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백두산 화산의 지체구조 추론을 위한 지구화학적 데이터를 이용한 기초 평가 = Initial evaluation using geochemical data to infer tectonic setting of Mt. Baekdu/Changbaishan volcano / 윤성효 ; 장철우 ; 판보 1

Abstract 1

요약 2

서언 2

백두산의 화산활동사 2

백두산 화산활동 해석 모델 3

지화학적 자료 해석 5

지체구조판별도 해석 6

미량원소 조성 특성 9

판내부 마그마 성인 고찰 9

결론 10

사사 11

References 11

초록보기

백두산 성층화산체와 천지 칼데라 외륜산 정상부에 분포하는 홀로세에 분화한 규장질 화산암 시료와 플라이스토세 개마용암대지와 장백산순상화산체의 고철질 화산암 시료의 암석화학적 특징 분석을 통해 지체구조적 위치를 알아보았다. 백두산 화산지대에서 초기 고철질 분출물들은 개마용암대지와 장백산순상화산체를 형성하였으며, 대부분 알칼리계열의 현무암에서 조면현무암 또는 서브-알칼리(쏠레이아이트) 현무암에서 현무암질안산암의 성분이며, 백두산 성층화산체와 천지 칼데라 정상부 부근의 홀로세 분출물은 대부분 규장질의 조면암에서 유문암 성분이다. 고철질 화산암류와 규장질 화산암류 사이의 SiO2 54-62 wt.%가 결핍된 쌍모식 조성을 나타낸다. 이는 마그마작용이 지각내 신장형 지체구조적 위치에서 발생하였음을 지시하는 단서가 될 수 있다. 지구조판별도에서 고철질 화산암류들은 판내부 또는 판내부 알칼리암과 쏠레이아이트암의 영역에 구분되어 도시되는데 이는 TAS성분도의 결과와 잘 일치한다. 규장질 화산암류들은 규장질 화강암류에 적용하는 판별도에서 판내부화강암(WPG)의 지체구조적 위치에 도시된다. 지구조 판별도에서판의 섭입과 관련한 도호 또는 대륙연변호의 영역에는 도시되지 않으며, 모두 판내부 영역에 도시된다. 미량원소 함량을 원시맨틀값으로 표준화한 거미도에서 섭입대 화산암류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Nb, Ti 의 부(−) 이상을 나타내지않으며, OIB와 유사한 패턴을 나타낸다. 미량원소 함량 조성은 섭입대에서 유래된 마그마 작용에 연관된 의미있는 증거를 나타내지 않는다. 이는 백두산화산지대의 마그마작용이 판내부 환경에서 있었음을 지시한다. 이들 화산암류의 판내부 지체구조 위치는 이 지역에서 발생하는 천발지진의 진원 깊이와도 조화적이다. 백두산화산지대의 화산암석들은 신생대 동안 맨틀 물질의 용승에 의한 판내부 화산활동의 결과로 해석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원격 유성 분광 관측 시스템 구축과 관측 사례 연구 = Establishment of remote meteor spectroscopic observation system and observation case study 최동열 p. 1-22

보기
한국에 영향을 미치는 약해진 열대저기압 활동과 태평양 10년 주기 진동과의 관계 = A possible relation of Pacific decadal oscillation with weakened tropical cyclone activity over South Korea 장민희, 박두선, 김다솔, 박태원 p. 23-29

보기
1981-2020년 기간 동아시아 지역 산불 발생 위험도의 변동성 및 변화 특성 = Variability and changes of wildfire potential over East Asia from 1981 to 2020 이준이, 이두영 p. 30-40

보기
온실가스 배출량 시계열 분석과 전망 배출량 및 감축 감재량 추정 : Time-series analysis and estimation of prospect emissions and prospected reduc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in Chungbuk / 충북을 중심으로 정옥진, 문윤섭, 윤대옥, 송형규 p. 41-59

보기
리눅스 기반 U.K. 지구시스템모형을 이용한 동아시아 SO2 배출에 따른 기상장 변화 = Changes in meteorological variables by SO2 emissions over Eastasia using a linux-based U.K. earth system model 윤대옥, 송형규, 이조한 p. 60-76

보기
한국의 고농도 PM10 연무 사례일 발생에 대한 대기 블로킹의 영향과 장거리 수송 기여도 분석 = Analysis of impacts of the Northeast Pacific atmospheric blocking and contribution of regional transport to high-PM10 haze days in Korea 정재은, 조재희, 김학성 p. 77-90

보기
우리나라 주변 바다의 산성화 현황과 영향 요인 분석 = A review on ocean acidification and factors affecting it in Korean waters 김태욱, 김동선, 박근하, 고영호, 모아라 p. 91-109

보기
가뭄으로 인한 농업용 저수지의 수질 변화 연구 = A study of changes in the water quality of agricultural reservoirs due to drought 조성현, 황순호, 이동근, 이군택, 최정훈 p. 110-118

보기
태풍으로 인한 폐광산 하류 지역에서 환경피해 연구 = A study on environmental damage due to typhoons in downstream area of abandoned mine 조성현, 이동근, 이군택, 권오경, 김태승 p. 119-127

보기
백두산 화산의 지체구조 추론을 위한 지구화학적 데이터를 이용한 기초 평가 = Initial evaluation using geochemical data to infer tectonic setting of Mt. Baekdu/Changbaishan volcano 윤성효, 장철우, 판보 p. 128-139

보기
동해 울릉도-독도 화산그룹 분화사 다중스케일 연구 = Eruptive history of the Ulleungdo-Dokdo volcanic group, the East Sea : a multi-scale approach 김기범, 이재혁, 안호준, 제윤희 p. 140-150

보기
고지진학적 자료를 이용한 울산단층대 중부 말방지역에서의 단층운동 특성 해석 = Characterization of fault kinematics based on paleoseismic data in the Malbang area in the central part of the Ulsan fault zone 박기웅, Naik Sambit Prasanajit, 권오상, 신현조, 김영석 p. 151-164

보기
국내 연구진의 지하수를 이용한 지진 연구 동향 분석 = Review of earthquake studies associated with groundwater by Korean researchers 윤설민, 함세영, 정재열, 이현아 p. 165-175

보기
지자체 지진방재 대책을 위한 지질과 지반정보관리 정책 제언 = Policy suggestions for geological and geotechnical information management in earthquake hazard mitigation measures by local governments 임현지, 송철우, 하상민, 김민철, 손문 p. 176-187

보기
포항지역 HVSR에 의한 기반암 심도와 단층 식별 연구 = Bedrock depth variations and their applications to identify blind faults in the Pohang area using the horizontal-to-vertical spectral ratio (HVSR) 강수영, 김광희 p. 188-198

보기
지진 재해에 대한 시민들의 준비도 분석 = Analysis of Korean citizens' preparedness for earthquake hazards 이기영, 하민수, 한주, 이창욱 p. 199-209

보기
예비 지구과학교사들의 기후변화 모델 평가 기준 탐색 = Exploring criteria of evaluation of climate change models by preservice earth science teachers 하윤희, 차현정, 신현정, 김찬종 p. 210-223

보기
'우주 위험' 관련 뉴스 기사의 텍스트 마이닝 분석 연구 = Text mining analysis of news articles related to 'space hazard' 조훈, 손정주 p. 224-235

보기

참고문헌 (3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Baier, J., Audétat, A. and Keppler, H., 2008, The origin of the negative niobium tantalum anomaly in subduction zone magmas.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 267, 290-300. 미소장
2 Chen, Y., Zhang, Y., Graham, D., Su, S. and Deng, J., 2007, Geochemistry of Cenozoic basalts and mantle xenoliths in northeast China. Lithos, 96, 108-126. 미소장
3 Kuritani, T., Kimura, J., Miyamoto, T., Wei, H. and Shimano, T., 2009, Intraplate magmatism related to deceleration of upwelling asthenospheric mantle:Implications from the Changbaishan shield basalts, northeast China. Lithos, 112, 247-258. 미소장
4 Kuritani, T., Ohtani, E. and Kimura, J.I., 2011, Intensive hydration of the mantle transition zone beneath China caused by ancient slab stagnation. Nature Geoscience Letters, 713-716. 미소장
5 Le Bas, M.J., Le Maitre, R.W., Streckeisen, A. and Zanettin, B., 1986, A chemical classification of volcanic rocks based on the total alkalis-silica diagram. Journal of Petrology, 27, 745-750. 미소장
6 Lee, S.H., Jang, E.S. and Lee, H.M., 2012, A case analysis of volcanic ash dispersion under various volcanic explosivity index of the Mt. Baegdu.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3(3), 280-293. 미소장
7 Le Maitre, R.W., 1989, A propose by the IUGS subcomission on the systematics of igneous rocks for a chemical classification of volcanic rocks based on the total alkali silica (TAS) diagram. Australian Journal of Earth Science, 31, 243-255. 미소장
8 Liu, J., Han, J. and Fyfe, W., 2001, Cenozoic episodic volcanism and continental rifting in northeast China and possible link to Japan Sea development as revealed from K.Ar geochronology. Tectonophysics, 339, 385-401. 미소장
9 Liu, R., Sun, J. and Chen, W., 1983, Cenozoic basalts in North China their distribution,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tectonic implications. Geochemistry, 2, 17-33. 미소장
10 Meschede, M., 1986, A method of discriminating between different types of mid-ocean ridge basalts and continental tholeiites with the Nb-Zr-Y diagram. Chemical Geology, 56, 207-218. 미소장
11 Ohtani, E. and Zhao, D., 2009, The role of water in the deep upper mantle and transition zone: dehydration of stagnant slabs and its effects on the big mantle wedge. Russian Geology and Geophysics, 50, 1073-1078. 미소장
12 Pan, B., Silva, S.L., Xu, J., Chen, Z., Miggins, D.P. and Wei, Q., 2017, The VEI-7 Millennium eruption, Changbaishan-Tianchi volcano, China/DPRK: New field, petrological, and chemical constraints on stratigraphy, volcanology, and magma dynamics.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343, 45–59. 미소장
13 Pearce, J.A., 1983, Role of the sub-continental lithosphere in magma genesis at active continental margins, In:Hawkesworth, C.J. and Norry, M.J. eds. Continental basalts and mantle xenoliths, Nantwich, Cheshire: Shiva Publications, 230-249. 미소장
14 Pearce, J.A., Harris, N.B.W. and Tindle, A.G., 1984, Trace element discrimination diagram for the tectonic interpretation of granitic rocks. Journal of Petrology, 25, 956-983. 미소장
15 Pearce, J.A. and Norry, M.J., 1979, Petrogenetic implications of Ti, Zr, Y, and Nb variations in volcanic rocks. Contributions to Mineralogy and Petrology, 69, 33-47. 미소장
16 Sun, S.-S. and McDonough, W.F., 1989. Chemical and isotopic systematics of oceanic basalts: implications for mantle composition and processes. In: Saunders, A.D., Norry, M.J. Eds., Magmatism in Ocean Basins. Geological Society London Special Publications, London, 42, 313-345. 미소장
17 Tang, Y., Obayashi, M., Niu, F., Grand, S.P., Chen, Y.J.,Kawakatsu, H., Tanaka, S., Ning, J. and Ni, J.F., 2014, Changbaishan volcanism in northeast China linked to subduction-induced mantle upwelling. Nature Geoscience, 7, 470-475. 미소장
18 Wei, H., 2010, Magma up-moving process within the magma prism beneath the Changbaishan volcanoes. Earth Science Frontiers, 17(1), 11-23. 미소장
19 Wei, H., Liu, G. and Gill, J., 2013, Review of eruptive activity at Tianchi volcano, Changbaishan, northeast China: implications for possible future eruptions. Bulletin of Volcanology, 75, 706: 1-14. 미소장
20 Wood, D. A., 1980, The application of a Th-Hf-Ta diagram to problems of tectonomagmatic classification and to establishing the nature of crustal contamination of basaltic lavas of the British Tertiary Volcanic Province.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50, 11-30. 미소장
21 Xu, J.D., Pan, B., Liu, T.Z., Hajdas, I., Zhao, B., Yu, H.M., Liu, R.X. and Zhao P., 2013, Climatic impact of the Millennium eruption of Changbaishan volcano in China: New insights from high-precision radiocarbon wigglematch dating.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40, 54-59. 미소장
22 Xu, J., Liu, G., Wu, J., Ming, Y., Wang, Q., Cui, D., Shangguan A., Pan, B., Lin, X. and Liu, J., 2012, Recent unrest of Changbaishan volcano, northeast China: A precursor of a future eruption?.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9, 1-7. 미소장
23 Ye, H., Zhang, B. and Mao, F., 1987, The Cenozoic tectonic evolution of the Great North China: two types of rifting and crustal necking in the Great North China and their tectonic implications. Tectonophysics, 133, 217-227. 미소장
24 Yun, S.H., 2013, Volcanological interpretation of historical eruptions of Mt. Baekdusan volcano.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4, 456-469. 미소장
25 Yun, S.H., 2015, Probalbility of southwards dispersal of volcanic ash from Mt. Baekdu volcano. Proceedings of the Annual Joint Conference,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and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May 28-29, 2015, Andong, Korea, 186-188. 미소장
26 Yun, S.H. and Koh, J.S., 2014, Pe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volcanic rocks of historic era at Mt. Baekdusan.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0, 753-769. 미소장
27 Yun, S.H., Koh, J.S. and Chang C., 2018, Geochemical composition of volcanic ash from historical eruptions of Mt. Baekdu, Korea.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7(1), 37-47. 미소장
28 Yun, S.H. and Lee, J.H., 2012, Analysis of unrest signs of activity at the Baegdusan volcano.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1(1), 1-12. 미소장
29 Yun, S.H., Won, C.K. and Lee, M.W., 1993, Cenozoic volcanic activity and petrochemistry of volcanic rocks in the Mt. Paektu area.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9, 291-307. 미소장
30 Yun, S.H., Won, C.K. and Lee, M.W., 2004, Volcanic activity and formation process of Mt. Baegdu. Proceedings of the 2004 Symposium (Igneous Activity in Korea)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24-136. 미소장
31 Zhao, D., Lei, J. and Tang, R., 2004, Origin of the Changbai intraplate volcanism in Northeast China:evidence from seismic tomography. Chinese Science Bulletin, 49, 1401-1408. 미소장
32 Zhao, D., Tian, Y., Lei, J., Liu, L. and Zheng, S., 2009, Seismic image and origin of the Changbai intraplate volcano in East Asia: Role of big mantle wedge above the stagnant Pacific slab. Physics of the Earth and Planetary Interios, 173, 197-206. 미소장
33 Zhou, X.H. and Armstrong, R.L., 1982, Cenozoic volcanic rocks of eastern China: Secular and geographic trends in chemistry and strontium isotopic composition.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58, 301-329. 미소장
34 Zhou, H., Fan, Q. and Yao, Y., 2008, U-Th systematics of dispersed young volcanoes in NE China: Asthenosphere upwelling caused by piling up and upward thickening of stagnant Pacific slab. Chemical Geology, 255, 134-14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