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학생을 위한 동영상 강의 담화를 분석하여 일반적인 듣기와 다르면서, 전통적인 교실 수업과도 다른 동영상강의 담화의 장르적 특질을 탐구하는 데에 있다.
방법 K-MOOC 교양 강좌 15편이 무선 표집으로 선정되었고, 2020년 10월부터 12월까지의 기간 동안 제공된 강의 영상 대본이수집되어 Jefferson 전사 체계에 따라 수정되었으며, NVivo 12 Plus를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결과 분석 결과, 실시간 수업과 차이를 보이는 동영상 강의 담화 구조, 거시적⋅미시적 담화 표지와 기능별 세부 유형들, 구조 이해와예측을 돕는 담화 조직어, 주요 정보를 표시해 주는 강조 수단, 학습자의 이목을 끌고 참여를 촉진시키는 질문의 상호 작용적 기능, 파워포인트와 신체 언어 등 비언어적 수단이 보고되었다.
결론 강의 듣기 교육에 적용 방안을 논하였으며 웹 기반 교수 학습에서 유의할 점, 특히 강의 담화 구조와 그것을 예측하게 해 주는담화 표지와 담화 조직어의 유용성, 담화 구조 파악과 들을 내용 예측, 주요 정보 식별의 수단으로써 어휘 교육의 중요성, 강의 듣기와읽기 혹은 강의 듣기와 쓰기를 통합한 교수의 필요성이 논의되었고, 웹 기반 강의를 위한 교사 교육이 강조되었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현화 (2012). 한국어교육학에서의 담화 연구 분석. 한국어교육, 23(1), 219-256. | 미소장 |
2 | 구지민 (2005). 학문 목적 한국어를 위한 강의 담화표지 학습 연구. 한국어 교육, 16(1), 23-44. | 미소장 |
3 | 김시연 (2020). ZOOM을 활용한 중국 대학 온라인 한국어말하기 교육 사례 -상해 S 대학 한국어과 한국어 말하기 수업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80, 1-29. | 미소장 |
4 | 김인규 (2003). 학문 목적을 위한 한국어 요구 분석 및 교수요목 개발. 한국어 교육, 14(3), 81-113. | 미소장 |
5 | 김정숙 (2000). 학문적 목적의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기초 연구 - 대학 진학생을 위한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어 교육, 11(2), 1-19. | 미소장 |
6 | 노정은, 임수진, 안윤숙 (2020).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환경에서의 교수자 및 학습자 인식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어교육, 31(4), 21-53. | 미소장 |
7 | 배윤경 (2011). 한국인⋅외국인 간 강의 듣기 전략의 사용양상 비교. 한국어 교육, 22(2), 213-232. | 미소장 |
8 | 법무부 (2021).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 2021년 12월호. 과천: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 미소장 |
9 | 오선경 (2007). 학문 목적의 한국어 듣기 교육을 위한 강의담화 분석. 한국어 교육, 18(2), 199-220. | 미소장 |
10 | 이해영 (2001). 한국어 학습용 웹사이트의 분석. Foreign languages education(외국어 교육), 8(2), 285-314. | 미소장 |
11 | 이해영 (2002). 한국어 듣기 교육의 이론과 실제. 박영순(편.). 21세기 한국어교육학의 현황과 과제 (pp. 93-128). 서울: 한국문화사. | 미소장 |
12 | 이해영 (2004). 학문 목적 한국어 교과과정 설계 연구. 한국어 교육, 15(1), 137-164. | 미소장 |
13 | 이해영, 정혜선 (2020). 실시간 다대면 온라인 한국어 강의에서 모국어 사용 여부와 숙달도에 따른 차이 -매체효능감과 실재감, 수업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 17(2), 129-149. | 미소장 |
14 | 정명숙 (2012). 한국어 강의 담화에 나타난 강조 발화의 특성. 이중언어학, 50, 193-212. | 미소장 |
15 | 조인옥 (2020). 비대면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의 운영사례와 개선 방향: 한국어 교육기관의 전면적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58, 241-265. | 미소장 |
16 | 최은규, 장은아, 남수경, 채숙희 (2006). 초급 학습자를 위한 웹 기반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연구. 한국어 교육, 17(1), 437-457. | 미소장 |
17 | 최정순 (1998). 웹기반의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실제-서강대학교 가상대학 한국어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어 교육, 9(2), 239-268. | 미소장 |
18 | 최정순, 윤지원 (2012).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어문연구, 74, 131-156. | 미소장 |
19 | 한상미, 이복자, 최유경, 조하민 (2016). 한국어 교육을 위한대중 공개 온라인 강좌(MOOC) 개발의 원리와 실제- ‘Learn to Speak Korean 1’ 사례를 중심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45, 357-390. | 미소장 |
20 | Atkinson, J. M., & Heritage, J. (1984). Transcription notation. In J. M. Atkinson, & J. Heritage (Eds.). Structures of social action: Studies in conversation analysis (pp. ix-xvi).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1 | Brown, G., & Yule, G. (1983). Discourse Analysis. Cambridge: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2 | Dudley-Evans, T., & St. John, M. (1998). Developments in ESP:A multi-disciplinary approach.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3 | Jordan, R. R. (1997). English for academic purposes: A guide and resource book for teachers. Cambridg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4 | McCarthy, M. (1991). Discourse analysis for language teachers. Cambridg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5 | Paltridge, B. (2001). Genre and the language learning classroom.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 미소장 |
26 | Swales, J. (1990). Genre analysis: English in academic and research settings. Cambridg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