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CIPP를 활용한 특수학교 학교기업 정책 평가준거 개발 = Development of criteria for evaluating the management policy of school enterprises in special schools using CIPP model / 김대경 ; 조흥순 1
요약 1
I. 서론 2
II. 이론적 배경 3
1. 특수학교 학교기업 3
2. CIPP 평가모형 6
3. 교육정책평가 7
III. 연구방법 8
1. 조사대상 및 절차 8
2. 조사도구 10
3. 자료의 처리 12
IV. 연구결과 12
1. 1차 델파이 조사 12
2. 2차_텔파이 조사 17
V. 결론 및 제언 22
참고문헌 24
[저자소개] 25
Abstract 26
본 연구는 특수학교 학교기업 운영 정책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준거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CIPP모형을 활용하여 특수학교 학교기업 운영정책 평가를 위한 3개 평가단계, 6개 평가영역, 23개 평가준거를 개발하고 이를 경험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장애학생 진로·직업교육 담당 교육연구사 및 시·도 교육청 소속 특수교육 담당 장학사를 패널로 선정하여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고, 내용타당도 검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영역은 정책수립단계, 정책과정단계, 정책산출단계로 도출되었으며, 3개 영역 모두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책수립단계의 평가영역으로는 '상황'과 '투입' 영역이, 정책과정단계의 평가영역으로는 '과정'과 '조정' 영역이, 정책산출단계의 평가영역으로는 '산출'과 '환류'영역이 도출되었으며, 모두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영역별로 도출된 23개 평가준거는 모두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타당도는 4.9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평가준거는 특수학교 학교기업 운영 정책의 성과를 진단하고 특수학교 학교기업 정책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정책평가 연구의 기초연구로서 그 의의가 있을 것이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