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경미, 젠더 위반에 대한 조선사회의 새로운 상상—방한림전 , 『한국고전연구』17, 한국고전연구학회, 2008, 189-216면. | 미소장 |
2 | 김기동, 『한국고소설연구』, 교학연구사, 1985. | 미소장 |
3 | 김정녀, 방한림전의 두 여성이 선택한 삶과 작품의 지향 , 『반교어문연구』21, 반교어문학회, 2006, 223-252면. | 미소장 |
4 | 김하라, 방한림전에 나타난 지기관계의 변모 , 『관악어문연구』27, 서울대학교국어국문학회, 2002, 225-245면. | 미소장 |
5 | 류준경, 영웅소설의 장르관습과 여성영웅소설 , 『고소설연구』12, 한국고소설학회, 2001, 5-36면. | 미소장 |
6 | 박혜숙, 여성영웅소설의 평등․차이․정체성의 문제 , 『민족문학사연구』제31호, 민족문학사학회 민족문학사연구소, 2006, 156-193면. | 미소장 |
7 | 서신혜, 개인의 아픔으로 읽는 방한림전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2집, 월인, 2010, 275-300면. | 미소장 |
8 | 양혜란, 고소설에 나타난 조선조 후기 사회의 성차별의식 고찰—방한림전을 중심으로 , 『한국고전연구』4, 한국고전연구학회, 1998, 109-155면. | 미소장 |
9 | 윤분희, 방한림전에 나타난 모권제 가족 , 『숙명어문논집』4, 숙명여자대학교, 2002, 276-303면. | 미소장 |
10 | 이유리, 방한림전의 소수자 가족 연구 , 『한국문학논총』75, 한국문학회, 2017, 93-131면. | 미소장 |
11 | 이지하, 욕망주체로서의 방관주와 자기애의 미덕—방한림전에 대한 새로운 독법의모색 , 『국제어문』82, 국제어문학회, 2019, 219-243면. | 미소장 |
12 | 이지하, 주체와 타자의 시각에서 바라본 여성영웅소설 , 『국문학연구』16, 국문학회, 2007, 31-57면. | 미소장 |
13 | 장시광 옮김, 『방한림전』, 이담, 2006. | 미소장 |
14 | 장시광, 방한림전에 나타난 동성결혼의 의미 , 『국문학연구』6, 국문학회, 2001, 253-277면. | 미소장 |
15 | 정병헌, 방한림전의 비극성과 타자(他者) 인식 , 『고전문학과 교육』17,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9, 373-399면. | 미소장 |
16 | 조현우, 방한림전에 나타난 ‘갈등’과 ‘우울’의 정체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33,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6, 97-132면. | 미소장 |
17 | 조현우, 여성영웅소설에 나타난 위반․봉합․균열의 문제 , 『한국고전연구』30, 한국고전연구, 2014, 207-244면. | 미소장 |
18 | 차옥덕, 방한림전의 구조와 의미—페미니즘적 시각을 중심으로 , 『고소설연구』4, 한국고소설학회, 1998, 113-169면.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