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20세기 80년대 이후, 중국 문학계에는 문학의 독립성을 추구하며 문학을 이데올로기와 정치로부터 벗어나게 하려는 흐름이 나타났다.

당대의 유명 작가 옌롄커(閻連科)는 그의 작품이 이데올로기성과 정치성을 갖고 있지 않으며 그의 작품에 대한 평론계도 그들의 논쟁이 이데올로기와 정치와 무관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사실상 옌롄커의 작품은 강렬한 ‘포스트사회주의’ 혹은 ‘반사회주의’적 이데올로기성과 정치성을 띠고 있으며, 평론계에서 흥미를 갖고 있는 것도 바로 이 이데올로기성과 정치성이다. 어떤 이데올로기와 정치가 이데올로기와 정치라는 것을 인정할 때에야 어떤 특수한 이데올로기와 정치를 보편적 진리로 상승시키지 않을 수 있고, 어떤 단일한 이데올로기와 정치에서 벗어나 과학과 현실로 들어갈 수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깨어나는 역사, 의거의 기억과 문학적 형상화 : A waking history, memory of the patriotic deed and literary figuration : focusing on ‘A trilogy of Korean Wave’ written by XiaNianSheng / 샤녠성(夏輦生)의 '한류삼부곡(韓流三部曲)'을 중심으로 류창진 p. 7-60

문학·이데올로기·정치 : Literature·ideology·politics : a glimpse of Yan Lianke’s works and the criticisms on them / 옌롄커(閻連科) 작품 및 그에 대한 비평 엿보기 장숴궈 p. 61-88
위화(余華)의 소설에 나타난 몸의 표상과 의미 = Symbol and meanings of body shown in Yu Hua’s novels : 『허삼관 매혈기(許三觀賣血記)』와 『제7일(第七天)』을 중심으로 김명희 p. 89-130

아동청소년 성지식과 성태도의 관계 분석 = Relational analysis of sexual knowledge and sexual attitude of younger adolescents 최혜란 p. 131-156
조선 전기 유불 교유의 일 양상 : A companionship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 Kang Hui-maeng (姜希孟) and Hak Jeon(學專)'s journey to the south in 1460 / 강희맹(姜希孟)과 학전(學專)의 경진년(1460) 남유(南遊)를 중심으로 강성규 p. 157-200

화산(華山) 정규한(鄭奎漢)의 불교 인식 = Hwasan Jeong Gyu-han’s recognition of Buddhism 김종수 p. 201-244
의지적인 것과 비의지적인 것, 그리고 유교적인 것 = The voluntary, the involuntary, and the Confucian 전종윤 p. 245-286

분단체제 하 재일조선인의 디아스포라적 정체성 : Japanese-Koreans diasporic identity under the divided system of Korea : images of marginal subject in the films of Yang Young-Hee / 재일조선인 영화감독 양영희의 작품을 통해서 나타난 경계인적 이미지 이태규 p. 287-325

참고문헌 (1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蔡翔, 「何謂文學本身」, 『當代作家評論』, 2002年 第6期. 미소장
2 王德威, 「革命時代的愛與死‐論閻連科的小說」, 『當代作家評論』, 2007年 第5期. 미소장
3 陶東風, 「從命運悲劇到社會歷史悲劇‐閻連科『年月日』, 『日光流年』, 『受活』綜論」, 『中國現代文學硏究叢刊』, 2016年 第2期. 미소장
4 陳曉明, 「給予本質與神實‐試論閻連科的頑强現實主義」, 『文藝爭鳴』, 2016年 第2期. 미소장
5 胡安江ㆍ祝一舒, 「譯介動機與闡釋維度‐試論閻連科作品法譯及其闡釋」, 『小說評論』, 2013年 第5期. 미소장
6 李陀ㆍ閻連科, 「『受活』: 超現實寫作的重要嘗試」, 『南方文壇』, 2004年 第2期. 미소장
7 邵燕君, 「與大地上的苦難擦肩而過‐由閻連科『受活』看當代鄕土文學現實主義傳統的失落」, 『文藝理論 與批評』, 2004年 第6期. 미소장
8 邵燕君, 「荒誕還是荒唐, 瀆聖還是褻瀆?‐由閻連科『風雅頌』批評某種不良的寫作傾向」, 『文藝爭鳴』, 2008年 第10期. 미소장
9 曠新年, 「穿制服的『作家』: 解讀閻連科」, 『文藝爭鳴』, 2016年 第2期. 미소장
10 閻連科, 「『烏托邦』籠罩下的個人寫作―在韓國外國語大學的演講」, 『渤海大學學報』, 2009年 第2期. 미소장
11 閻連科ㆍ張學昕, 『我的現實 我的主義: 閻連科文學對話錄』, 中國人民大學出版社, 2011. 미소장
12 閻連科, 『發現小說』, 人民文學出版社, 2014. 미소장
13 陳越 編, 『哲學與政治: 阿爾都塞讀本』, 吉林人民出版社, 2003.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