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끝은 알 수 없지만 무작정 나아가 보자! : 미래가 불확실한데도 행복하게 살아가는 방법 [좌담] / 김도담 ; 김민혁 ; 이정서 ; 전성열 ; 정의진 ; 장용철 ; 박창현 1

[머리글] 1

극단 수평선, 2021년 1월 14일 창단과 그 이후 이야기! 2

미래가 불확실한데도 행복하게 살아가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2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2022 대한민국 극작가상' 수상자, 모든 강이 흘러드는 낮은 바다와 같이 : 극작가 강수성 [인터뷰] [인터뷰이]: 강수성 ; 글: 김상옥 ; 사진: 조재훈 p. 12-15

보기
"인간을 위로할 수 있는 '동화 같은 연극'을 만들고 싶어요." : 어쩌다 프로젝트 연출가 김형석 [인터뷰] [인터뷰이]: 김형석 ; 글·사진: 김건표 p. 16-19

보기
끝은 알 수 없지만 무작정 나아가 보자! : 미래가 불확실한데도 행복하게 살아가는 방법 [좌담] [좌담]: 김도담, 김민혁, 이정서, 전성열, 정의진 ; 글: 장용철 ; 사진: 박창현 p. 20-23

보기
한국예술창작아카데미 차세대 예술가 지원 프로그램 : '차세대 열전 2021!' 연극 분야 5인 [좌담] [좌담]: 김민주, 손성연, 이경은, 조아라, 황유택 ; 글: 김상옥 ; 사진: 예준미 p. 24-27

보기
"재밌고 편한, 신뢰할 수 있는 분장사로 분장실에 오래 남고 싶어요." : 분장디자이너 장경숙 글: 김혜정 p. 28-31

보기
변화의 시기를 앞둔 예술 정책, 그 전망과 기대 [좌담] 사회: 이양구 ; [좌담]: 성지수, 신민준, 이훈경, 장도국 ; 기록 및 정리: 김혜정 ; 사진: 박창현 p. 32-39

보기
유신론과 무신론의 대비와 연극적 전환의 한계 : 파크컴퍼니 <라스트 세션> 글: 김춘희 p. 40-41

보기
맹목적 신념이란 허상 : 극단 명작옥수수밭 <메이드 인 세운상가> 글: 이주영 p. 42-43

보기
지옥에서 벗어나기 위한 존재들의 발화 : 극단 Y <탈피> 글: 이주미 ; 사진: 유경오 p. 44-45

보기
감히 웃플 수 없는 청춘의 이야기 : 김민주 <소는 누가 키우고 논문은 누가 쓰나> 글: 이유라 p. 46-47

보기
물고기 남자가 헤엄치는 한국사회 : 극단 요지경·극단 몽중자각 <물고기 남자> 글: 김건표 p. 48-49

보기
반복되는 아버지 부정과 폭력의 의미를 묻는 연극 : 극단 차이 <어떤 싸움의 기록> 글: 김영희 ; 사진: 김도웅 p. 50-51

보기
상처받은 자들의 쉼과 동행, 그 극적 형상화의 시선 : 공연예술창작소 어니언킹 <봄이 오면 산에 들에> 글: 조훈성 p. 52-53

보기
시간의 공간화와 공간의 역동화 : 2022 서울 아시테지 겨울축제 글: 황승경 p. 54-57

보기
나의 단어는… : 연극 <El Golem> : 스페인 글: 나여랑 p. 58-59

보기
웹3시대의 공연과 NFT "누가 무엇을 소유하는가" : 영국 글: 김준영 p. 60-61

보기
고교 연극교육의 외연 확장은 협력 시스템으로… 글: 이연심 p. 62-65

보기
젊은 브레히트와 프랑크 베데킨트. 1 글: 이재진 p. 66-67

보기
문화다양성 정책, 예술계에 득인가 실인가 글: 황아람 p. 68-69

보기
팬데믹과 연극 - 위드 코로나, 애프터 코로나 시대를 생각한다 : 한일연극 심포지엄 2022 글·사진: 김혜정 p. 70-71

보기
극장은 다양한 감각을 가진 사람들의 공동체가 될 수 있을까? : <가족이란 이름의 부족> 농인 관객 접근성 이슈 글: 김상옥 p. 72-73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