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웹 기반 프랑스어 음소 지각 훈련과 그 신뢰도 평가 = Reliability of web-based French phoneme perception test / 김선희 ; 류나영 ; 원용국 1

요약 1

Abstract 1

I. 서론 2

II. 관련 연구 2

2-1. 제2언어 음성/음운 습득 모델 2

2-2. 지각 훈련 방법론 3

2-3. L2 지각 훈련의 효과 4

2-4. 언어평가의 신뢰도 4

III. 웹 기반 프랑스어 지각 훈련 5

IV. 지각 훈련에 대한 신뢰도 분석 5

4-1. 지각 훈련 결과의 기술 통계량 5

4-2. 지각 훈련의 신뢰도 분석 6

V. 논의 및 결론 8

참고문헌 8

[저자소개] 11

초록보기

본 연구는 프랑스어를 배우는 한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계한 웹 기반의 음소 지각 훈련 시스템을 소개하고 이 시스템의 신뢰도를 평가하였다. 제안한 지각 훈련은 자음 및 모음에 대한 분별 테스트와 식별 테스트의 총 4개의 테스트로 구성되었다. 그 신뢰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먼저 지각 훈련 결과의 기술 통계량을 살펴보고, 준거참조평가 방법으로 지각 훈련의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지각 훈련의 내적일관성과 신뢰도는 크론바흐 알파 (Cronbach’s α)값과 의존도 계수 (dependability Φ)를 활용하였다. 제안한 4개의 테스트에 해당하는 문항 전체를 하나로 묶었을 때 크론바흐 알파는 0.71~0.97로 대체로 높게 나타났고, 의존도 계수 Φ는 0.65~0.97로 나타났다. 문항 수가 적은 일부 하위 테스트의 의존도 계수가 낮게 나타나는데, 이러한 경우는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다른 항목과 묶어서 하나의 테스트로 활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troduces and assesses the reliability of a web-based phoneme perception training system created for Korean learners studying French. The suggested perception training test consisted of four subtests: consonant and vowel discrimination tests, and consonant and vowel identification tests. To assess the reliability of the perception training test, descriptive statistics of perception training results were reviewed first, followed by a criterion-referenced evaluation approach. The internal consistency and reliability of the perceptual training test were assessed using Cronbach’s alpha and dependability phi. The perception test had a Cronbach’s alpha of 0.71 to 0.97, which was generally high, and a dependability coefficient of 0.65 to 0.97. Low dependability ratings were found in a few subtests with a small number of items. It is suggested that these subtests be put together as one test to increase the test's reliabilit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파운드 푸티지 장르가 결합된 StyleGAN 이미지 기반 영상 제작 = The production of StyleGAN image-based video combined the found footage genre 박지혜, 송해민, 박진완 p. 1941-1949

보기
딥러닝을 이용한 통합형 취업사진 생성 앱 개발 = Application to generate a consolidated ID photo for resume using deep learning 강지연, 김서현, 김서영, 이경미 p. 1951-1958

보기
사회문제기반 과학-예술 융합교육을 위한 실감형 콘텐츠 개발 = Development of realistic content for a science-art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social issues 유정민, 서수연, 허송이, 최규리 p. 1959-1967

보기
챗봇 기반의 인터랙티브 스토리 구현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implementing a chatbot-based interactive story 장수지, 배병철 p. 1969-1976

보기
Effect of autonomous cooperative learning on the computational thinking in software education =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자율적 협동학습이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Hye Yeon Jung, Yeong Geon Seo p. 1977-1985

보기
개인방송을 위한 오프닝 타이틀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opening title design for personal broadcasting 박은영 p. 1987-1995

보기
리액션성 대사의 음량이 시청영상 감성평가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ound level of reactive dialogue on emotional evaluation of video content 최형민, 이주환 p. 1997-2004

보기
COVID-19 시대의 민·관·군 통합 사이버 재난본부 구성 방안 = An integrated civil, private, military cyber disaster headquarters in the COVID-19 era 백인정, 손태식 p. 2005-2017

보기
텍스트 트랜스포머 모델에서 어텐션 맵을 이용한 경사도 기반 화이트 박스 적대적 예제 생성 방안 = A gradient based adversarial example method using attention map against text transformer model 신초별, 문종섭 p. 2019-2026

보기
AI 스피커에 적용된 아바타와 사용자의 성일치 여부와 아바타 구현의 사실성 수준이 사용의도 및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gender identification and reality of avatar on intimacy and intention to use the AI speaker 양은별, 탁연주, 류지헌 p. 2027-2037

보기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Virtual Human'의 의미변화 연구 : Changes in meaning of 'virtual human'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 focusing on the COVID-19 pandemic / 코로나 19 상황을 중심으로 황서이, 이명천 p. 2039-2047

보기
Z세대의 뉴스 소비 행태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analysis of news consumption behavior of generation Z : using service design methodology /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하여 임정민, 전우정 p. 2049-2061

보기
국산 경량 블록 암호 PIPO, HIGHT, CHAM 고속 구현 연구 = A study of fast implementation of Korea block ciphers PIPO, HIGHT, and CHAM 김인영, 석병진, 이창훈 p. 2063-2075

보기
일상적인 한국어 문장의 정치적 편향을 표현하는 키워드 추출에 대한 연구 = Study on the methods of keywords that represent political bias in ordinary Korean sentences 강형석, 양장훈 p. 2077-2087

보기
GLOW 기반 에지 탐지 기법 = GLOW-based edge detection method 전형주, 정순철, 최윤석, 김재우, 김진서 p. 2089-2098

보기
웹 기반 프랑스어 음소 지각 훈련과 그 신뢰도 평가 = Reliability of web-based French phoneme perception test 김선희, 류나영, 원용국 p. 2099-2109

보기
YOLOv4와 라즈베리파이 기반 쓰레기 분리배출 자동화 시스템 = Automatic garbage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YOLOv4 and Ras[p]berry Pi 김기현, 유호연, 이효진, 변혜원 p. 2111-2119

보기
V2I 기반 트럭 군집주행 안전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기능 정의 연구 = Development of the truck platooning functions for the safety service based on V2I communication 박유경, 이주일, 고하영 p. 2121-2128

보기
스마트 컨트랙트를 활용한 거버넌스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governance system using the smart contract 제갈은, 이수연, 강서진, 강남희 p. 2129-2137

보기
비대면 소통 플랫폼 맞춤형 영상 합성 기술 연구 : A research on group photo synthesizer in untact communication platform : focusing on generation MZ / 디지털 문화 소비의 주요 계층인 MZ세대를 중심으로 황서빈, 김혜근, 윤경윤, 황종원, 조영준 p. 2139-2149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