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글의 목적은 1977년 박태순이 발표한 두 장편 소설을, 주체적 지식의 가능성을 탐문하는 작업으로 의미화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당대 민중 담론을 초과하는 박태순의 인식론적 지평을 확인해보고자 했다. 박태순의 소설이 다루고 있는 전쟁과 해방은 비단 과거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를 주체적으로 의미화하는 통로가 된다. 전쟁과 해방을 주체적으로 의미화하고자 하는 작업은 한반도의 역사, 나아가 한반도의 지식의 주체적 가능성을 탐문하는 것이었다. 『어느 사학도의 젊은 시절』의 세 소년이 수기, 서구의 역사와 이론, 한국의 전통 등을 읽고 토론하는 장면은 주체적인 이론의 맹아를 보여준다. 이들의 지식은 하나의 완성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읽고 회의하여 발전하는 유동적 지식이다. 나아가 이러한 토론의 결과로 소설의 주인공은 출판업이라는 지식인의 소명을 발견한다. 책을 통해 지식의 가능성이 현시되고, 소설 속 인물은 책의 관계와 차이를 발견할 수 있는 지식의 주체로 거듭난다. 박태순은 소설을 통해 한반도의 주체적 지식의 가능성을 실험하고자 했으며, 이에 대한 낙관적 전망을 드러낸다. 『어느 사학도의 젊은 시절』에서 부조된 한반도의 경험과 한반도의 지식은 원점의 시간에서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던, 그리하여 미래의 가능성과 스치듯 조우할 수 있었던 ‘생성’의 시간들이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재북(월북) 작가 전무길(全武吉)과 식민지 시기 언론·문화 네트워크 = Jeon Mu-gil, the writer who remained in North Korea after the 1945 liberation, and media-cultural network in the colonial era 김미지 p. 11-44

초월과 매몰 : Transcendence and submission : Yi Kwang-su, Park Young-hee, and the eve of abduction / 춘원과 회월의 납북 전야 손유경 p. 45-71

가족의 초상 : Family portraits : autobiographical writing of the politician father and daughter / 정치인 부녀(父女)의 자서전적 글쓰기 장영은 p. 73-103

신모더니즘론 이후의 동아시아 모더니즘 연구 : East Asian modernist studies since the 1990s : new modernist studies and its applicability to Korean modernist studies / 모더니즘의 역사화와 지역성 이념 최현희 p. 107-136

1910년대 『태서문예신보』의 행복 담론 : The happiness discourse found in T'aesŏmunyeshinbo in the 1910s : internalization of the evangelical Christian ethics / 복음주의 기독교 윤리의 내면화 박슬기 p. 137-164

디스토피아의 유토피아 : Utopia in dystopia : the political unconscious in the new tendency novel / 신경향파 소설의 정치적 무의식 최은혜 p. 165-204

1930년대 소설에 나타난 유모(乳母)의 재현 양상 = Representations of wet nurse in 1930s' Korean fiction 구자연 p. 205-240

사민(私民)의 독서, 한반도의 지식 : The displaced person's reading, knowledge of the Korean : Park Tae-soon's intellectual experiment and the possibility of subjective knowledge in the late 1970s / 1970년대 후반 박태순의 지적 실험과 주체적 지식의 가능성 허선애 p. 241-287

80년대 학생운동 주체 서사의 대중화 전략과 그 한계 : The strategy and limitations of popularization of narratives of the student movement in the 1980s : focusing on the Kim Young-ha's The Student Movement in the Rives and Lakes / 김영하의 『무협학생운동』을 중심으로 최혜령 p. 289-332

고정희 시와 '페미니즘의 급진성' = Go Jung-hee's poetry and 'the radicality of feminism' 정혜진 p. 333-391

트러블을 일으키는 여성들 : Troubling women : a study of Kim Insuk's Blade and Love / 김인숙의 『칼날과 사랑』을 중심으로 임진하 p. 393-430

가족생애사문학과 기록영화에 나타난 도시개발과 불공정한 도시경험 : Urban development and unfair urban experiences in family life history literature and documentary film : focusing on the works of Park, Wan-seo, Jo, Kyung-ran and Kang Yu, Ga-ram / 박완서, 조경란, 강유가람의 작품을 중심으로 이양숙 p. 431-468

여성 인물의 질적 전회, 윤리적 주체로 거듭나기 = The qualitative evolution of female characters and becoming ethical subjects : 이혜경 「그리고, 축제」, 김인숙 「바다와 나비」를 중심으로 주지영 p. 469-505

탈냉전시대 포로수용소 영화 연구 : A study on a movie of prison camp in the post-Cold War period : focused on Last Witness and Swing Kids / <흑수선>(2001), <스윙키즈>(2018)를 중심으로 전지니 p. 507-539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속 게임 세계관의 내면화와 자율성의 훼손 = Internalization of the universe of the game and undermining autonomy in Memories of the Alhambra 김진규 p. 541-5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