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소제부 제일시집 과 생리 는 각각 1930년과 1937년에 부산과 경남 통영 지역에서 거주·활동하고 있던 문학 신인들과 사회운동 참여 청년들이 모여서 발행했던 시 동인지이다. 이때 그 동인의 구성과 동인지 수록 텍스트에서 드러나는 현실 인식과 표현 방식 등은 1920년대에서 1930년대라는 시간과 부산 경남 지역이라는 사회, 그 안의 문학 등이 복합적 교차적으로 쌓이고 만나서형성된 로컬리티의 일면을 살펴볼 수 있게 했다.

두 동인지의 기반은 공통적으로 1920년대 통영 사회의 로컬리티에서 찾을 수 있다. 말하자면 통영청년단을 중심으로 사회운동이 나타났던 1920년대 통영사회의 분위기, 그리고 그 시기부터 동인지 활동이 지역 내에서 비교적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었던 문화, 통영청년단 단원들이 문학동인지 활동에 참여하고 있었던 양상, 그 안에서 이루어졌던 문학적 사상적 교류 등 그 로컬의 경험 속에서 성장한 이들이었기에 그러한 동인을 결성할 수 있었던 것이었다. 즉 소제부 제일시집 과 생리 , 그 매체의 수록시들, 그 동인들이 보여준 사회 활동 등은 로컬리티를 기반으로 하여 생산될수 있었던 매체와 담론, 움직임이었던 동시에, 지역 담론장과 담론, 작가를 재생산하며 로컬리티를 만들어가기도 하는 것들이었다.

동인들 중에는 문학과 동인지라는 형태로 사회적 사상의 교류와표출을 하는 데 더 초점을 맞추고 있는 사람도 있었고, 작가가 되고자 하는 열망을 가진 사람도 있었는데, 소제부 제일시집 은 그러한 이들 모두에서 자급적인 지역 담론장으로서의 역할을 해주었다. 그 안에서 동인들은 자신들이 경험하고 있는 식민지 현실에대한 경험과 비판 의식을 공유하며 시 텍스트 담론 측면에서도 일부 공통적인 부분을 드러내고 있었다. 유치환 초기 시의 아나키즘적 성향도 이러한 동인지 활동 속에서 만들어지고 표출될 수 있었던 것이다.

생리 는 일제의 억압이 더욱 심해진 1937년 현실 속에서 사회적 의식과 문학이 만나고 교차할 수 있는 지역 내 담론장을 다시만들었다는 점에서 소제부 제일시집 과 연결되고 있었다. 이때생리 동인들도 그 활동들을 검토해보면 현실 비판 의식을 공유하고 있는 이들이었다. 그러나 수록 시에서는 그 의식을 우회적부분적으로만 드러내고 있었다.

이때 생리 동인도 사회운동에 더 중점을 둔 인물과 작가로 자리매김을 하고자 하는 인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후자에 속하는 인물인 장응두, 염주용은 유치환과 함께 해방 후 부산문단을 대표하는 문학인들이 되었다. 그렇듯 통영의 인문적 기반을 바탕으로 하여 생산된 소제부 제일시집 , 그것에서 이어진 생리 는 부산의작가와 매체의 생산으로 다시 이어지며, 인간과 내러티브, 텍스트에 영향을 미치는 로컬리티, 인간 활동에 의해 생산/재생산되는로컬리티를 살펴볼 수 있게 해주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영어 작문에 나타난 어휘 오류 분석 : An analysis of lexical errors in English writings : focused on the aspects of lexical errors and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English and non-English majors / 어휘 오류 양상 및 영어 전공자와 비 영어 전공자간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김은정 p. 1-25
한국어 폐음절 한자음의 중성에 대응하는 일본어 한자음의 모음 고찰 = Considering the vowels of Japanese Kanji sounds that correspond to the vowel of closed syllables of Sino Korean characters sound 허지애 p. 27-50
낭만적 연대와 타자 혐오 : Homo-social community and excluding the others : meaning of intellectual community and savage in Hong Seong Won’s novel / 홍성원 소설에 나타난 지식인 공동체와 야만성의 의미 허선애 p. 51-86

1930년대 부산·경남 시 동인지와 로컬리티 : Poetry coterie magazine of Busan·Gyeongnam region and locality during 1930s : focusing on 『Sojebu』 and 『Saengli』 / 『소제부 제일시집』과 『생리』를 중심으로 우은진, 문재원 p. 87-134
경복궁 관련 한문학 유산에 보이는 주제 의식 연구 : A research on the subject consciousness in the classical Chinese literary heritage related to Gyeongbokgung Palace : focusing on the materials contained in the Gunggwolji(宮闕志) / 『궁궐지(宮闕志)』 수록 자료를 중심으로 박순 p. 135-169

동료 첨삭논평의 제공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provision pattern in peer’s comments 김수정 p. 171-206
비임상군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향상 프로그램 개관 = A systematic review of the on-line based cognitive enhancement program for non-clinical population 서지원, 남예은, 이윤형, 이원혜 p. 207-244

현대 일본 사회와 여성의 역할 변화 : Changing role of women in contemporary Japanese society : focusing on the orientation of new full-time housewives / 신전업주부 지향을 중심으로 김경옥 p. 245-269

시각적 단어 재인에서 사건관련 뇌전위 P200 성분의 의미 = The meaning of P200 component in event-related potential(ERP) during visual word recognition 권유안 p. 271-292

참고문헌 (6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동아일보 , 1920. 4. 18 미소장
2 동아일보 , 1922. 8. 27 미소장
3 동아일보 , 1926. 5. 18 미소장
4 동아일보 , 1926. 7. 31 미소장
5 동아일보 , 1926. 8. 9 미소장
6 동아일보 , 1926. 8. 19 미소장
7 동아일보 , 1926. 10. 8 미소장
8 동아일보 , 1926. 11. 7 미소장
9 동아일보 , 1926. 11. 11 미소장
10 동아일보 , 1934. 12. 7 미소장
11 동아일보 , 1936. 1. 5 미소장
12 동아일보 , 1937. 7. 17 미소장
13 동아일보 , 1937. 7. 23 미소장
14 동아일보 , 1937. 12. 17 미소장
15 동아일보 , 1937. 12. 23 미소장
16 동아일보 , 1938. 9. 23 미소장
17 동아일보 , 1978. 5. 31 미소장
18 조선일보 , 1929. 10. 5 미소장
19 조선일보 , 1930. 10. 25 미소장
20 조선일보 , 1932. 7. 27 미소장
21 조선일보 , 1933. 7. 16 미소장
22 조선일보 , 1934. 12. 7 미소장
23 조선일보 , 1935. 6. 23 미소장
24 조선일보 , 1936. 4. 22 미소장
25 중외일보 , 1928. 2. 20 미소장
26 조선중앙일보 , 1934. 11. 16 미소장
27 참새 제2권 1호, 1927년 새해특대호 미소장
28 조선문단 제4권 제4호, 1935. 8 미소장
29 삼사문학 제3집(제2년 제3집), 1935. 3. 미소장
30 삼천리 제6권 제9호, 1934. 9 미소장
31 문장 제2권 4호, 1940. 4 미소장
32 소제부제일시집 , 지역문학연구 제2호, 경남부산지역문학회, 1998. 3, pp. 179-196 미소장
33 시집 생리 1-2집 , 지역문학연구 제2호, 경남부산지역문학회, 1998. 3, pp. 197-207 미소장
34 유치환 저, 남송우 편, 청마 유치환 전집 Ⅳ 시전집 4 , 국학자료원, 2008 미소장
35 강호정, 1930년대 후반 동인시지 연구 , 한국학연구 제39집,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11. 12, pp. 105-128 미소장
36 강호정, 1930년대 시전문 동인지와 로컬리티 , 한민족문화연구 제51집, 한민족문화학회, 2015. 10, pp. 109-138 미소장
37 검열연구회, 식민지 검열: 제도 텍스트 실천 , 소명출판, 2011 미소장
38 김두천 외, 경남의 독립운동, 그 현장과 운동가들 , 선인, 2016 미소장
39 김재용, 협력과 저항 , 소명출판, 2005 미소장
40 문재원 편, 부산 시공간의 형성과 다층성 , 소명출판, 2013 미소장
41 문재원 외, 로컬리티 담론과 인문학 , 소명출판, 2017 미소장
42 박태일, 근대 통영지역 시문학의 전통 , 통영 거제지역 연구 제4집, 경남대학교, 1999. 3, pp. 347-387 미소장
43 박태일, 경남 부산 지역문학 연구 Ⅰ , 청동거울, 2004 미소장
44 박태일, 경남 부산 지역문학 연구 4 , 경진, 2016 미소장
45 박태일, 만선일보와 경남 부산 지역문학 , 현대문학의 연구 제36집, 한국문학연구학회, 2008. 10, pp. 33-86 미소장
46 박헌호 외, 작가의 탄생과 근대문학의 재생산 제도 , 소명출판, 2008 미소장
47 송희복, 한국 시의 아나키즘 영향과 무정부 낙원관 , 비평문학 제46집, 한국비평문학회, 2012. 12, pp. 225-265 미소장
48 우은진, 장응두 시 시조의 재조명―1930∼40년대 발표 작품을 중심으로 , 어문론총 제66호, 한국문학언어학회, 2015. 12, pp. 261-293 미소장
49 우은진, 1920년대 통영지역 시조동인지 참새 의 로컬리티 연구 , 배달말제64집, 배달말학회, 2019. 6, pp. 261-289 미소장
50 유치환 저, 남송우 편, 청마 유치환 전집 Ⅴ , 국학자료원, 2008 미소장
51 이순욱, 광복기 시인 염주용의 매체 활동과 문예신문 , 석당논총 제52권,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2. 3, pp. 1-42 미소장
52 이순욱, 근대 부산 경남 지역의 매체 현황과 지역문학의 양상 , 국어문학제64권, 국어문학회, 2017. 3, pp. 35-59 미소장
53 이재봉, 로컬리티 연구의 의의와 과제 , 대동철학 제53집, 대동철학회, 2010. 12, pp. 301-318 미소장
54 이효덕, 표상 공간의 근대 , 소명출판, 2002 미소장
55 차철욱, 전근대 군사도시에서 근대 식민도시로의 변화―경남 통영의 사례 , 한일관계사연구 제48집, 한일관계사학회, 2014. 8, pp. 313-350 미소장
56 미쓰이 다카시, 임경화 고영진 역, 식민지 조선의 언어 지배 구조—조선어규범화 문제를 중심으로 , 소명출판, 2013 미소장
57 핫토리 마사타카 저, 우정미 역, 차철욱 해제, 식민지 조선의 이주일본인과통영―핫토리 겐지로 , 국학자료원, 2017 미소장
58 에드워드 렐프, 김덕현 김현주 심승희 역, 장소와 장소상실 , 논형, 2005 미소장
59 H. N. 알렌, 김원모 역, 알렌의 일기 , 단국대학교 출판부, 1991 미소장
60 호미 바바, 나병철 역, 문화의 위치 , 소명출판, 200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