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교양 마이크로디그리와 복수 학위제도의 효용성 = A liberal arts micro degree and efficacy of dual degree system 강연임 p. 7-35
1980년대 사회과학 책 읽기와 교양 패러다임의 전환 = The study on the reading of social sciences and the transition of the culture paradigm in the 1980s 박숙자 p. 37-75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역량기반 대학교양교육 현황과 과제 : Current status and tasks of competency-based university liberal education for accommodating the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 with a focus on Jeju National University 2021 curriculum / 제주대학교 2021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김치완 p. 79-109
참여형 학습(Engaged Learning)방법을 활용한 기독교교양필수 교과목 개선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hristian liberal arts requirement subject using engaged learning method : focused on the class case study at S-university / S대학의 기독교교양필수교과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박도현, 성신형 p. 111-138
디지털 시대, 뉴스레터를 활용한 설명적 글쓰기 교육 방안 연구 = A study on educational methods for explanatory writing using newsletters in the digital age 손혜숙 p. 139-167
비대면 환경에서 '온라인 독서토론대회' 운영사례와 학생 참여 촉진요인 고찰 = A case study about the operation of ‘online reading debate competition’ and facilitating factors about student's activity under untact environment 신희선 p. 169-212

브런즈윅의 렌즈 모델의 교양교육 연구 적용 가능성과 의의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and significance of Brunswick's lens model to liberal arts education research 임낭연 p. 213-240
교육 토론 활성화의 요인으로서 사회적 공감 : Social empathy as a factor in revitalizing academic debate : focusing on the case of S university curriculum-linked program <Discussion Clinic> / S대 교과연계 프로그램 <토론클리닉> 사례를 중심으로 임보람 p. 241-271
메타버시티의 도래와 교양교육의 책무 : The advent of the metaversity and the responsibility of liberal arts education : focused on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due to COVID-19 persistence and the rise of the metaverse / COVID-19의 지속과 메타버스의 부상에 따른 교육환경의 변화를 중심으로 정연재 p. 273-301
교양교육으로서의 비판적 사고 : Critical thinking as liberal education : its meaning and necessity / 의미와 필요성 최선화 p. 303-323
온라인 기반 시스템을 활용한 수업 사례 및 개선안 : Class cases and improvement proposal using online-based systems : focusing on the case of H university / H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최재희 p. 325-348
민중성 발견으로 향해 나아가는 이야기의 힘 : The power of stories moving towards the discovery of the people spirit : the novel 『Gwanchon Supil』 by Lee Mun-gu / 이문구의 『관촌수필』 오창은 p. 351-389

참고문헌 (2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숙명여자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제1회 온라인 독서토론대회 자료. 미소장
2 숙명여자대학교 2021년 2학기 <비판적 사고와 토론(013)> 수업에 제출한학생 성찰일지 자료. 미소장
3 2020년 제5회 겨레얼살리기 전국대학생 온라인독서토론대회 자료. 미소장
4 권성욱(2011), 「대학생 토론대회의 현황과 개선방안-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최 토론대회 사례를 중심으로」,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제20권,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미소장
5 김성우・엄기호(2020), 『유튜브는 책을 집어삼킬 것인가』, 따비. 미소장
6 김정녀・유혜원(2014), 「국어교육: 대학 교양교육으로서의 독서토론교육 방안 연구-비교과 프로그램 <창의적 고전 읽기 세미나>지도 사례를 중심으로」, 『배달말』 제55권, 배달말학회. 미소장
7 김지인(2021),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동기, 개인의 환경적 요인이 참여 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프로그램 유용성, 학습 전이 기대,학습 정서를 매개변수로」, 건양대학교 보건학과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8 남진숙・이임정(2018), 「고등학교의 독서토론교육 및 독서토론대회의현황과 발전적 대안」, 『사고와 표현』 제11권 제2호, 한국사고와표현학회. 미소장
9 배상훈・한송이(2015), 「대학생의 수업 외 활동이 능동적․협동적 학습및 대학 몰입에 미치는 영향」, 『교육학연구』 제53권 제2호, 한국교육학회. 미소장
10 서정혁(2009), 「“찬반 대립형 독서토론” 모형 연구-교보・숙명 전국독서토론대회 모형을 중심으로」, 『독서연구』 제21권, 한국독서학회. 미소장
11 신희선(2013), 「인문학 독서토론 수업을 통한 인성교육의 가능성 고찰」, 『윤리연구』 제90권, 한국윤리학회. 미소장
12 신희선(2020.08.26), 「뷰카, 온택트, 그리고 교양교육」, 『교수신문』. 미소장
13 신희선(2021), 「비대면 환경에서 글쓰기 교과와 연계된 비교과 사례연구-북토크와 독서토론대회를 중심으로」, 『한국사고와표현학회제33회 전국학술대회 자료집』, 한국사고와표현학회. 미소장
14 오방실・김경리(2021), 「대학 자체교육인증에 따른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효과: K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학연구』 제16집,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미소장
15 이재왕・양용칠(2008), 「온라인 토론방식이 비판적 사고와 인지적 참여에미치는 영향」, 『대한사고개발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대한사고개발학회. 미소장
16 야마구치 슈 지음, 김윤경 옮김(2020), 『뉴 타입의 시대』, 인플루엔셜. 미소장
17 이림(2018), 「대학교육에서의 비교과교육 발전 방향에 대한 논의」, 『교육문제연구』 제31권 제4호,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미소장
18 이황직(2007), 「개방형 논제 제시 독서토론 모형 연구」, 『독서연구』 제 17집, 한국독서학회. 미소장
19 전희락(2011), 「학교 토론교육 및 토론대회 활성화를 위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의 역할에 관한 연구」,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제20권,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미소장
20 정종기(2005), 「면대면 독서토론과 웹기반 독서토론의 효과 비교」,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6권 제3호, 한국도서관・정보학회. 미소장
21 허경호・배수진(2013), 「온라인 1:1 화상 토론 대회의 교육적 성과 및제언-온소통 화상토론 솔루션을 이용한 토론대회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소통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소통학회. 미소장
22 황희선(2021), 「대학 교양 강의에서의 비대면 토론 방안 연구-자기성찰노트를 분석 대상으로」, 『교양학연구』 제15집,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