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글은 식민지/제국 시기의 공업도시 흥남과 패전 후 일본의 미나마타 사이에 형성된 역사-생태적 연쇄에서 미나마타병의 ‘원천(Ursprung)’을 탐사한다. 이 글은 미나마타병의 원천, 즉 미나마타병의 등장이 지시하지만 미나마타병 자체로는 모두 드러나지 않는 근원적이고 반복적인 힘이 식민주의적 축적에서 발견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일본질소는 식민주의적 축적을 통해 자연적 시간과 주변 환경의 리듬에 적응하던 세계를 파괴하고 생산의 시간으로 가득 찬 흥남이라는 공업도시를 세웠을 뿐만 아니라, 일본질소의 ‘내지’ 공장들과 리듬을 공유하며 함경북도 지역까지 확장되는 새로운 세계를 구축했다. 이 세계는 인간과 자연을 포함해 모든 것을 새로운 ‘분리-변형-합성’의 공정 속으로 흡수하는 일종의 거대한 화학공장이었다. 그러나 이 ‘분리-변형-합성’의 공정은 식민지와 ‘내지’를 가로질러 형성된 일본질소의 ‘왕국’ 안팎에 필연적인 잉여 효과, 즉 분리-변형-합성 과정에서의 ‘오류’와 예기치 못한 분리-변형-합성의 증식을 낳는다. 일본의 패전과 한반도의 분단 이후 흥남과 미나마타는 아이러니한 시간 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태평양전쟁 중 연합군에 의해 파괴되었던 미나마타는 냉전 초기 일본의 재군비화를 통해 재건되었고, 노동자들에 의해 접수되었던 해방 직후의 흥남은 사회주의 국가가 미래에의 권리를 장악하면서 일제 말기 생산주의 체제를 방불케 하는 노동의 도시를 형성해 간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거란 성종의 고려 친정(親征) 배경에 대한 새로운 관점 : A new perspective on the background of the invasion of Goryeo by Shengzong(聖宗) of Khitan-Liao : focusing on an analysis of the politics of Khitan / 거란의 정세 분석을 중심으로 권용철 p. 1-25

고려전기 <禮賓省牒>의 書式 복원과 외교상 의미 = Foreign relations and diplomatic documents forms in the early Goryeo Dynasty : through restoration of the form of Yebin-Seong(禮賓省) Cheop(牒) 김보광 p. 27-54

몽골-고려 형제맹약 두 번째 재검토 : The second reexamination of the Mongol-Goryeo brotherly alliance : synchronic and diachronic approach to the diplomatic king-vassal and brotherly relation / 외교적 군신·형제관계에 대한 공시·통시적 접근 고명수 p. 55-76

『元史』 高麗傳의 史源 = The historical source of the Goryeo section of the History of Yuan 정동훈 p. 77-104

대한제국 전기 인공양잠법의 도입과 양잠서적 = Introduction of the artificial sericulture method and sericulture books during the Early Daehan Empire period 오진석 p. 105-141

윤동주의 민족의식 형성과 기독교 = Yoon Dong-ju's nationalism formation and Christianity 홍성표 p. 143-167

국가건설기 여운형그룹의 북한군 창설과정 참여와 월남 = Yeo Woon-hyeong group's participation in the North Korean military establishment for the integration of Korea 김선호 p. 169-197

신체에 각인된 전쟁의 상처와 치유 : The wounds of war imprinted on the body : disability and gender in the oral history of victims of the Nogunri massacre during the Korean War / 한국전쟁기 노근리 피해자 구술에서 나타난 장애와 젠더 소현숙 p. 199-224

미나마타[水俣], 흥남, 그리고 식민주의적 축적 = Minamata, Heungnam, and colonialist accumulation 차승기 p. 225-247

1960~1970년대 증평협업농장의 설립과 운영과정 연구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Jeungpyeong cooperative farm in the 1960s and 1970s 김소남 p. 249-2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