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연구는 정신질환에 대한 기존의 정의를 개괄적으로 검토하고 DSM-5의 정신질환 정의를 고찰함으로써, DSM의 정의가 정상과 이상 사이의 경계 세우기라는 목적을 제대로 구현하지 못함을 보여주고, 정신질환의 정의에 관한 논의의 함의를 제시한다. 프랜시스와 필립스의 연구는 정신질환의 정의에 관련된 논의가 다양한 존재론적, 인식론적 기반 위에서 개진되었음을 알려준다. 기존의 논의는 크게 실재론적 태도와 정신질환 개념이 자의적이라는 구성주의적 태도로 나뉜다. DSM-5는 실재론적 입장을 견지하고 있으나, 진단에 가치적 개념을 포함하고 있고 실질적인 객관적 지표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DSM-III편집의 책임자인 스피처의 정신질환 정의 또한 같은 문제를 내포한다. DSM-5는 통일된 판단만을 보장할 뿐 정상과 이상 사이의 경계 세우기라는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청송. 2016. 「DSM의 변천사와 시대적 의미의 고찰」. 「한국심리학학회지 건강」 21(2): 475-493. | 미소장 |
2 | 박신환. 2010. 「DSM-5 시안 및 그 비판」.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집」 20: 133-149. | 미소장 |
3 | 박종석·강웅구. 2015. 「조현병의 역사」. 「신경정신의학」 54(4): 365-398. | 미소장 |
4 | 보건복지부. 2021. 「제2차 정신건강복지기본계획(2021~2025)」. | 미소장 |
5 | 이미경. 2018. 「건강 개념의 정립 -크리스토퍼 부어즈와 레나르트 노르덴펠트의 건강 논쟁을 중심으로-」. 「생명윤리정책연구」28: 81-99. | 미소장 |
6 | 서양근대철학회. 2001. 「서양근대철학」. 서울: 창비. | 미소장 |
7 | 신현정. 2020. 「개념과 범주적 사고」.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8 | 이영의. 2021. 「신경과학철학」. 서울: 아카넷. | 미소장 |
9 | 정우진. 2020. 「정신질환이란 무엇인가 -웨이크필드의 해석을 중심으로 살펴 본 정신질환 개념의 연구사적 논의와 전망-」. 「동서철학연구」 98호: 635-660. | 미소장 |
10 | 정우진. 2021. 「현대의학의 본체론적 질병관에 대한 철학적 반성과 대안적 질병관에 대한 고찰」. 「동서철학연구」 101. | 미소장 |
11 | 조태구. 2020. 「반이데올로기적 이데올로기」. 「철학」 142집: 142. | 미소장 |
12 | Allen Frances. 2014. 「정신병을 만드는 사람들」, 김명남 옮김. 서울: 사이언스북스. | 미소장 |
13 | Andrew Scull. 2017. 「광기와 문명」, 김미선 옮김. 서울: 뿌리와 이파리. | 미소장 |
14 | APA. 2016.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5판」, 권준수 외 역.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15 | Christopher Boorse. 1997. “A Rebuttal on Health.” James M. Humber & Robert F. Almeder eds. Biomedical Ethics Reviews, What is Disease? (1997). Human Press. | 미소장 |
16 | Edward Shorter. 2020. 「정신의학의 역사」, 최보문 옮김. 서울: 바다출판사. | 미소장 |
17 | E. H. Hare. 1962. “Masturbatory insanity: The history of an idea.” Journal of Mental Science 108(452): 1-25. | 미소장 |
18 | James C. Wakefield. 1992a. “The concept of Mental Disorder, On the Boundary Between Biological Facts and Social Value.” American Psychologist 47(3): 373-388. | 미소장 |
19 | James C. Wakefield. 1993. “Limits of Operationalization: A Critique of Spitzer and Endicott’s (1978) Proposed Operational Criteria for Mental Disorder.”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 미소장 |
20 | James C. Wakefield. 1999. “Mental Disorder as a Black Box Essentialist Concept.”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 미소장 |
21 | Kendell, R. E. 1975. “The concept of diseases and its implications for psychiatry.”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27(4): 305-315. | 미소장 |
22 | Peter Sedgwick. 1982. Psycho politics. Harper & Row. | 미소장 |
23 | Phillips et al. 2012. “The six most essential questions in psychiatric diagnosis: a pluralogue part 1: conceptual and definitional issues in psychiatric diagnosis.” Philosophy, Ethics, and Humanities in Medicine 7:3. | 미소장 |
24 | Robert L. Spitzer & Jean Endicott. 1978. “Medical and Mental Disorder: Proposed Definition and Criteria.” Robert L. Spitzer & Donald F. Klein eds. Critical Issues in Psychiatric Diagnosis. Raveb Press. (1978). | 미소장 |
25 | Ron Powers. 2019. 「내 아들은 조현병입니다.」, 정지인 옮김. 파주: 도서출판 푸른 숲. | 미소장 |
26 | Sandra Steingard. 2020. 「비판정신의학」, 장창현 옮김. 서울: 건강미디어협동조합. | 미소장 |
27 | Scott O. Lilienfeld & Lori Marino. 1995. “Mental Disorder as a Roschian Concept: A Critique of Wakefield’s “Harmful Dysfunction” Analysi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 미소장 |
28 | Scott O. Lilienfeld & Lori Marino. 1999. “Essentialism Revisited: Evolutionary Theory and the Concept of Mental Disorder.”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8(3). | 미소장 |
29 | Steeves Demazeux. 2015. “The function Debate and the Concept of Mental Disorder.” Philippe Huneman, Gerard Lambert, Marc Silberstein eds., Classification, Disease and Evidence. Springer. (2015). | 미소장 |
30 | Thomas S Szasz. 1997. The Manufacture of Madness. New York: Syracuse Uni. Press. | 미소장 |
31 | Thomas S Szasz. (1961) 2010. The My th o f Mental I llness: Foundations of a Theory of Personal Conduct. Harper & Collins.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0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