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비대면 시대에 가상 공간에서 우리가 새롭게 공동체를 경험하면서 우리의 인간관계를 재구성할 수 있는지에 대한 놀이 상상력을 살펴보고자 했다. 정보와 기술이 결합된 사이버 공간은 우리 사회의 비대면 언택트(Untact) 경향을 더욱 가속화시키는 촉매제가 될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비대면성이 구축하는 새로운 문화 패러다임은 우리 일상의 놀이 문화를 변화시켰다. 본 논문은 놀이의 어떠한 방법과 철학이 비대면성의 공동체를 구성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비대면 시대의 놀이성을 통해 새로운 공동체를 재구성해 보는 과정으로 세 가지의 놀이의 특성을 살피고자 했다. 첫째, 코로나로 인해 미디어 공간과 현실의 공간이 겹쳐지는 시뮬라시옹 현상에 대한 이해와 놀이 참여 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둘째, 하이브리드 교육의 놀이성과 소통성에 대한 의미를 살펴보았다. 온라인(Online)과 오프라인(Offline) 즉 가상과 물리 공간이 융합된 O2O(Online to Offline) 방식을 하이브리드로 볼 수 있다. 현재의 놀이는 이런 하이브리드 속성을 최대한 잘 활용해야 한다. 셋째, 리미널리티의 공간이 가지는 새로운 공간인 골목 찾기로써 놀이의 공간성을 살펴보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롭게 만들어지는 놀이 공간의 의미를 살피고 교육에서 이 공간의 놀이성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성찰을 시도했다. 현재 비대면 놀이는 그간 놀이가 가졌던 유대감과 소통의 방법을 새롭게 변화시키고 있음을 살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공제욱, 「일제의 민속통제와 집단놀이의 쇠퇴: 줄다리기를 중심으로」, 사회와 역사 95호, 한국사회사학회, 2012, 117-156쪽. | 미소장 |
2 | 곽은희, 「식민구조 작동 메커니즘에 내재된 놀이의 정치학-일제 말 식민지 여성의 놀이를 중심으로」, 인문연구 제54집,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8, 79-112쪽. | 미소장 |
3 | 권현주, 「하나후다와 화투에 투영된 문화기호의 기호학적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11. | 미소장 |
4 | 김겸섭, 「한국 사회와 놀이의 인문학」, 한국사상과 문화 76집,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317-343쪽. | 미소장 |
5 | 김경일, 적정한 삶, 진성북스, 2021. | 미소장 |
6 | 김기정, 「요한 호이징아의 놀이와 문화에 대한 비판적 연구」, 인문연구, 영남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2011, 323-352쪽. | 미소장 |
7 | 김난주, 송재용, 「일제 강점기 향토오락 진흥정책과 민속놀이 전개」, 비교민속학44집, 비교민속학회, 2011, 397-425쪽. | 미소장 |
8 | 김누리, 우리의 불행은 당연하지 않습니다, 해냄, 2020. | 미소장 |
9 | 김대식, 메타버스 사피엔스- 또 하나의 현실, 두 개의 삶, 디지털 대항해시대의 인류, 동아시아, 2022. | 미소장 |
10 | 김승우, 「19세기말 의료선교사 엘리 랜디스(Eli B. Landis)의 한국민속 연구와 동요채록」, 한국민요학 39, 한국민요학회, 2013, 43-82쪽. | 미소장 |
11 | 김열규, 기호로 읽은 한국 문화, 서강대학교출판부, 2008. | 미소장 |
12 | 김용섭, 언컨택트 Uncontact-더 많은 연결을 위한 새로운 시대 진화 코드, 퍼블리온, 2020. | 미소장 |
13 | 노르베르트 볼츠, 놀이하는 인간, 윤종석 외 옮김, 문예출판사, 2017, 9쪽. | 미소장 |
14 | 노명우, 호모 루덴스-놀이하는 인간을 꿈꾸다, 사계절, 2011. | 미소장 |
15 | 로제 까요와, 놀이와 인간, 이상률 옮김, 문예출판사, 1994. | 미소장 |
16 | 롤랑 바르트, 텍스트의 즐거움, 김명복 옮김, 연세대학교출판부, 1990. | 미소장 |
17 | 미르치아 엘리아데, 성과 속」 이은봉 옮김, 한길사, 1998. | 미소장 |
18 | 바바라 페어팔, 공간의 심리학, 서유리 옮김, 동양북스(동양문고), 2017. | 미소장 |
19 | 박선영, 「식민지 근대 경관과 장소성, 창경원 벚꽃놀이와 군중의 탄생」, 문학과 환경 20-3, 문학과환경학회, 2021, 81-108쪽. | 미소장 |
20 | 박태규, 「무라야마 지준(村山智順) 조선의 향토오락(朝鮮の鄕土娛樂)을 통해 본평안남도 지역의 전통놀이 상황에 관한 연구」, 일본공간 27, 국민대학교 일본학 연구소, 2020, 195-226쪽. | 미소장 |
21 | 서종원, 「근대의 서구식 교육의 도입과 아동 놀이」, 스포츠인류학연구 10, 한국스포츠인류학회, 2015, 63-86쪽. | 미소장 |
22 | 서종원, 한국의 근대 놀이문화, 채륜, 2015, 57-105쪽. | 미소장 |
23 | 손남훈, 「개화계몽담론과 놀이의 근대적 재편-<매일신문>을 중심으로」, 한국문학논총 제47집, 2007, 73-109쪽. | 미소장 |
24 | 스튜어트 컬린, 한국의 놀이-유사한 중국, 일본의 놀이와 비교하여, 윤광봉 옮김, 열화당, 2003. | 미소장 |
25 | 염희경, 「근대 어린이 놀이 문화 희귀 자료, <어린이 대운동회 말판>」, 근대서지 23, 근대서지학회, 2021, 403-421쪽. | 미소장 |
26 | 요한 호이징아, 호모루덴스, 김윤수 옮김, 까치, 2007, 7-23쪽. | 미소장 |
27 | 유몽인, 어우야담, 신의철 외 옮김, 돌베개, 2006. | 미소장 |
28 | 유승훈, 다산과 연암, 노름에 빠지다, 살림, 2006. | 미소장 |
29 | 유웅 남준우, 「경마베팅시장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문화경제연구 20(2), 한국문화경제학회, 2017, 149-171쪽. | 미소장 |
30 | 유현준, 공간의 미래 - 코로나가 가속화시킨 공간 변화, 을유문화사, 2021. | 미소장 |
31 | 이민희, 「한국 고전문학 작품 속에 나타난 놀이문화의 실제와 의미」, 한국체육학회지 46권, 한국체육학회, 2007, 21-32쪽. | 미소장 |
32 | 이병돈, 「놀이와 ‘아곤’ 개념의 유형에 관한 연구-하위징아와 카이와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125호,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331-352쪽. | 미소장 |
33 | 이윤선, 「강강술래의 역사와 놀이 구성에 대한 고찰」, 한국민속학 40, 한국민속학회, 2004, 369-396쪽. | 미소장 |
34 | 이이화, 놀이와 풍속의 사회사, 한길사, 2001. | 미소장 |
35 | 이-푸 투안, 공간과 장소 - 공간에 우리의 경험과 삶, 애착이 녹아들 때 그곳은 장소가 된다, 김미선·윤영호 옮김, 사이, 2021. | 미소장 |
36 | 임현수, 「놀이의 근대적 변용-스포츠와 종교학적 사유」, 종교문화비평,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03, 11-28쪽. | 미소장 |
37 | 장 보드리야르, 시뮬라시옹, 하태환 옮김, 민음사, 2001. | 미소장 |
38 | 조완묵, 우리 민족의 놀이 문화, 정신세계사, 2006. | 미소장 |
39 | 조충환, 「코로나 시대의 한국 관찰 예능」, 인문과학연구논총 42-3호, 명지대학교 인문과학연국소, 2021. | 미소장 |
40 | 최슬기, 「코로나 시기의 연애, 결혼, 출산 변동」, 코로나 시기 인구 변동과 정책적 함의 제24회, 한국 보건 사회 연구원-한국인구학회 공동 주최 연구포럼, 2021. | 미소장 |
41 | 최재붕, 포노 사피엔스- 스마트폰이 낳은 신인류, 쌤앤파커스, 2019. | 미소장 |
42 | 최재천 외, 코로나 사피엔스 - 문명의 대전환, 인플루엔셜, 2020. | 미소장 |
43 | 한경애, 놀이의 달인, 호모 루덴스- 이제 베짱이들의 반격이 시작된다!, 그린비, 2007. | 미소장 |
44 | G. W.길모어, 서울풍물지/ 조선비망록, 신복룡 옮김, 집문당, 2019, 121-139쪽. | 미소장 |
45 | H. B. 드레이크, 일제 시대 조선 생활상, 신복룡 옮김, 집문당, 2000. | 미소장 |
46 | H. N 알렌, 조선견문기, 신복룡 옮김, 집문당, 1999. | 미소장 |
47 | J. S. 게일, 전환기의 조선, 신복룡 옮김, 집문당, 1999.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