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통계적 소양을 기르는 통계 프로젝트 운영하기 : 중등 / 정종식 1

AI 데이터 리터러시 모델학교 1

현 실태 분석을 통한 운영방안 모색 2

1기-통계를 통계답게 경험하기 3

1차시 : 일상생활 속에서 통계는 어떻게 활용될까 - 생활 속 통계 활용 수기 공모전 입상작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 후 소감문 작성하기 3

2차시 : 세상을 바꾸는 통계 이야기 - 통계와 역사에 관련된 영상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 후 소감문 작성하기 3

3차시 : 통계로 풀어보는 남과 여의 이야기 - 국가통계포털에서 제공하는 해석남녀' 콘텐츠를 경험하며 통계와 가까워지기 4

4차시 : 통계로 떠나는 시간 여행을 통해 통계 이해하기 - 국가통계포털에서 제공하는 '통계로 시간 여행' 콘텐츠를 통한 통계 바로보기 5

5차시 : 우리나라 인구의 변화 추이를 바탕으로 산출되는 통계 이해하기 - 국가통계포털에서 제공하는 '인구로 보는 대한민국' 콘텐츠를 바탕으로 현재를 분석하여 미래를 바라볼 수 잇는 통계적 소양 기르기 5

2기 - 비판적 사고를 기반으로 통계 바로 보기 5

1~4차시 : 새빨간 거짓말, 통계 - '새빨간 거 짓말, 통계'(데럴허프)를 읽고 일상생활 속에서 통계가 잘못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사례를 통한 비판적 사고 역랑을 함양하는 수업을 진행한 후 소감문 쓰기 5

5~8차시 :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통계자료 분석하기 -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된 2020년의 언론 기사 검색 및 분석 후 해당 통계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그 근거를 제시하는 보고서 및 소감문 쓰기 6

마무리 6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학교 중심 맞춤형 교육정책의 시대 최규애 p. 4-6

보기
교육의 미래, AI 융합교육과 교사의 역할 정제영 p. 8-14

보기
인공지능 시대, 우리가 꿈꾸는 교육은? 권정민 p. 15-23

보기
미래교육, 유치원도 함께해요! : 서울명일유치원 김수옥 p. 24-29

보기
스마트 스쿨, 신미림의 디지털 정원 가꾸기 : 서울 신미림초등학교 이연주 p. 30-36

보기
디지털, 학교와 만나 지속가능한 교육 모델을 만들다 : 내곡중학교 유재정 p. 37-43

보기
소통과 공간 혁신으로 내일을 준비하다 : 휘봉고등학교 박거성 p. 44-50

보기
시대의 흐름을 타고 내딛는 교육의 한 걸음 : 초등 이신영 p. 52-57

보기
통계적 소양을 기르는 통계 프로젝트 운영하기 : 중등 정종식 p. 58-63

보기
슬기로운 사이버 생활, 블렌디드 연극 수업으로 함께해요! : 교과융합 프로젝트 수업 정서영 p. 64-69

보기
등교-원격 병행 수업 상황에서 뉴쌤(newSSEM)을 활용한 혼합 수업 실천하기 이민규 p. 70-76

보기
활동 중심 수학교육을 통한 즐거운 수학 시간 만들기 : 서울형 수학점핑학교 운영 사례 윤금숙 p. 78-84

보기
확장 세상, 우리의 교육은 : 메타버스 활용 이상민 p. 85-91

보기
소프트웨어(SW), 인공지능(AI) 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도전과 작은 변화 안샛별 p. 92-99

보기
4차 산업 시대와 진로교육 한영욱 p. 100-105

보기
인공지능(AI) 기반의 개별 맞춤 교육 : 코로나19 이후 나타나는 세계교육의 변화 임유진 p. 107-111

보기
4차 산업혁명 시대, 미래교육을 말하다! : 2021 서울 혁신교육 컨퍼런스 장유진, 어영미, 박동진 [정리] p. 113-118

보기
인공지능(AI) 기반 미래교육 '인간-인공지능(AI) 공존의 시대를 말하다' : 「2021 서울교육정책 속으로 함께 한 걸음 더」 서울교육정책포럼 정수진 [정리] p. 119-125

보기
코로나19 시대 격차 담론,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주정흔 p. 126-132

보기
학생의 성장과 회복을 지원하는 '사회봉사기관 연계사업' 전흥수 p. 134-137

보기
스마트기기 휴대 학습 「디벗」, 어떤 정책인가요? 김지광 p. 138-143

보기
명견만리의 지혜, 미래 시대를 향한 서울진로교육 김현준 p. 150-156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