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관측 환경에 따른 상시미동의 HVSR 결과 신뢰도 평가 = Reliability assessment of ambient noise HVSR per observation condition / 유병호 ; 최우정 ; 최인혁 ; 곽동엽 1

ABSTRACT 1

초록 1

1. 서론 1

2. HVSR과 공명주파수 2

3. 관측환경 및 HVSR 측정 방법 4

3.1. 실험 장비 4

3.2. 대상 지역 4

3.3. HVSR을 위한 진동 측정 5

4. HVSR 실험 결과 6

4.1. 센서 안정화 시간 6

4.2. 주변 인위적 진동 8

5. 관측환경에 따른 HVSR의 신뢰도 분석 9

6. 결론 10

References 10

초록보기

상시미동의 수직성분에 대한 수평성분 스펙트럼비(HVSR)는 부지 공명주파수를 파악하는데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HVSR의 가장 큰 비율을 가지는 주파수는 부지 공명주파수와 일치한다. 상시미동은 부지 주변에 존재하는 미세진동을 의미하기 때문에 직접적인 진동원을 파악할 수 없으며, 또한 조절할 수 없다. 따라서 신뢰적인 상시미동 HVSR을 구하기 위해서는 상시미동 측정에 충분한 시간적 여유와 주변 환경의 파악 또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신뢰적인 HVSR 분석에 필요한 상시미동 측정 최소시간과 지진계와 인위적인 진동 사이의 이격거리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토사 부지의 경우 센서 설치 후 5분 이내에 안정화가 되었으나, 암반 부지의 경우 안정화까지 1시간 이상이 소요되었다. 또한 상시미동 관측 시 발걸음 진동이 지진계 10 m 이내에 존재할 경우 HVSR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현장에서 상시미동의 HVSR측정에 필요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구조방정식모형과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활용한 가뭄 영향인자의 민감도 분석 = Sensitivity analysis of drought impact factors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bayesian networks 김지은, 김민지, 유지영, 정성원, 김태웅 p. 11-21

보기
관측 환경에 따른 상시미동의 HVSR 결과 신뢰도 평가 = Reliability assessment of ambient noise HVSR per observation condition 유병호, 최우정, 최인혁, 곽동엽 p. 23-33

보기
일반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한 프락시 기반 한반도 V[S30]지도 개발 = Development of Korean peninsula V[S30] map based on proxy using linear regression analysis 최인혁, 유병호, 곽동엽 p. 35-44

보기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수원시 자전거 전용차로 도입 방안 = Planning routes of bicycle lanes in Suwon city using big data analysis 김숙희, 김형준, 이남일 p. 45-56

보기
경남형 DRT 브라보택시 도입 이후 이용자 의식변화 기초연구 = Preliminary research on changes in user awareness since operation of bravo-taxi as Gyeongsangnam-do DRT 송기욱, 박기준 p. 57-65

보기
실시간 교통정보 정확도 향상을 위한 이질적 교통정보 융합 연구 = Fusion strategy on heterogeneous information sources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김종진, 정연식 p. 67-74

보기
공영자전거 스테이션의 효율적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 Efficient utilization of public bicycle stations 박기준, 정헌영 p. 75-81

보기
도시철도 노인 무임승차제도에 대한 의식변화 연구 : Awareness change of senior ride-free program on metro : focused on difference between Busan and Gimhae city officials / 부산과 김해 공무원의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이혜령, 송기욱 p. 83-93

보기
복합공종으로 구성된 건설공사의 패스트트랙 단계구분 적용 방식 분석 = Application method of phase division of fast track for construction project with complex structures 김현수, 황재영, 강효정, 박상미, 이재희, 강인석 p. 95-105

보기
콘크리트 교량 상태평가를 위한 딥러닝 기반 손상 탐지 프로토타입 개발 = Development of deep learning-based damage detection prototype for concrete bridge condition evaluation 남우석, 정현준, 박경한, 김철면, 김규선 p. 107-116

보기
교량 구조물 손상탐지를 위한 Open Set Recognition 기반 다중손상 인식 모델 개발 = Development of open set recognition-based multiple damage recognition model for bridge structure damage detection 김영남, 조준상, 김준경, 김문현, 김진평 p. 117-126

보기
건설현장 정형·비정형데이터를 활용한 기계학습 기반의 건설재해 예측 모델 개발 = Development of machine learning-based construction accident prediction model using structured and unstructured data of construction sites 조민건, 이동환, 박주영, 박승희 p. 127-134

보기
폐광지역 산업도시의 도시축소양상과 도시공간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urban spatial policy for the industrial cities in abandoned mining area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ctual condition of urban shrinkage : a case study on shrinking cities in abandoned mining area by the coal industry rationalization policy / 석탄산업합리화조치에 따른 폐광지역 축소도시에 대한 사례 연구 지은희, 한동규, 정찬구, 강준모 p. 135-144

보기
레질리언스 관점에서의 도시재생사업 진단 : Diagnosi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from the perspective of resilience : focus on general neighborhood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Seoul city / 서울시 일반근린형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을 대상으로 신은호, 김종구 p. 145-150

보기
광폭 플랜지 PSC 거더 단부 프리캐스트 블록을 활용한 반일체식교대교량의 구조성능 평가 = Structural performance evaluation on ended block of wide flange PSC girder for the semi-integral bridges 가훈, 최진우, 김영호, 박종면 p. 1-9

보기

참고문헌 (1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Acerra, C., Havenith, H. B. and Zacharopoulos, S. (2004). Guidelin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H/V spectral ratio technique on ambient vibrations measurements, Processing and Interpretation. Report, SESAME Project, Europe. 미소장
2 Bahavar, M., Spica, Z. J., Sánchez-Sesma, F. J., Trabant, C., Zandieh, A. and Toro, G. (2020). “Horizontal-to-vertical spectral ratio (HVSR) IRIS station toolbox.”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Vol. 91, No. 6, pp. 3539-3549. 미소장
3 Chatelain, J. L., Guillier, B., Cara, F., Duval, A. M., Atakan, K. and Bard, P. Y. (2008). “Evaluation of the influence of experimental conditions on H/V results from ambient noise recordings.” Bulletin of Earthquake Engineering, Vol. 6, No. 1, pp. 33-74. 미소장
4 Ibs-von Seht, M. and Wohlenberg, J. (1999). “Microtremor measurements used to map thickness of soft sediments.”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Vol. 89, No. 1, pp. 250-259. 미소장
5 Jung, H. O., Kim, H. J., Jo, B. G. and Park, N. R. (2010). “The microtremor HVSRs in the SW Korean peninsula I: characteristics of the HVSR peak frequency and amplification.”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ol. 31, No. 6, pp. 541-554 (in Korean). 미소장
6 Kim, S. K. and Hwang, M. W. (2002). “Estimation of subsurface structure and ground response by microtremor,”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ol. 23, No. 4, pp. 380-392 (in Korean). 미소장
7 Konno, K. and Ohmachi, T. (1998). “Ground-motion characteristics estimated from spectral ratio between horizontal and vertical components of microtremor.”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Vol. 88, No. 1, pp. 228-241. 미소장
8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2020). Geological information of seismic stat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 Available at:https://mgeo.kigam.re.kr/ (Accessed: September 12, 2020) (in Korean). 미소장
9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2020). Information of earthquake station,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Available at: http://necis.kma.go.kr/ (Accessed: September 11, 2020)(in Korean). 미소장
10 Lachet, C. and Bard, P. Y. (1994). “Numerical and theoretical investigations on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Nakamura’s technique.” Journal of Physical the Earth, Vol. 42, No. 5, pp. 377-397. 미소장
11 Lachet, C., Hatzfeld, D., Bard, P. Y., Theodulidis, N., Papaioannou, C. and Savvaidis, A. (1996). “Site effects and microzonation in the city of Thessaloniki (Greece) comparison of different approaches.”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Vol. 86, No. 6, pp. 1692-1703. 미소장
12 Lee, H. K., Kim, R. Y. and Kang, T. S. (2017). “Seismic response from microtremor of chogye basin, Korea.”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Vol. 20, No. 2, pp. 88-95 (in Korean). 미소장
13 Lermo, J. and Chávez-García, F. J. (1993). “Site effect evaluation using spectral ratios with only one station.”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Vol. 83, No. 5, pp. 1574-1594. 미소장
14 Mucciarelli, M., Gallipoli, M. R. and Arcieri, M. (2003). “The stability of the horizontal-to-vertical spectral ratio of triggered noise and earthquake recordings.”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Vol. 93, No. 3, pp. 1407-1412. 미소장
15 Nakamura, Y. (1989). “A method for dynamic characteristics estimation of subsurface using microtremor on the ground surface.” Railway Technical Research Institute, Quarterly Reports, Vol. 30, No. 1, pp. 25-33. 미소장
16 Park, J. Y. (2019). “Development of an experimental seismometer and exploration of its potential as a tool for exploring earth science.” Field and School Education, Vol. 13, No. 4, pp. 507-526 (in Korean). 미소장
17 Rong, M., Fu, L. Y., Wang, Z., Li, X., Carpenter, N. S., Woolery, E. W. and Lyu, Y. (2017). “On the amplitude discrepancy of hvsr and site amplification from strong-motion observations on the amplitude discrepancy of HVSR and site amplification from strong-motion observations.”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Vol. 107, No. 6, pp. 2873-2884. 미소장
18 Sun, C. G., Han, J. T. and Cho, W. J. (2012). “Representative shear wave velocity of geotechnical layers by synthesizing in-situ seismic test data in Korea.”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 22, No. 3, pp. 293-307 (in Korean). 미소장
19 Wathelet, M., Chatelain, J. L., Cornou, C., Giulio, G. D., Guillier, B., Ohrnberger, M. and Savvaidis, A. (2020). “Geopsy: A userfriendly open-source tool set for ambient vibration processing.” Seismological Research Letters, Vol. 91, No. 3, pp. 1878-1889.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