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화재시 개구분출화염으로부터의 복사열에 의한 화재확대위험성평가 프로세스 정립 = Fire spread risk assessment process for radiant heat flux of flame ejected from opening in fire / 신이철 ; 박수영 ; 박계원 ; 최동호 ; 이길용 ; 최정민 1
요약 1
ABSTRACT 1
1. 서론 1
2. 개구분출화염계에 관한 기존문헌 분석 2
3. 개구분출화염으로부터의 복사열에 의한 화재확대위험성 평가 3
4. 개구분출화염으로부터의 복사열 추정 인자 분석 3
4.1. 개구분출화염의 총 열방출률 3
4.2. 개구분출화염의 영역별 온도 설정 4
4.3. 개구분출화염의 무차원온도 4
4.4. 개구분출화염의 궤도 5
4.5. 개구분출화염 및 수열부 간의 형태계수 5
4.6. 개구분출화염으로부터의 복사열 추정 6
5. 개구분출화염으로부터의 복사열 추정 종합프로세스 정립 6
6. 결론 6
References 6
건축물의 구획에서 화재시 플래시오버가 발생하면 화재실 내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며 화재규모가 폭발적으로증가하고 구획 내 가연물의 완전연소를 위한 산소가 부족하게 된다. 그 결과 화재의 성상이 연료지배형화재에서 환기지배형화재로 변경되면서 구획 내의 미연소가스가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분출된다. 분출된 미연소가스는 외부산소와 만나 격렬하게 반응하여 대규모 분출 화염을 형성하게 되고 이로 인해 화재가 상층부로 빠르게 확산된다.
또한 분출화염은 주변 건축물 및 시설물에 고온의 복사열을 방출하여 외장재 및 인접 사물로의 화재 확산에 주된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획실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의 화재가 완전히 발달한 최성기화재를 가정하여개구분출화염으로부터 발생하는 복사열이 외장재 및 인접 사물에 미치는 열적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정량적 평가프로세스를 수립하였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