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무용작품 「경계에서」의 연구 = A study of dance work 「Liminality」 / 정이와 ; 조기숙 1

국문초록 1

I. 서론 2

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2

1.2. 연구방법 및 절차 3

II. 무용작품 「경계에서」 창작과정 4

2.1. 연습초기단계 5

2.2. 연습후기단계 6

2.3. 안무 및 구성 11

III. 무용작품 「경계에서」 분석 12

3.1. 장면별 움직임 분석 12

3.2. 작품특징 및 논의 14

IV. 결론 및 시사점 17

참고문헌 19

ABSTRACT 20

초록보기

본 논문은 균형과 불균형의 경계에서의 움직임을 탐구하여 창작한 무용작품 「경계에서」를 연구하여 연구자의 안무방법을 개발하고, 안무가로서 점검과 예술적 방향을 확립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실기기반연구법(Practice Based Research)을 사용하여 무용작품 「경계에서」의 작품구상부터 안무 및 연습, 그리고 공연까지의 전 창작과정과 공연된 작품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움직임 탐구과정에서 무용수들의 자발적 참여를 촉진하는 워크숍을 진행한 결과, 무용수들은 자신만의 고유한 균형 상태를 ‘감각’하였다. 둘째, 불균형 상태의 감각을 느끼게 함으로써 중심축 정렬의 변화, 다양한 방향으로의 무게중심 이동, 무용수들 간의 몸, 몸과 지면 간의 접촉에 의한 상호 작용을 통해 ‘새로운 움직임’을 이끌어낼 수 있었다. 셋째, 작품분석을 통해 균형과 불균형이 공존하는 영역인 경계에서 ‘불안정성’, ‘역동성’, ‘유동성’의 움직임 특성이 드러났다. 본 연구는 작품줄거리의 전개나 특정 관념을 표현하는 발레 창작과 달리 실험적 방식으로 움직임 탐구를 통해서 발레 작품을 창작했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또한 안무자와 무용수의 관계가 창작의 동반자로서 소통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이들의 상호작용이 작품의 예술적 표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안무자로서 예술에 대한 도전의식을 함양하고, 포스트모던 시대의 안무방식에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하는데 의의를 가진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 클래식발레에서의 균형에 대한 인식을 확장하여 몸의 균형과 불균형을 오고가는 과정에서 발레무용수가 어떠한 선택과 결정을 통해 움직임을 이어가는지 면밀히 탐구하고자 한다. 그리고 균형에서 벗어난 불균형 상태에서 다시 새로운 균형의 상태로 넘어 가고자 하는 경계에서 나타나는 독창적인 움직임과 그 특성을 확인하였다. 실기기반연구를 활용한 본 연구가 움직임 탐구를 기반으로 창작발레를 하려는 예술가들에게 하나의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고대 그리스 비극과 신화를 바탕으로 한 극의 형식이 음악과 결합한 작품의 비교분석에 관한 고찰 : Based on ancient Greek tragedies and myths a work in which the form of a play is combined with music review on comparative analysis : focusing on the original musical play 'The Chorus; Oedipus' and the Licensed Musical 'Hades Town' / 창작 음악극 '더 코러스; 오이디푸스'와 라이선스 뮤지컬 '하데스 타운'을 중심으로 조성범 p. 1-19

보기
무용작품 <멈추지 않는 순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ance work 「Immortal Life through Passage of Time」 : 윤회 특성을 기반으로 김정아, 조기숙 p. 21-40

보기
캐서린 비글로우의 영화 <허트 로커>의 작품세계와 표현 기법에 관한 연구 = An exploration of Kathryn Bigelow's concept and approach for the film, <The Hurt Locker> 손봉희 p. 41-53

보기
무용작품 「경계에서」의 연구 = A study of dance work 「Liminality」 정이와, 조기숙 p. 55-74

보기
충북지역 역사 인물을 중심으로 한 공연콘텐츠 개발사례연구 : A case study of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content focusing on historical figures in the chungbuk region : focused on the performance <The Constancy in the Storm> / 공연 <광풍의 절개>를 중심으로 한정수, 오진호 p. 75-90

보기
한국 마당극 공연사 연구 = The study on history of Korea Madangkuk performances 서상규 p. 91-107

보기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비대면 공연 분석 연구 : Study on untact performanc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 with priority given to the cases of domestic performance art group / 국내 공연예술단체 사례 중심으로 신창식 p. 109-133

보기
해체와 재구축 : D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 research on the strategies of South Korean remakes of Chinese crime films : a case study of South Korean films Heart Blackened and Hostage: Missing Celebrity / 한국의 중국 범죄영화 리메이크 전략 연구 : 한국 영화 <침묵>과 <인질>을 중심으로 장한, 주정, 이상은 p. 135-155

보기
가상자산을 활용한 문화예술의 산업화 가능성 : Possibility of industrialization of culture and art using virtual assets : focusing on NFT and metaverse / NFT와 메타버스를 중심으로 김종두 p. 157-173

보기
한중 현대 민족지 사진의 차별화 연구 : Research on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ntemporary ethnographic photos : take Ryu Eun-kyu's "Story of Qinghedong" and Lu Nan's "Four Seasons : Daily Life in Tibet" as Examples / 류은규의 작품 『청학동 이야기』와 여남(呂楠)의 작품 『사계절: 티베트의 일상생활(西藏的日常生活)』을 중심으로 두효미, 김성우, 이상은 p. 175-195

보기
Virtual Production을 활용한 영상 제작 실습 방법연구 = A study on video production practical education using virtual production 김형재, 윤수인 p. 197-224

보기

참고문헌 (1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정명(2016). 예술지성-소마논리. 서울: 명지대학교출판부. 미소장
2 빅터 터너 저, 이기우, 김익두 옮김(1996). 제의에서 연극으로: 인간이. 지니는 놀이의 진지성. 서울: 현대미학사. 미소장
3 신시아 J. 노박 저, 서진은 옮김(2000). (접촉에 의한)즉흥무용의 이해: 접촉에 의한 즉흥행위와미국문화. 서울: 금광. 미소장
4 최현석(2009). 인간의 모든 감각. 경기: 서해문집. 미소장
5 페기 헤크니 저, 신상미, 김재리 옮김(2015). 몸 움직임 세상 연결하기. 서울: 대경북스. 미소장
6 Hanna, T.(1993). The Body of Life; Creating New Pathways of Sensory Awareness and Fluid Movement. Healing Art Press. 미소장
7 이나현(2016). 질 들뢰즈(Gilles Deleuze)의 감성론을 통한 즉흥 방식에 대한 연구-스티브 팩스톤 (Steve Paxton)의 접촉 즉흥과 윌리엄 포사이드(William Forsythe)의 즉흥 테크놀러지를 중심 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8 조기숙(2009). 주체적인 몸 살아있는 춤-몸학(somatics)에 기반 한 안무방식에 관한 탐구. 대한무용학회논문집, 61, 260-276. 미소장
9 조기숙(2013). 무용에서 ‘실기에 기반을 둔 연구’에 관한 고찰-개념과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무용기록학회지, 31, 229-255. 미소장
10 토마스 하나 저, 김정명 옮김(2007). 몸학이란 무엇인가?. 체육논집, 18. 미소장
11 한혜주(2016). 무용작품 「순례」연구: 무용수의 ‘몸의 인격성’을 찾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2 무용작품 「경계에서」의 연습영상. 미소장
13 무용작품 「경계에서」의 공연영상 및 사진. 미소장
14 무용작품 「경계에서」의 작업일지 및 연습녹취록(기록기간: 2020.03.06.~2020.06.06.).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