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한 보육교사의 심리적 불안요인과 극복요인을 알아봄으로써 미래 신종 전염병 발병 시 효과적인 지원을 제안하는데 있다.
방법 수도권에 위치한 어린이집에서 코로나19 상황에서 반 운영을 1년 이상 경험한 담임교사로 경력 5년 이상 10년 이하 기준으로성숙단계 보육교사 6인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에 따라 면담은 직접 면담과ZOOM을 활용한 실시간 비대면 면담으로 진행되었다. 자료수집은 2021년 10월 11일부터 2021년 10월 30일까지 개별 면담을통해 이루어졌다. 질적자료분석 절차에 따라 해석, 코딩, 분류의 순서로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코로나19로 인한 보육교사의 심리적 불안요인은 ‘거리두기의 이중성’, ‘의사소통의 어려움’, ‘시작과 마무리는 소독’, ‘보육일과 운영의 어려움’, ‘안전한 집단생활을 위해 집단생활 회피’, ‘보육교사가 코로나19 확진되면 죄인’, ‘어린이집은 이미 ‘위드코로나’, ‘안전보다 중요한 부모 만족 행사’로 나타났고, 극복요인은 ‘소소한 일상’, ‘긍정적인 생각’, ‘비대면으로 자기 계발’, ‘보육교사라서 받은 혜택’, ‘보육교사의 동질감’, ‘기관장의 배려’, ‘바라는 지원’으로 나타났다결론 본 연구를 통해 코로나19 상황에서 보육교사의 심리적 불안요인을 이해하고 극복요인을 알아보면서 미래 신종전염병 발생시 효과적인 지원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주희, 이대균 (2021). 코로나19에 따른 놀이중심 교육 운영의 어려움을 통해 발견된 공간이 만들어 낸 놀이 공간. 열린유아교육연구, 26(2), 211-240. | 미소장 |
2 | 구수연, 최예린 (2021). 코로나19 상황에서 긴급보육의 실태와 과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5), 499-514. | 미소장 |
3 | 김성희, 고진영, 김경철 (2021).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로 인한 유아교사의 어려움. 한국유아교육학회 춘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263-265. | 미소장 |
4 | 명준희, 송지훈, 이혜정 (2021). 코로나19 상황이 보육교사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30(1), 35-44. | 미소장 |
5 | 박영숙, 박정화, 정현정 (2021). 코로나19(COVID-19) 상황에서의 또래 집단활동 통제로 인한 유아발달 분석 연구.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5(2), 265-272. | 미소장 |
6 | 박영아, 조미현 (2020). 어린이집의 코로나-19 대응 현황과어려움에 관한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125, 145-172. | 미소장 |
7 | 보건복지부 (2020).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대비어린이집 등 대응요령. 세종: 보건복지부. | 미소장 |
8 | 보건복지부 (2021).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유행대비 어린이집용 대응지침 Ⅷ-2판. 세종: 보건복지부. | 미소장 |
9 | 세계보건기구 (2021). 코로나바이러스 질환(COVID-19) 전염병. https://www.who.int에서 2021년 11월 14일 인출. | 미소장 |
10 | 손희나 (2020). 어린이집 원장의 어려움과 코로나19에 대한대응방안: 가정어린이집을 중심으로.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1 | 연합뉴스 (2020.03.12.). [2보] WHO, 코로나19에 팬데믹 선언. https://m.yna.co.kr/view/AKR20200312002151088에서 2021년 11월 14일 인출. | 미소장 |
12 | 이상순 (2021).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와 보육교사의 심리적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3 | 임하진 (2021). 코로나19로 인해 달라진 보육환경에서 나타나는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4 | 장한송 (2021). 유아의 코로나19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5 | 질병관리청 (2021). 감시성과 활용. www.kdca.go.kr/에서 2021년 11월 14일 인출. | 미소장 |
16 | 최예린 (2020). 코로나 19에 대한 보육교사의 정서적 경험과달라진 어린이집 이상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연구, 22(1), 253-279. | 미소장 |
17 | 최윤경 (2020). 코로나19 유치원⋅어린이집 대응체계 점검및 현황 분석. 육아정책포럼, 65, 6-19. | 미소장 |
18 | 최은영 (2020). 유치원⋅어린이집의 코로나19 대응체계 진단 및 과제. 육아정책 Brief, 80. | 미소장 |
19 | 최은지, 권미량 (2021). 코로나19 상황에서 유아 교실의 변화와 놀이 지원방안에 대한 요구. 생태유아교육연구, 20(2), 189-218. | 미소장 |
20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2021). http://ncov.mohw.go.kr/에서 2021년 11월 14일 인출. | 미소장 |
21 | 한국연구재단 (2014). 연구윤리 실무 매뉴얼집. 10-13. | 미소장 |
22 | 홍성호, 강혜원, 김애숙, 김유진, 김정숙, 김태정, ... 최선숙(2021). 어린이집 원장의 보육교사 실습지도에 대한 인식과 개선방안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 1475-1503. | 미소장 |
23 | 홍성호, 강혜원, 유미림 (2020). 보육실습에서 경험한 예비보육교사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9), 777-807. | 미소장 |
24 | 황니나 (2021). 코로나19 유행 대비 어린이집용 대응 지침분석. 마이너리티연구, 4(1), 49-65. | 미소장 |
25 | Guba, E. G. (1985). The alternative paradigm dialog. In E. G. Guva (Ed.). The paradigm dialog (pp. 379-400). Newbury Park, CA: Sage. | 미소장 |
26 | Katz, L. G. (1972). Developmental stages of preschool teachers.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73(1), 50-54. | 미소장 |
27 | Padgett, D. K. (1998). Qualitative methods in social work research: Challenges and rewards. Thousand Oaks, CA: Sage. | 미소장 |
28 | Quinones, G., Barnes, M., & Berger, E. (2020). The emotional toll of COVID-19 among early childhood educators. Retrieved August 6, 2020, from https://thesector.com.au/2020/08/06/the-emotional-toll-of-covid-19-among-ea rly-childhood-educators/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