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자기자비 시 쓰기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기자비와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박세란, 이훈진(2015)이 도입하여 개발한 자기자비 프로그램에서 활용한 치료기법과 김근희(2010)의 시치료 방법을 활용한 성장시 교수학습모형을 참고하고 자기자비의 주제에 대해 함께 생각할 수 있는 시 9편을 선정하여 초등학생 4~6학년이 이해하기 쉬운 용어로 시 쓰기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을 임의표집하여 한 학급은 실험집단, 나머지 학급은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고, 실험집단에는 약 4개월간, 총 10회기의 자기자비 시 쓰기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시 쓰기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2×(3) 혼합설계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을 적용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자비 시 쓰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자비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그 효과는 2주 후에도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편적인간성, 자기친절, 마음챙김 순으로 측정시기와 집단의 상호작용의 효과가 높았다. 둘째, 실험집단의 스트레스 총점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프로그램 종료 2주 후에도 지속되었다. 스트레스 중 가정환경 스트레스와 학교생활환경 스트레스는 집단과 측정시기의 이원상호작용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나 부모, 학업 및 교우관계 스트레스 점수는 집단과 측정시기의 이원상호작용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자기자비 시 쓰기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기자비 수준을 향상시키고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해 주었다. 이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변인들을 대상으로 이 연구에서 구안한 시 쓰기 프로그램의 일반화 가능성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3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고유민 (2013). 영재아 대상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이 영재아의 스트레스 인식 및 대처에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 논문. 미소장
2 김근희 (2010). 시치료 방법을 활용한 성장시 교수․학습 방방 연구.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 김남순 (2003). 초등학생들의 스트레스, 그 구성요인 및 친구 지지와의 관계. 창원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 김민애, 이상민, 신효정, 박양민, 이자영 (2010).과중한 학업요구와 학업소진과의 관계:통제감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7(1), 69-84. 미소장
5 김민지, 홍상황 (2018). 아동의 스트레스, 자기자비, 반추 및 우울의 관계. 초등상담연구,17(3), 377-395. 미소장
6 김위수 (2011). 학업환경과 긍정정서가 고등학생의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부경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7 김은우 (2018).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교고학년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학업스트레스완화에 미치는 영향.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8 김정호 (2001). 체계적 마음챙김을 통한 스트레스 관리: 정서 마음챙김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6(1), 23-58. 미소장
9 도종환 (2005). 선생님과 함께하는 시 창작 교실. 서울: 실천 문학사. 미소장
10 박세란, 이훈진 (2015). 자기자비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27(3), 583-611. 미소장
11 박소영, 문혁준 (2005). 학령기 아동의 스트레 스 관련 변인 탐색. 대한가정학회지, 43 (9), 71-84. 미소장
12 박우람, 홍상황 (2020b). 자기자비 연구의 현황과 과제. 초등상담연구, 19(3), 215-256. 미소장
13 박진아 (2001). 학령기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행동문제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미소장
14 배영의, 김성범, 정성옥, 장선희, 박성숙 (2015).표현중심 문학치료가 교도소 남성 수용자들의 자기자비심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4(3), 491-510. 미소장
15 송영호 (2005). 나태주의 서정시 연구:이미지와상징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미소장
16 송현희 (2018). ‘상처감정 얼리기’를 통한 시쓰기 치유적 효과. 인문사회과학연구, 19(3),165-185. 미소장
17 양혜란, 김유미 (2015). 자기자비 증진 프로그램이 아동의 스트레스 및 대인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15, 1-21. 미소장
18 오지인 (2016). 자기자비 증진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불안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9 유희정 (1988). A-타입 행동패턴의 특징. 한국심리학회지 7(1), 31-36. 미소장
20 윤선아 (2010). 아동용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미소장
21 이봉희 (2007). 저널치료: 새로운 일기쓰기. 새국어교육, 77, 235-264. 미소장
22 이봉희 (2008). 예술의 사회적 기여에 관한 국내외 실증사례 연구. 서울: 한국문화예술위원회, 109-168. 미소장
23 이선영 (2009). 수용 전념 치료에서 과정변인이불안에 미치는 매개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4 이오덕 (2005). 무너미마을 너티나무 아래서. 서울: 한길사. 미소장
25 이현주, 조성호 (2011). 관조적 자기-자비(Self- Compassion)와 스트레스 통제 지각에 따른 대처방식의 차이. 학생생활상담, 29, 5-33. 미소장
26 장정화 (2009). 마음챙김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7 전미래 (2017). 초등학생의 정서조절능력 향상을위한 시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미소장
28 정은정 (2004).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과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행동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9 조연아 (2018). 은유의 치유적 특성을 활용한 시창작 교육 방법 연구. 부경대학 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0 조회진, 오익수 (2012). 자기격려 활동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초등상담연구, 11(1), 35-49 미소장
31 한미현, 유안진 (1995). 한국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33(4), 49-64. 미소장
32 한태희 (2004).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부정적 인지변인과 대처방략의매개효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검증.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3 홍상황, 김민지, 박우람 (2017). 한국판 아동용자기자비척도의 타당화. 한국초등교육, 28(1) 1-30. 미소장
34 Bluth, K., & Blanton, P. W. (2014). The influence of self-compassion on emotional well-being among early and older adolescent males and females.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10(3), 219-230. 미소장
35 Diedrich, A., Grant, M., Hoffman, S. G., Hiller, W., & Berking, M. (2014). Self-compassion as an emotion regulation strategy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58, 43-51. 미소장
36 Neff, K. D. (2003a). Self compassion: An alternative conceptualization of a healthy attitude toward oneself. Self and Identity, 2, 85-102. 미소장
37 Neff, K. D. (2003b).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self compassion. Self and Identity, 2, 223-250. 미소장
38 Pennebaker, J. W. (1993). Putting stress into words: Health, linguistic, and the rapeutic implications. Behaviour Research & Therapy. 31, 539-548.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