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광고의 표현에 있어서 비주얼은 소비자의 시선을 빼앗는데 필수불가결한 요소로 그 자체만으로도 강력한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이 되며, 광고 카피는 광고가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간결하게 요약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유머소구를 모바일 배너광고에 활용하여 표현유형(비주얼, 카피)과 제품유형(고관여-이성제품, 고관여-감성제품, 저관여-이성제품, 저관여-감성제품)에 따른 소비자태도(브랜드태도, 브랜드신뢰, 브랜드충성도)를 집단간 요인설계(Between Subject Factorial Design)를 통해 규명하였다. 연구결과, 유머를 활용한 모바일 배너광고의 표현유형과 제품유형에 따른 소비자태도에서 고관여-이성제품(카메라)의 경우, 비주얼중심 광고보다 카피중심 광고에 노출된 집단이 브랜드태도, 브랜드신뢰와 브랜드충성도가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관여-감성제품(고급화장품) 또한 비주얼중심 광고보다 카피중심 광고에 노출된 집단이 브랜드태도, 브랜드신뢰와 브랜드충성도가 더욱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저관여-이성제품(주방용 랩)과 저관여-감성제품(다이어트 음료)의 경우 표현유형에 따른 브랜드태도, 브랜드신뢰와 브랜드충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표현유형에 따른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외연 확장과 모바일 광고 크리에이티브 전략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표현유형별 유머소구가 브랜드태도, 브랜드신뢰와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humor appeal in expression types to brand attitude, brand trust and brand loyalty 홍영일 p. 5-16

우리나라 농산물 공동브랜드의 성공 및 실패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the success and failure of the agricultural co-brand in Korea : focused on basic local government Chungcheongnam-do / 충청남도 기초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김신애, 권기대 p. 17-28

제페토 브랜드 아이템 체험요인이 브랜드 만족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분석 : The effect of Zepeto brand item experience factor on brand satisfaction and purchase : based on the theory of experience economy / 체험경제이론을 바탕으로 권미정 p. 29-39

온라인 환경에서의 소비자 참여디자인과 브랜드 경험 특성 분석 = Analyzing consumer participatory design and brand experiences in the online environment 윤상하, 김소연, 신승원 p. 41-52

글로벌 자연주의 헤어케어 브랜드 구축을 위한 신규 브랜드 디자인 개발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new brand design development to build a global naturalistic haircare brand : focusing on Seri Cosmetics / (주)세리화장품을 중심으로 김주미, 신상윤, 이지희 p. 53-65

패션산업의 그린워싱(Greenwashing)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제안 : Proposal on the problems and solutions of greenwashing in the fashion industry : focusing on the check and regulatory aspects / 견제적 측면과 규제적 측면 중심으로 이자림 p. 67-80

명품 농산물 공동브랜드의 성공요인 및 구매의향 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een success factors & purchase intention of the co-brand in premium agricultural products : focused on university students from generation Z in the metropolitan area / 수도권 Z세대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권기대, 김신애 p. 81-96

고급화장품 브랜드에 대한 구전정보 및 전자구전정보가 브랜드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f WOM and eWOM on brand purchase intention in luxury cosmetic purchase setting : mediating role of brand trust and moderating effect of brand image / 브랜드신뢰 매개역할 및 브랜드이미지 조절효과 디마 마호메드 알디얍, 최철재, 민대규 p. 97-108

부천시 도시브랜드 상징체계 정립을 위한 전략방안 고찰 = A study on strategic plans for establishing Bucheon City's urban brand symbol system 윤혜진, 오유리 p. 109-119

CLO 3D를 활용한 전통의상 재현 연구 : A study on the reproduction of traditional costume designed by CLO 3D : focusing on material and detail expressions in Nokwonsam / 녹원삼의 소재표현 및 디테일 표현을 중심으로 김민정 p. 121-133

오픈 이노베이션 플랫폼을 활용한 참여적 디자인 프로세스 및 방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articipatory design process and methodology utilizing open innovation platform : focused on the case study of HeroX, OpenIDEO, Quirky, SOLVE / HeroX, OpenIDEO, Quirky, SOLVE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김찬숙 p. 135-146

서유기 IP를 이용한 마스크팩의 잠재적 가치와 판매전략 연구 = Study on the potential value and marketing strategy of IP facial mask of Journey to the West 곡위광, 송민정 p. 147-157

브루너의 내러티브 이론에 기반한 증강현실 토이의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ugmented reality toys based on Bruner's narrative theory : focused on Kinder Joy Applaydu / 킨더조이 어플레이두를 중심으로 이지은 p. 159-168

메타버스 아바타의 용도별 사용 효율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avatars used in metaverse 김미리, 정의태 p. 169-182

지역사회 연계 캡스톤디자인 수업개선 방안 연구 : A study on instructional improvement of community-connected capstone design : focused on visual design course cases / 시각디자인 수업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서연화 p. 183-195

출근길 교통 환승 편의성 개선을 위한 공공서비스 디자인 리빙랩 = Public service design living lab to improve transportation convenience on the way to work 김민수 p. 197-206

(The) effects of branded app engagement motivations on consumer experiences and continuous intention to use : 브랜드 앱 참여동기가 소비자 경험과 지속적인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소비자-브랜드 참여 관점을 중심으로 / focusing on the consumer-brand engagement perspective Dong Chao, Kwon Min Taek p. 207-216

한방화장품 브랜드 진정성이 브랜드 지지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brand authenticity of Korean herbal cosmetics on brand supporting behavior : being by mediation of emotional consumption value / 감성적 소비가치를 매개요인으로 유다솜, 김수정 p. 217-232

패키지디자인의 시각적 요소가 소비자 감성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visual elements of package design on consumer's emotion and purchasing intention : focus on Chinese nuts products / 중국 견과류 제품 중심으로 왕샤오리, 김성계 p. 233-244

장소 브랜딩 관점에서 본 메타버스에서 멀티 페르소나의 전략적 가치 연구 : A study on the strategic value of multi-persona in metaverse from a place-branding perspective : focusing on MZ generation / MZ세대를 중심으로 이경은, 장동련 p. 245-261

스마트홈을 위한 시나리오 기반 서비스디자인 연구 = A study on scenario based service design for smart home 이장미 p. 263-273

서비스디자인관점으로 본 환자경험평가의 문항 특성 분석과 대응 = Analysis of question characteristics and response study of patient experience evalu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ervice design 이주명 p. 275-288

폴 시냑의 점묘법을 융합한 아트메이크업 디자인 작품연구 = A study on art make-up design using Paul Signac`s point method 김혜균, 장수월 p. 289-300

참고문헌 (2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병서, 「행렬과 SPSS/PC 이용 다변량 통계분석」, 학현사, 1997. 미소장
2 채서일, 「마케팅 조사론」, 학현사, 1997. 미소장
3 김호성, 호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따른 기업 명성이 브랜드 일체감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박사학위논문, 2014. 미소장
4 박수현, 경험가치가 브랜드태도, 브랜드신뢰와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7 No.4,2019. 미소장
5 박수현, 서비스체험이 브랜드신뢰, 고객만족 및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4 No.4, 2016. 미소장
6 유영진․송정선, 외식업체의 광고가 브랜드 가치와 브랜드 태도, 브랜드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Vol.2No.5, 2010. 미소장
7 이세진․추동엽․이재영, 모바일 배너광고의 맥락효과와 메시지 표현유형에 따른 광고효과 연구, 광고학연구,Vol.26 No.1, 2015. 미소장
8 이재영ㆍ이종민, 모바일 배너 광고의 메시지 표현유형과수사적 표현 방식에 따른 광고효과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8 No.3, 2016. 미소장
9 전근영․이정교, 국내 유머 광고에 대한 메타 분석, 한국언론학보, Vol.59 No.6, 2015. 미소장
10 조수영․김선정, 기업 이미지, 제품 특성과 CSR유형의일치/불일치에 따른 수용자 설득효과, 광고홍보학보, Vol.13 No.3, 2011. 미소장
11 홍영일, 유머를 활용한 광고 크리에이티브 표현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미소장
12 홍영일, FCB Grid 모델에 따른 모바일 배너광고의 유머소구 효과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Vol.21 No.6, 2020. 미소장
13 Bloemer, J. M. & Kasper, H.,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brand loyalty. Journal of Economic Psychology, 16, 1995. 미소장
14 Chattopadhyay, A., & Basu, K., Humor in Advertising : the Moderating Role of Prior Brand Evaluat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7(November), 1990. 미소장
15 Chaudhuri, A. & Holbrook, M. B., The Chain of Effects from Brand Trust and Brand Affect to Brand Performance, Journal of Marketing, 65(2), 2001. 미소장
16 Cline, Thomas W., & James, J., Kellaris., The Joint Impact of Humor and Argument Strength in a Print Advertising Context : A Case for Weaker Arguments. Psychology & Marketing, 16(1), 1999. 미소장
17 Desai, K. K., & Keller, K. L., The effects of ingredient branding strategies on host brand extendibility. Journal of marketing, 66(1), 2002. 미소장
18 Erdem, T. & Swait, J., Brand Equity as a Signaling Phenomenon,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7(2), 1998. 미소장
19 Fornell, C., A National Customer Satisfaction Barometer, Journal of Marketing, 56(1), 1992. 미소장
20 Gelb, B. D., & Pickett, C. M., Attitude-Toward-the-Ad : Links of Humor and to Advertising Effectiveness. Journal of Advertising, 12(2), 1983. 미소장
21 Kannan, P. K., Chang, Ai-Mei, & Whinston, Andrew., Electronic Communities in E-Business : Their Role and Issues Information System Frontier, 1(4), 2001. 미소장
22 Low, G. & Lamb, C., The Measurement and Dimensionality of Brand Associations, Journal of Product & Brand Management, 9(6), 2000. 미소장
23 Lyubomirsky, S., King, L., & Diener, E., The Benefits of Frequent Positive Affect : Does Happiness Lead to Success?. Psychological Bulletin, 131(6), 2005. 미소장
24 McQuarrie, E. F., & Philips, B. J., Indirect Persuasion in Advertising. Journal of Advertising, 34(2), 2005. 미소장
25 Oliver, R. L., Whence Consumer Loyalty, Journal of Marketing, 63(special), 1999. 미소장
26 Scott, C., Klein, D. M., & Bryant, J., Consumer Response to Humor in Advertising : A Series of Field Studies Using Behavioral Observa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6(4), 1990.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