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요양시설의 효과적인 조직운영과 관리를 위해 핵심적 역할을 하는 중간관리자의 직무경험 의미를 파악하고 이해하는 것이다. 노인요양시설의 중간관리자는 실무 전반을 담당하면서 직원과 자원을 관리하고, 돌봄서비스 활동을 감독, 조정, 평가하며, 시설장에서부터 서비스 직접제공인력에 이르기까지 긴밀한 소통과 연계를 하는 등 조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인요양시설 중간관리자의 직무경험에 대한 관심은 매우 부족하다. 본 사례연구의 연구참여자는 연구 안내 자료를 발송한전국의 노인요양시설 837개소에서 연구 참여 의사를 밝힌 중간관리자 24명 중 연구의 목적과 취지에 적합한 대상자 8명을 유의 표집(purposive sampling)하여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2021년 5월부터 7월까지 코로나19 재난 상황에서 화상프로그램 Zoom을 이용한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고, 면담 내용은 Stake(1995)가 제안한 범주적 집합(categorical aggregation)과 직접적 해석(direct interpretation) 방법을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간관리자의 핵심 역할과 관련해서 20개의 하위범주와 9개의 상위범주, 4개의 핵심주제가 도출되었고, 그 핵심주제는 ‘시설장과 직원들의 연결고리로서 원(one)팀 만들기’, ‘어르신 및 보호자의 주된 소통창구 역할 해내기’, ‘중간자로서가치 혼란 속에서 균형 잡기’, ‘제도⋅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요양시설의 중간관리자를지원하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working experience of middle managers who play a key role for effective organizational operation and management of nursing homes. Middle managers of nursing homes are in charge of the overall operation, manage staff and resources, supervise, coordinate and evaluate care services, and communicate and link closely from the head of the nursing homes to the direct service providers. Nevertheless, there is very little interest in the job experiences of middle managers of nursing homes.
The participants of this case study were 8 middle managers of nursing homes, which were extracted, by purposive sampling, from 24 middle managers who expresse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among 837 nursing homes nationwid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using the video program Zoom during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from May to July 2021, and was analyzed using direct interpretation and categorical aggregation methods suggested by Stake(1995). As a result of the study, 20 sub-categories, 9 super-categories, and 4 core themes were derived in relation to the core role of middle managers. ‘Creating one team as a link between the facility manager and employees’, ‘Acting as the main communication channel for residents and their family’, ‘Balance in value conflict’, and ‘responding flexibly to changes in the system and environment'.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offered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supporting middle managers of nursing homes.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감사원. (2020). 감사보고서 노인요양시설 운영 및 관리실태. 서울: 감사원. | 미소장 |
2 | 국민건강보험공단. (2009). 노인요양시설 서비스가이드라인. 강원도: 국민건강보험공단. | 미소장 |
3 | 국민건강보험공단. (2021). 시군구별 장기요양기관 현황(‘21년 9월말 기준). https://www.longtermcare.or.kr/npbs/d/m/000/moveBoardView?menuId=npe0000000950&bKey=B0019&zoomSize= (2021/11/10) | 미소장 |
4 | 권다운. (2021). “‘아동-장애인-노인 학대’ 언론보도 권고기준 수립 추진”. 미디어생활. https://www.imedialife.co.kr/news/articleView.html?idxno=36173 (2021/06/24) | 미소장 |
5 | 권용오. (2010). 노인요양시설 시설장의 시설운영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6 | 권지성, 이재희, 김성원, 문정화, 성기옥, 안은미. (2016). 사회복지조직 중간관리자들이 구성한 중간관리자의 리더십: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2(1), 105-140. doi.org/10.18859/ssrr.2016.02.32.1.105 | 미소장 |
7 | 권현진. (2016). 사회복지관 지역조직화사업 슈퍼비전 실태와 발전 방안 연구-B 사회복지관 사례를 중심으로. 슈퍼비전과 실천연구, 1, 1-24. | 미소장 |
8 | 김인숙. (2016). 사회복지연구에서 질적방법과 분석. 서울: 집문당. | 미소장 |
9 | 김정숙. (2016). 여성시설장의 노인의료복지시설 운영경험에 관한 연구.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0 | 김철수. (2010).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시설 및 인력 인프라 개선. 보건복지포럼, 2010(10), 10-15. | 미소장 |
11 | 문종선, 조미경. (2018). 노인요양시설 시설장의 시설운영경험과 지원방안: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적용. 한국정책연구, 18(4), 211-231. | 미소장 |
12 | 문희봉. (2015). 노인장기요양기관 운영자의 시설운영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호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3 | 법제처. 노인장기요양보험법(법률 제18610호) www.law.go.kr | 미소장 |
14 | 보건복지부. (2020). 2019년도 장기요양 실태조사. 세종: 보건복지부. | 미소장 |
15 | 보건복지부. (2021). 2021년도 사회복지시설 평가지표 양로시설. 세종: 보건복지부. | 미소장 |
16 | 서울복지재단. (2005). 사회복지시설 경영컨설팅 매뉴얼 노인요양시설. 서울: 서울복지재단. | 미소장 |
17 | 서홍란, 배영미. (2021). 시립노인요양시설 관리자의 일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사회과학연구, 37(3), 209-232. | 미소장 |
18 | 손성민. (2011). 중간관리자의 리더십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경영정보대학원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9 | 안은옥. (2014). 사회복지시설장과 중간관리자의 리더십이 시설종사자의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0 | 오세영. (2018). 사회복지행정론. 서울: 신정. | 미소장 |
21 | 유기웅, 정종원, 김영석, 김한별. (2018).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박영스토리. | 미소장 |
22 | 유병선, 정요한, 이경원, 박승희. (2021). 장기요양요원 근로실태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장기요양연구, 9(1), 29-50. | 미소장 |
23 | 유영덕. (2002). 사회복지사가 지각한 사회복지관 중간관리자의 리더쉽이 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4 | 윤정향. (2013). 노인돌봄 노동시장의 특징과 정책과제. 노동리뷰, 31-44. | 미소장 |
25 | 이기주, 석재은. (2019) 장기요양기관 간 경쟁이 높을수록 서비스 질이 더 좋은가? 방문요양기관을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9(4), 425-455. | 미소장 |
26 | 이덕남, 조춘범, 김정화. (2021). 노인장기요양기관 시설장과 중간관리자의 진정성 리더십이 요양시설의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임파워먼트와 파트너십 매개효과 검증. 한국사회복지행정학, 23(1), 1-31. | 미소장 |
27 | 이은정, 박희수. (2015). 코칭리더십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29(1), 181-199. | 미소장 |
28 | 이재성, 박영준. (2014). 중간관리자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6(3), 401-434. | 미소장 |
29 | 이지영, 이미진. (2011). 서비스 관리자가 인식한 장기요양서비스의 질에 대한 질적 연구: 서비스의 질 개념, 방해요인 및 질 평가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53, 31-59. | 미소장 |
30 | 이찬영. (2013). 노인복지시설운영자의 복지환경 변화에 따른 적응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한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31 | 임효연, 이민정. (2017). 관리자의 리더십이 요양보호사의 케어부담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12), 308-318. | 미소장 |
32 | 정은경, 김정우. (2017). 노인요양시설 사회복지사 역할수행의 맥락과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9(2), 161-207. | 미소장 |
33 | 최재성, 이상우. (2014). 한국 노인요양시설의 서비스 질 관리: 정부규제와 평가?. 서울도시연구, 15(3), 127-145. | 미소장 |
34 | 통계청. (2019).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및 전망. 대전: 통계청. | 미소장 |
35 | 홍이순. (2011). 사회복지생활시설 사무국장의 리더십이 종사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6 | Denzin, N. K. (1978). The research act : a theoretical introduction to sociological methods. New York :McGraw-Hill. | 미소장 |
37 | Floyd, S. W., & Wooldridge, B. (1997). Middle management’s strategic influenc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34: 465-485. doi.org/10.1111/1467-6486.00059 | 미소장 |
38 | Hartviksen, T. A., Aspfors, J., & Uhrenfeldt, L. (2020). Healthcare middle managers’ capacity and capability to qualityimprovement. Leadership in Health Services. doi.org/10.1108/lhs-11-2019-0072 | 미소장 |
39 | Huy, Q. N. (2001). In praise of middle managers. Harvard business review, 79(8), 72-9. | 미소장 |
40 | Merriam, S. B. (1998).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Revised and Expanded from “Case Study Research in Education.”. Jossey-Bass Publishers, 350 Sansome St, San Francisco, CA 94104. | 미소장 |
41 | Punch, K. F. (2005). Introduction to social researc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 미소장 |
42 | Stake, R. E. (1995).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 미소장 |
43 | Yin, R. K. (2003). Case of study reaserch design and methods (3rd ed.). Thousand Oaks, CA: Sage.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