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일본교육사 교재 분석 : 한국어 번역 교재를 중심으로 = 日本教育史のテキストの分析 : 韓国語に翻訳されたテキストを中心に / 한용진 1
요약 1
I. 서론 2
II. 교육사 교재의 기본 구성과 서구 교육사의 수용 3
1. 교육사 연구영역의 다양성 3
2. 일본에서의 서구 교육사 수용과 교육사 서술 6
III. 번역된 일본교육사 교재의 기본 목차와 특징 9
1. 오가타 히로야사(大形裕康) 외 『(신간) 일본교육사』 9
2. 나카우치 도시오(中内敏夫)의 『새로운 교육사』 10
3. 쓰지모토 마사시(辻本雅史) 외 『일본교육의 사회사』 12
4. 가타기리 요시오(片桐芳雄) 외 『일본 교육의 역사』 13
IV. 맺음말 15
참고문헌 17
[요약] 19
본 연구는 교육학을 전공하는 사람들에게 기본적인 과목인 교육사의 교재 구성과 관련하여 일본교육사 교재를 분석하는 작업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로 번역된 4권의 일본교육사 교재를 주 대상으로 삼았다. 보편적 내용을 다루는 교육철학과 달리 교육사는 한국교육사, 일본교육사와 같이 국가별 특수성이 반영되고 있다. 일본교육사 교재 분석을 통해 얻어진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사 서술에 실증주의적 전통이 강하다. 이는 에도시대로부터 이어지는 것으로 서구의 랑케사학의 영향과 초기 일본교육사 서술이 제도사 중심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둘째, 교육사 목차 구성에 있어서 ‘치우친 시간성’을 들 수 있다. 고대사와 중세사가 매우 소략하고, 근세 이후 근대사 중심의 서술을 하고 있다. 셋째, 기존의 제도사 중심의 교육사 서술에서 교육사회사 중심의 변화를 엿볼 수 있다. 교육사학의 구조에서 본다면 생활중심의 일상사와 관련된 교육문화사적 경향이다. 이는 1980년대 중반 이후 아날학파의 영향이 교육사학 분야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분석대상의 교재들은 바로 이러한 교육사 분야의 변화 현상을 잘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この研究の目的は教育学を専攻する人々に基本的な科目である教育史のテキストの構成と関連して、日本教育史のテキストを分析することである。そのため、韓国で翻訳された日本教育史四冊を分析の対象にする。普遍的な内容を扱う教育哲学とは異なり、教育史は韓国教育史、日本教育史のように国別の特殊性が反映されている。日本敎育史のテキスト分析を通じて得られた本硏究の結論は次の通りである。一つ目は、日本教育史の敍述には實證主義的な伝統が強い。これは江戸時代から続いていることで、特に欧米のランケ史学の影響と初期日本教育史の記述が制度史中心だったからである。二つ目は、教育史の目次に見られる偏った時間性である。古代史や中世史は簡略し、江戸時代からの近世と19世紀半ばからの近代の内容が教育史の中心である。三つ目は、制度史から社会史や文化史への切り替えである。教育史学の構造からみると生活中心の日常史とつながる教育文化史的な傾向である。これは1980年代半ば以降、アナル学派の影響が教育史学分野にも影響を及ぼしたと考えられる。したがって、分析対象のテキストは、まさにこのような教育史分野の変化現象をよく示していると考えられる。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일본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특징 : 日本における高等学校教育課程の特徴 : 2018年改訂高等学校学習指導要領の地理科目を中心として / 2018년 개정 고등학교학습지도요령 지리과목을 중심으로 | 양병일 | p. 1-24 |
|
보기 |
일본교육사 교재 분석 : 日本教育史のテキストの分析 : 韓国語に翻訳されたテキストを中心に / 한국어 번역 교재를 중심으로 | 한용진 | p. 25-44 |
|
보기 |
일본 사회교육 성격에 대한 비판적 고찰 = 日本の社会教育の性格に関する批判的研究 | 윤정숙 | p. 45-68 |
|
보기 |
포스트 코로나 시대 일본의 학교교육 개혁 방향과 과제 : ポストコロナ時代における日本の学校教育改革の方向と課題 : ICT活用を中心に / ICT 활용을 중심으로 | 이정희 | p. 69-87 |
|
보기 |
한·일 특수교육 교육과정 사회과 비교 : 韓・日特殊教育教育課程における社会科の比較 : 特殊教育基本教育課程と知的障害特別支援学校学習指導要領を中心に /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과 지적장애 특별지원학교 학습지도요령을 중심으로 | 박남수 | p. 89-109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가타기리 요시오・기무라 하지메 외 지음, 이건상 옮김(2011). 일본 교육의 역사: 사회사적 시각에서(원제목: 教育から見る日本の社会と歴史). 서울: 논형. | 미소장 |
2 | 김우봉(2009). 二宮尊德의 동상건립에 대한 연구-일본 小田原市 소학교의 二宮金次郞像 설치현황을 중심으로-. 일본어문학, 1(40). 285-296. | 미소장 |
3 | 김응종(1991). 아날학파. 서울: 민음사. | 미소장 |
4 | 나카우치 도시오 지음, 김경희・변호걸 옮김(1995). 새로운 교육사 –제도사로부터 사회사로의 시도-. 서울: 집문당. | 미소장 |
5 | 레블레(A. Reble) 저, 정영근・임상록・김미환・최종인 공역(2005, 초판2002). 서양교육사. 서울: 문음사. | 미소장 |
6 | 쓰지모토 마사시・오키타 유쿠지 외 지음. 이기원・오성철 역(2011). 일본교육의 사회사(원제목: 新體系日本史 敎育社會史). 서울: 경인문화사. | 미소장 |
7 | 오가타 히로야사 외 저, 신용국 역(1993). (신간) 일본교육사. 서울: 교육출판사. | 미소장 |
8 | 이만규(2010). 다시 읽는 조선교육사. 서울: 살림터. | 미소장 |
9 | 정기섭(2021).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탐구: 사적고찰. 한국교육학회 제1차 학술포럼(2021.9.10.). 온라인 Zoom 학술대회 발표문. | 미소장 |
10 | 정영수(1998). 외국의 교육사 연구동향 및 교육현황– 독일, 미국, 일본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학, 20(-), 59-73. | 미소장 |
11 | 조무남(2004). 교육학론: 교육의 현상 밑에 무엇이 존재하는가.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12 | 주명철(2004). 이 책을 말한다: 《아동의 탄생》. 역사와 문화, 8(-). 195-204. | 미소장 |
13 | 필립 아리에스, 문지영(2003). 아동의 탄생. 서울: 새물결. | 미소장 |
14 | 한기언(1980). 교육사학. 서울: 세광공사. | 미소장 |
15 | 한기언(1998). 교육사의 가치와 목적의 재인식. 한국교육사학, 20(-), 1-14. | 미소장 |
16 | 한용진(2007). 교육학사 서설. 교육문제연구, 29(-), 23-43. | 미소장 |
17 | 한용진(2011). 교원양성과정에 있어서 교육사의 가치와 위상, 한국교육사학, 33(2), 151-169. | 미소장 |
18 | 한용진(2016). 일본에서의 교육사 교육의 역사, 한국교육사학회 연차학술대회 자료집(2016. 11.26.) | 미소장 |
19 | 한용진(2021). 정기섭의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탐구: 사적고찰에 대한 토론. 한국교육학회 제1차 학술포럼(2021.9.10.). 온라인 Zoom 학술대회 발표문. | 미소장 |
20 | 唐沢富太郎(1980). 明治敎育古典叢書(一)解說. 東京: 株式會社 國書刊行會. | 미소장 |
21 | 唐沢富太郎(1981). 明治敎育古典叢書(二)解說. 東京: 株式會社 國書刊行會 | 미소장 |
22 | 佐藤誠実 著, 仲新・酒井豊 校訂(1973), 日本敎育史. 東京: 平凡社. | 미소장 |
23 | 中内敏夫(1987). 新しい教育史 ー制度史から社会史への試みー. 東京: 新評論. | 미소장 |
24 | Albert, Reble 著, 広岡義之, 津田徹 共譯(2015), 敎育學の歴史. 東京: 靑土社. | 미소장 |
25 | [역사용어사전] 단어검색: 아날학파(Annales School, École des Annales)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177XX61300759에서 2021.12.25. 인출 | 미소장 |
26 | 인천대학교 일본문화연구소 http://japan.incheon.ac.kr/intro/organization.asp에서 2021.12.30. 인출 | 미소장 |
27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https://www.riss.kr | 미소장 |
28 | 紀伊國屋書店 웹사이트 https://www.kinokuniya.co.jp/f/dsg-01-9784791768974에서 2021.12.25. 인출 | 미소장 |
29 | みすず書房 웹사이트 https://www.msz.co.jp/book/detail/01832/에서 2022.1.5. 인출 | 미소장 |
30 | 日本 ウィキぺディア https://ja.wikipedia.org/wiki/%E5%8A%A0%E8%97%A4%E4%BB%81%E5%B9%B3에서 2021.12.31. 인출 | 미소장 |
31 |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乙竹岩造」 https://kotobank.jp/word/%E4%B9%99%E7%AB%B9%E5%B2%A9%E9%80%A0-40736에서 2021.12.31. 인출 | 미소장 |
32 | 20世紀日本人名事典(コトバンク) 「加藤仁平」 https://kotobank.jp/word/%E5%8A%A0%E8%97%A4%20%E4%BB%81%E5%B9%B3-1642304에서 2021.12.31. 인출 | 미소장 |
33 | Amazon 웹사이트 History and Progress of Education,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Present, Intended As a Manual for Teachers and Students https://www.amazon.com/History-Progress-Education-Earliest-Present/dp/1363207733?asin=1425529984&revisionId=&format=4&depth=1에서 2022.1.5. 인출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