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른바 ‘4차산업혁명’의 전개와 함께 기술발전의 속도가 빨라지고 노동시장의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간숙련도의 관리자가 소멸하고 중간층이 몰락하고 있다. 인문학 전공자가 갈 곳을 잃고, 대학에서 인문학이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유럽에서 근대대학이 성립한 이후 교양교육은 대학교육의 비판성과 보편성을 확보하기 위한 필수장치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인문학의 위기와 함께 대학에서 교양교육이 차지하는 위상도 함께 동요하고 있다.

해방 이후 한국대학의 교양교육은 일본식과 미국식 모델이 절충되는 가운데 가치중립적 성격이 강화됨과 함께 전공교육의 주변적 성격 역시 심화되었다. 1974년 한국사가 대학에서 법정 교양과목으로 지정되면서, 한국사 교양교육은 폭발적으로 확대되었다. 국책과목으로 지정되면서 강화된 한국사 교육의 민족주의적 성격은 1989년 국책과목에서 해제된 이후에도 어느정도 유지되고 있다. 근대역사학의 토대가 근본적으로 흔들리고 있는 상황에서, 비판성과 보편성 그리고 상상력을 함양할 수 있는 한국사 교양교육을 모색해나가야 할 필요가 절실하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인류세를 위한 교양, 빅 히스토리 = Big history : general education for the anthropocene 김기봉 p. 11-22

자유교육의 성격 다시 보기 = The nature of liberal education revisited 박병철 p. 23-35

한국 대학의 한국사 교양교육과 역사학 = General education in university of Korea and Korean history 윤해동 p. 39-50

비인지적 능력이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non-cognitive ability on the performance of the labor market 박철성, 최강식 p. 51-59

일본 대학의 후기교양교육 실태조사 연구 : A study on actual situations of 'the late generalization' in Japanese universities : focused on cases of the University of Tokyo / 도쿄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김경희 p. 61-72

4년제 대학의 교양교육 성과를 결정하는 요인 탐색 연구 = A study of the determinants of general education at four-year universities 이영주, 김동심 p. 73-90

전문대학 기초교양컨설팅 현황 연구 =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basic liberal arts consulting for junior colleges 권준원 p. 91-103

배려 교육을 통한 윤리적 관계 정립 = Establishing ethical relationships through care education 김민영, 김무영 p. 105-115

포스트코로나 시대, 기초교양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고찰 : A study on a teaching & learning method for basic and general education in the post-corona : focusing on the blended learning / 블렌디드 러닝을 중심으로 신종호, 송하석 p. 117-130

디지털시대 교수학습법으로서 연결주의 수업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a connectivism based lecture as an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course in the digital era 김미수 p. 131-146

<고전읽기와토론> 강좌에서 자기주도학습 역량증진을 위한 노션(Notion)앱 활용 사례연구 = A case study of applying 'Notion' when Reading Classics of Great Literature 오진영 p. 147-171

역량기반 교양필수 교과목 개발 및 운영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developing and running a competency : based general education class / <삶과꿈>을 중심으로 신영헌, 이지영 p. 173-187

'자유프로젝트'를 통해 본 대학 인성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character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 a case study of student experience in a service learning course / 인성교과목 운영사례와 수강경험을 중심으로 정나리, 이교일, 하영명 p. 189-205

Students' perceptions of L1 use in online EFL classes : 비대면 영어 수업에서의 모국어 사용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조사 : 초급 레벨 한국 대학생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beginner-level Korean college students John Franzese, Cho, Youngsang p. 207-225

요약적 사고의 시각화 과정으로서의 구조도 활용 교수 방안 = A teaching methods of structural mapping as a visualization process of summary thinking 김남미 p. 227-240

글쓰기 자기 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writing efficacy scale 한윤영, 한래희 p. 241-253

한국어 문법 교육을 위한 형태 초점과 과제 중심의 절충적 수업 모형 = Instructional design of Korean grammar education centered on FonF and TBLT 박수진, 최보선 p. 255-268

메타 계량 활용 한국어 필수 학술기본어휘집 개발 기초 연구 = A basic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ssential Korean academic vocabulary collection using meta-metering 한윤정 p. 269-285

문화 다양성을 위한 음악 교양교육 : Music general education for cultural diversity : focusing on American music historiography / 미국 음악사 서술을 중심으로 김수진 p. 287-297

대학 교양수업의 비대면 교수법 연구 : A study on a contact-free teaching method for the liberal arts program in colleges : focus on Chinese character class / '교양한문'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황수정, 한예원 p. 299-313

비교과프로그램 모듈화를 통한 역량기반 교양교과목 개발 및 운영에 관한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competency : based liberal arts courses in a modularized non-curriculum program / 신입생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G-MAP설계도’를 중심으로 최미숙 p. 315-337

참고문헌 (4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명숙(2002). “미군정기 대학 단일화 정책 수립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 29(2), 한국교육개발원, 433-453. 미소장
2 강명숙(2002). “미군정기 대학 교육과정 운영의 변화와 그 의미”, 한국교육사학 24(1), 한국교육사학회, 87-104. 미소장
3 강명숙(2003). “미군정기 고등교육 개혁의 특징과 성격”, 교육비평 13. 교육비평사, 250-267. 미소장
4 고석규(1989). “대학의 한국사교육은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역사비평 1989년 봄호, 역사비평사, 24-30. 미소장
5 김기봉(2009). 역사들이 속삭인다, 프로네시스. 미소장
6 김기봉(2019). “인공지능 시대 빅히스토리의 ‘인문학적 전환’”, 인간⋅환경⋅미래 22,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63-88. 미소장
7 김기봉(2020a). “미래를 위한 ‘역사학 선언’과 빅히스토리”, 서양사론 144, 서양사학회, 226-255. 미소장
8 김기봉(2020b). “포스트코로나 문명전환과 컴퓨터역사학”, 한국사학사학보 42, 한국사학사학회, 239-262. 미소장
9 김기봉(2021). “AI시대 역사학, 컴퓨터 역사학”, 사림 76, 수선사학회, 1-29. 미소장
10 김종철(2019). 근대문명에서 생태문명으로, 녹색평론사. 미소장
11 김지형(2015). “대학 교양 ‘한국사’의 역사와 현실 - 시기별 담론분석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9(4), 한국교양교육학회, 371-399. 미소장
12 김한종(2011). “대학 교양 역사교육을 어떻게 할 것인가?”, 교양논총 4, 중앙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1-15. 미소장
13 김현진, 정병설, 임호준, 이석재, 신혜경, 박훈, 김현진, 이영목 (2018). 인문학의 성찰과 전망, 사회평론. 미소장
14 나인호(2016). “국사를 넘어선 교육”, 대구사학 124, 대구사학회, 243-270. 미소장
15 다니엘 벨(1994). 교양교육의 개혁, 송미섭 역, 민음사. 미소장
16 마코비츠 대니얼(2019). 엘리트 세습, 서정아 역, 세종, 160-340. 미소장
17 문재경(2016). “초등학교 역사교육에서 민족정체성 교육 문제”, 역사와교육 14, 역사교육연구소, 9-22. 미소장
18 박정하(2020). “기초학문과 대학교육”, 제4회 리베르타스 교양교육 심포지움. 미소장
19 박혜정(2017). “대학 세계사 교양교육을 위한 세 가지 교수 모델”, 역사교육논집 64, 역사교육학회, 3-26. 미소장
20 박혜정(2020). “21세기 교양교육의 융합학문적 지도 그리기 - 빅히스토리의 인문학적 전환을 통하여”, 교양교육연구 14(6), 교양교육학회, 25-37. 미소장
21 백승수(2012). “한국 고등교육의 교양교육과정 형성 과정 분석”, 교양교육연구 6(4), 한국교양교육학회, 321-352. 미소장
22 백승수(2018). “국립 리버럴아츠칼리지 설립의 교육적 타당성 고찰”, 교양교육연구 12(5), 한국교양교육학회, 231-250. 미소장
23 백승철(1990). “대학에서의 교양 한국사교육”, 역사와현실 4, 한국역사연구회, 127-148. 미소장
24 서스킨드 대니얼(2020). 노동의 시대는 끝났다, 김정아 역, 와이즈베리, 44-64. 미소장
25 손승남(2017). “한국형 리버럴아츠칼리지(K-LAC)의 가능성 탐색”, 교양교육연구 11(1), 한국교양교육학회, 13-37. 미소장
26 서정혁(2020). “대학의 교양교육에 대한 철학적 성찰 - 헤겔의 법철학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4(5), 한국교양교육학회, 149-160. 미소장
27 신주백(2010). “대학에서 교양 역사강좌로서 ‘문화사’ 교재의 현황과 역사인식(1945-1960)”, 한국근현대사연구 53, 한국근현대사학회, 176-209. 미소장
28 신주백(2021), 한국역사학의 전환, 휴머니스트, 281-430. 미소장
29 아벤트 라이언(2018). 노동의 미래, 안진환 역, 민음사, 164-198. 미소장
30 안병우(1996). “대학 한국사 교육의 현황과 과제”, 역사와현실 20, 한국역사연구회, 68-87. 미소장
31 안홍선(2017). 식민지 중등교육체제 형성과 실업교육, 교육과학사. 미소장
32 양재혁(2020), “과거의 재현에서 시뮬레이션으로”, Homo Migrans 22, 이주사학회, 148-177. 미소장
33 오종록(2004). “대학 한국사 교양교육의 실태와 개혁방안”, 역사와현실 52, 한국역사연구회, 51-88. 미소장
34 요시다 아야(2020). “일본의 교양교육: 70년간의 모색”, 교양교육학회 제2회 창파강좌 발표문. 미소장
35 우석훈(2014). 솔로계급의 경제학, 한울, 131-153. 미소장
36 유지아(2011). “대학 교양교육을 위한 동아시아사 교육방안 연구”, 교양교육연구 5(1), 한국교양교육학회, 195-228. 미소장
37 이상동, 박충식(2020). “From Data to Agents - 한국 디지털역사학의 현주소와 AI시대의 역사학”, Homo Migrans 22, 이주사학회, 178-202. 미소장
38 이영달(2021). 메리토크라시, 행복한북클럽. 미소장
39 이정옥(2015). “일본식 ‘교양교육’과 미국식 교양교육의 수용과정”, 교양교육연구 9(3), 한국교양교육학회, 11-37. 미소장
40 자카리아 파리드(2015). 하버드 학생들은 더 이상 인문학을 공부하지 않는다, 강주헌 역, 사회평론, 11-41. 미소장
41 최상훈(2009). “대학 역사교육의 현황과 과제”, 인문과학연구 15, 서원대 인문과학연구소, 27-39. 미소장
42 최용규, 이광원(2011). “초등학교 다문화 역사교육의 방안 탐색”, 사회과교육연구 18(1), 사회과교육연구회, 65-80. 미소장
43 최종철(2007). “한국 대학 교양교육의 역사와 교훈 - 1970년대 서울대학교 교양과정부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1), 한국교양교육학회, 209-232. 미소장
44 최형욱(2021). 메타버스가 만드는 가상경제 시대가 온다, 한스미디어. 미소장
45 칸트 임마누엘(2012). 학부들의 논쟁, 오진역 역, 도서출판 비. 미소장
46 크리스천 데이비드, 베인 밥(2013). 빅 히스토리, 조지형 역, 해나무. 미소장
47 하경수(2020). “우리나라 역사교육의 지형도 변화와 초등학교 현대사 교육”, HOMO MIGRANS 22,이주사학회, 284-318. 미소장
48 허준(2020). 대학의 과거와 미래,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70-85. 미소장
49 Ivan Jablonka(2018). 歷史は現代文學である, 眞野倫平譯, 名古屋大學出版會.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