properties of liquid adhesive for wood preservation : focusing on the synthesis of gelatin and carrageenan / 젤라틴과 카라기난 합성 중심으로 오승준, 한원식, 위광철 p. 801-806

한반도 남부지역 출토 조선시대 노벽의 과학적 분석 = Scientific analysis for furnace walls of the Joseon Dynasty excavated in south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장원진, 한민수 p. 807-820

비무장지대 한국전쟁 전사자 유해발굴 수습 철제 총기류의 보존처리와 탈염처리 방법 고찰 = A study on conservation and desalination for iron weapons during the Korean War from DMZ 조하늬, 남도현, 김미현, 이재성 p. 821-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