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발달장애성인을 대상으로 한 음악치료 관련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발달장애성인 대상 음악치료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2001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발표된 학위논문 32편, 학술지 논문 7편, 총 39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문제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첫째, 발달장애성인 대상 음악치료 연구의 연도별 동향은 2015년에 5편(12.8%)으로 가장 많은 편수가 발표되었다. 연구 대상별로 살펴보면 연구 대상자의 연령은 20대가 32편(40.5%)으로 가장 많았으며, 장애 유형은 지적장애가 34편(75.6%)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 방법별 연구동향의 분석 결과, 연구 유형은 양적연구가 24편(61.5%)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치료 회기 분석에서 회기 시간은 40~60분 미만이 25편(64.1%)으로 가장 많았으며, 총 회기는 11~15회기가 18편(46.2%)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측정도구는 심리측정이 30편(73.2%)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 내용별 분석에서 연구 주제는 사회성 관련 연구가 18편(36.0%)으로 가장 많았으며, 음악치료 중재 방법은혼합기법이 19편(48.7%)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 및 제언을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어 교재 듣기 자료의 현실발음 실현 양상과 반영 방안 = Aspects of realization of actual pronunciation and including actual pronunciation in listening materials in Korean textbooks 홍미주 p. 1-23
한국어 [+사람] 신어의 특성 = Features of Korean [+human] neologisms 우보의 p. 25-51
비대면 화상 수업에서 쓰기 피드백이 학부 유학생의 한국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writing feedback in non-face-to-face video classes on Korean language proficiency 이경애 p. 53-76
한국어교육에서의 웹드라마를 활용한 문화 및 화용 교육 방안 : Proposal for teaching culture and pragmatic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web-dramas : focusing on “Office Watch Season 1” / <오피스워치 시즌1>을 중심으로 이민경 p. 77-105
아동 독서 관련 유튜브 방송의 현황과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YouTube reading contents for children 윤신원 p. 107-127

중국인 유학생의 자기소개 구술 담화 양상 = Aspects of self-introduction oral discourse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김원경, 구민지 p. 129-148
고교학점제 연구 경향 분석 : The trend of academic research on high school credit system : network text analysis /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조성범, 신하영 p. 149-167
신입생 대학 적응 요인에 대한 메타 분석 : Meta analysis on the factors for the adjustment to college of freshmen : focusing on the domestic research from 2001 to 2020 / 2001년에서 2020년까지의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홍성연, 김인수 p. 169-189
기사 제목에 나타난 ‘암호화폐’의 인지언어학적 분석 = Cognitive linguistic analysis of ‘cryptocurrency’ in news article titles : 암호화폐 인지모형 구축에 관한 試論 유환일 p. 207-225
정보통신기술(ICT) 환경 변화에 따른 적정기술 관련 논의 변화와 사례 유형화 연구 = A study on appropriate technology categorization that combines ICT with changes in appropriate technology discourse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technological environment 유경한 p. 227-250
한국 원형 설화를 활용한 게임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 Game transmedia storytelling using Korean traditional tales : focusing on <League of legends> Ari / <리그 오브 레전드> 아리를 중심으로 정은경, 박여랑 p. 191-206
가야 토기의 편년 추정을 위한 딥러닝 CNN-DBSCAN 기반 굽다리 접시 유형 예측 모형 개발 = Development of CNN-DBSCAN-based typological prediction model for estimating the chronological age of Gaya pottery 정하영, 장윤정 p. 251-276
비대면 환경에서 플립러닝 수업 효과 분석연구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flipped learning classes in a non-face-to-face : K 대학 교양 교과목 사례 권영애, 전흥석, 이효숙, 박혜진 p. 277-291
플립러닝 기반 실시간 온라인 교양영어 수업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 연구 = A study on learners’ satisfaction to synchronous on-line class as general education based on flipped learning 도숙진 p. 293-314
온라인 화상 수업에서의 교수자-학습자 소통 활성화 방안 연구 : A study on activation of teacher-learner communication in online video classes : based on the analysis of survey/opinion results at university A / A대학에서의 설문/의견 조사 결과 분석을 바탕으로 김연주 p. 315-335
콘텐츠를 활용한 사회문제형 글쓰기 교육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social problem-type writing education using contents : focusing on the <Writing and Discussion> class at university A / A대학교의 <글쓰기와 토론>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최호영 p. 337-361
몽골 대학에서의 한국고전문학교육의 현황과 개선방안 = Current status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in Mongolian universities and improvement plan : 심청전과 몽골 비사 비교 중심으로 게렐치맥 p. 363-379
군 복학생 중도 이탈 방지 연구 : A study on drop-out prevention for student veterans : focused on experiences of the military service and process of conflict, negotiation, and integration after returning school / 군 복무 경험과 복학 후 갈등, 협상, 통합과정을 중심으로 김선영 p. 381-408

현대시에 나타난 신화적 상상력 = A study of the mythical imagination embodied in modern poetry 장정렬 p. 409-422
가족드라마는 어떻게 재구성되는가? : How is family drama reconstructed? : the changes in the representation of the remarried family in the story of Kongjwi and Patjwi / <콩쥐팥쥐> 이야기에 나타난 재혼가족 재현의 변화 강인화 p. 423-438
문학적 글쓰기를 통해 본 상처와 치유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Autoethnography on wounds and healing through literary writing 정경진 p. 439-471
북한 문학에 나타난 백두산 재현 양상에 대한 시론 : An essay on the aspect of reproducing Mount Paektu shown in North Korean literature : focusing on a correlation with a hereditary system / 3대 세습체제와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전지니 p. 473-490
드라마 <불가살>에 나타난 요괴 서사의 양상과 의의 =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monster narrative in the drama <Bulgasal: Immortal Souls> 이후남 p. 491-508
<숙영낭자전>의 영화화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motion picture of Sukyeongnangjajeon 김선현 p. 509-530
동학의 생명사상과 후기유전체학의 구조적 근친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tructural proximity of the life thought of Donghak and the postgenomics 정진화 p. 531-546

천부경과 태극의 철학 = Cheonbu-kyeong(天符經) and the philosophy of Tae-Geuk(太極) 강병국 p. 547-572
융합으로 본 한국풍수의 인본사상 = The humanism of Korean feng shui from the viewpoint of convergence 이화형 p. 573-587
디지털미디어시대의 주술적 상상력과 그 현대적 의미 고찰 : A study of magical imagination in digital media era and its contemporary meanings : focusing on performing arts / 공연예술작품을 중심으로 양인정 p. 589-610

코로나19 이후, 홍대 인디음악 씬에 나타난 라이브 공연 문화의 하이브리드적 속성 연구 : A study on the hybrid properties of live performance culture in Hongdae indie music scene after COVID-19 : focusing on social network analysis /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김효민 p. 611-642
카혼 활용을 통한 중등음악수업 사례 분석 = Case analysis of secondary music class using cajon 김현빈 p. 643-668
젠더 갈등 해소를 위한 시민성 교육 = A study on civic education to resolve gender conflict : 해외 시민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정재원, 우대식 p. 669-688
북한이주여성들의 일경험과 그 의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work experience and meaning of North Korean immigrant women : focusing on the psychology of working theory / 일의 심리학 이론을 중심으로 전주람, 지은, 신윤정 p. 689-723
한류정책을 위한 패러다임 전환 : A paradigm shift for Hallyu policy : revisiting 2020 (new)Hallyu policy discourse / 2020 신한류 정책담론을 중심으로 이동준 p. 725-747
중학생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cooperative consciousness and self-esteem / 협동의식,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수정 p. 749-773
국내 온천의 의료적 활용에 관한 사업현황과 과제 : Policies regarding therapeutic uses of thermal springs in Korea : focusing on the healthy thermal spring and the spa city project / 보양온천과 온천도시사업을 중심으로 차경자, 정태흥 p. 775-797
지자체의 노인지원정책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local government senior support policy policy on preparation for later life : verification of mediating effect of recognition of senior citizen problem / 고령화 문제 인식의 매개효과 검증 권혁 p. 799-820
'세종형' 커뮤니티케어 도시재생뉴딜에 대한 소고 = A review on the Sejong-type community car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김갑년 p. 821-842
지방자치단체 문화콘텐츠 조례 및 운영기관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local government cultural content ordinances and operating organizations 전영옥 p. 843-863
국내 민간조사 연구의 실태와 개선방안 = A study on current state of private investigation researches in Korea and improvement strategies 김용현 p. 865-877
문학상 제도와 성장 서사의 앙상블 : Literary award systems and ensemble of growing narratives : focusing on the recent winners of the youth literature award / 최근 청소년문학상 수상작들을 중심으로 김화선 p. 879-894
『선라이즈』에 재현된 1920년대 미국 도시와 자극과 유희의 공간으로서 놀이공원 = 1920s’ urbanity and the stimulation and pleasure of the amusement park in Sunrise 정지원 p. 895-910
1960-2000년대 광화문 공간의 재구축에서 ‘전통과 현대’ = “Tradition and modernuty[실은 modernity]” in the renewal of “space of Gwanghwamun Gate” from the 1960s to the 2000s 염복규 p. 911-925
고운 최치원의 관료생활 연구 = A study on the bureaucratic life of Choi Chiwon 송성안, 한정호 p. 927-942
葬儀禮와 古典文學에 나타난 죽음觀 考究 : Study of thoughts of death in funeral rites and classical literature : focused on Jemangmaega and Princess Bari / 「祭亡妹歌」와 「바리공주」를 중심으로 최성기 p. 943-967
미용 기능경기대회 품질요인이 대회 가치지각, 참여 만족, 재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s and correlation of beauty contest quality factors on perception of the value of the contest,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participate 박하늘 p. 969-985
『命理約言』과 『滴天髓闡微』의 육친 연구 = The harmful effects of Confucian customs in Myeongrihak’s Yuk-chin 배현경 p. 987-1001
구로사와 아키라의 《가장 아름답게(一番美しく)》에 관한 演出 考 = A study on the cinematography of Kurosawa’s “The Most Beautiful” 이시준 p. 1003-1023

<모범택시>에 나타난 응보적 정의의 구현 양상과 그 의미 = A aspects of realization and meanings of retribution justice in “Mobeum Taxi” 백소연 p. 1025-1041
딥 스쿼트 시 발의 외회전이 자세 안정성 요인들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foot external rotation on postural stability factors during deep squat 이재우, 임영태, 권문석 p. 1043-1057
무상증자의 신호전달효과에 대한 실증연구 : The signaling effect of bonus issue announcements in the Korean culture contents industry / 문화콘텐츠 산업을 중심으로 김남곤, 김지현 p. 1059-1082
회상과 감각자극 원예치료가 말기암 환자의 타액산도와 심박동수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with recall and sensory stimulation on salivary acidity and heart rate in terminal cancer patients 라은희, 최병진, 윤숙영 p. 1083-1100
코로나19 팬데믹 전후 온라인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 고찰 : A comparative study on changes in perception of online culture and arts education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 using language network analysis /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이지현, 이경택, 김선영 p. 1101-1121
국내 알코올 사용장애 대상자 심리 중재프로그램 동향분석(2010-2021) : Alcohol use disorder in Korea (2010-2021)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thesis on the psychological intervention program for alcohol use disorder / 알코올 사용장애 심리중재프로그램 논문을 중심으로 김원순, 양현주 p. 1123-1141
대학 신입생 적응을 위한 의사소통 세미나 운영 연구 : Research on communication seminars to help college freshmen adapt : focusing on the results of pre- and post- tests and satisfaction surveys / 사전·사후 진단 검사 및 만족도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이연정 p. 1143-1159
보다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보통 인간’으로 살아가기 : Living as an ‘ordinary human’ who is more rational and reasonable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Kevin’s criminal behavior in the movie, We Need to Talk about Kevin / 영화 <케빈에 대하여>에서 케빈의 범죄 행위의 분석을 중심으로 오세은 p. 1161-1177
문화예술 분야 1인 창조기업 활성화를 위한 서비스디자인 연구 : Study on service design for vitalization of one-person creative companies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 : focusing on the Changwon Burim Craft Market / 창원 부림 공예촌을 대상으로 구아민, 권혁인 p. 1179-1201
엘리트 축구선수의 성별에 따른 기능성 움직임 검사(FMS) 점수 차이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difference in the functional movement screen (FMS) scores of elite soccer players according to gender 최은주, 백형진, 김주영 p. 1203-1215

예술인 통합경력관리시스템 수용에 관한 연구 : Integrated artist career management system adoption : technology readiness and value-based model perspective / 기술준비도와 가치기반 모델 관점에서 김현영, 이환수 p. 1217-1237
음악영재 교육기획에 내재된 유럽고전음악 중심주의에 관한 비판적 고찰 = A critical review of Europe’s classical music centrism in the education plan for music gifted 이우영 p. 1239-1269
발달장애성인 대상 국내 음악치료 연구동향 = Research trends in music therapy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outh Korea 최주희 p. 1271-1283

참고문헌 (3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진아(2004). 성인 자폐성 발달장애인의 사회인지 기능을 위한 음악치료적 접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 권나미(2016). 아동 및 청소년 관련 음악치료 연구동향: 한국과 미국의 학술지 비교분석(1999-2015),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 권세라(2019). 장애인복지시설 이용 발달장애 성인의 프로그램형 음악활동 참여현황 및 욕구조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 김영신(2020). “코로나19 사태에 대한 음악치료 동향 및 과제”, 한국음악치료학회지 22(2), 1-28. 미소장
5 김원순(2021). “긍정심리미술프로그램이 발달장애근로자의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PERMA모델기반으로”, 문화와 융합 43(1), 957-978. 미소장
6 김진숙(2010). “샤머니즘과 예술치료”. 서울: 학지사. 미소장
7 김하영(2018). “등재학술지 내 음악치료 연구 게재 동향”,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15(2), 1-22. 미소장
8 문지영(2010).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입원 정신질환자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재활복지 14(2), 199-221. 미소장
9 보건복지부(2021). “장애인 등록 현황(2020)”, 보건복지부 현황자료. 미소장
10 변미정(2014). 음악치료 관련 연구 경향분석: 석사학위 논문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1 선원필, 소희정(2019). “예술치료”, 서울: 피와이메이트. 미소장
12 송혜나(2018). 국내 음악치료전공 학위논문 분석 연구, 가천대학교 특수치료대학원 석사학윈논문. 미소장
13 신백수(2021). 한국 음악치료 연구 동향분석: 석 박사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4 오지은(2015). 국내 성인지적장애인 음악치료 현황 및 중재 실행 조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5 이보라(2021). 상담이론에 기반한 음악치료 연구 동향: 국내 학위 논문을 대상으로, 한세대학교 심리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6 이은미, 백은령(2010). “지적장애자녀의 생애주기에 따른 가족경험 및 지원 욕구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4(2), 63-90. 미소장
17 이진영(2012). 지적장애 대상 음악치료 관련 국내 학위논문 경향분석(1999-2012), 한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8 장경주(2017). 성인 발달장애인의 부모와 형제의 경험에 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9 장애인복지법(2021).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2조 1항. (2021. 12. 09.) 미소장
20 조현아(2013). “국내 음악치료 전문 학술지 연구 형황 분석”, 인간행동과음악연구 10(2), 55-77. 미소장
21 최귀희, 박윤미(2020). “뇌성마비 장애인 대상 국내 예술치료 연구동향분석–2000~2017년까지의 연구를 중심으로-”, 미술치료연구 27(1): 109-129. 미소장
22 최주희, 남상인(2013). “지적장애인의 상동행동과 상호작용에 대한 음악치료 사례연구”, 한국예술치료학회지 13(2), 153-175. 미소장
23 최주희, 문송이, 남현우(2020). “언택트 사회의 예술심리치료 방향”, 예술심리치료연구 16(4), 47-78. 미소장
24 최주희(2021). 예술심리치료의 지평확대를 위한 양자역학 및 기호학적 시론(試論),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5 한수정(2021). “성인장애인의 음악교육 활동에 관한 연구”, 문화와융합 43(4), 293-324. 미소장
26 Atkins, S. S.(2008). 통합적 표현예술치료-예술과 삶의 창조적 과정(최애나, 이병국 역), 서울: 푸른솔. (원전은 2003에 출판) 미소장
27 APA(2015). “ 진단 및 통계 편람(제5판)”(권준수 역), 서울: 학지사. 미소장
28 Cruz, R. F., & Feder, B. (2015). “예술치료에서의 평가와 연구”, 한국심리치료학회(번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13에 출판) 미소장
29 Oh, H., & Lee, E. K. O. (2009). “Caregiver burden and social support among mothers ras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outh Korea”, Development and Education 56(2), 149-167. 미소장
30 Schalkwijk, F. W. (1994). Music and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usic therapy, remedial music making, and musical activities. Jessica Kingsley Publishers.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