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김현감호〉에 나타난 공간양상과 문학적 의미 = Spatial form and literary meaning in 〈Kimhyeongamho〉 / 김현화 1

차례 1

국문 요약 1

1. 서론 2

2. 공간양상 5

1) 개방공간과 은닉공간의 배치 5

2) 이속(離俗)공간 비상(非常)공간의 존치 8

3) 대속(代贖)공간과 구제(救濟)공간의 병치 10

3. 문학적 의미 13

1) 애정지상주의 서사 주체 출현 13

2) 대칭적 세계관의 애정 공간 구현 16

4. 결론 19

참고문헌 21

Abstract 24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국어 명사화된 절과 관련된 단위에 대한 연구 : The study on the Korean nominalized clause and the related category : focused on the language-typological analysis / 언어 유형론적 연구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김건희 p. 1-33

보기
『삼강행실도』 언해본의 부사 연구 = A study on the adverb of Unhaebon in Samganghaengsildo 이상훈 p. 55-77

보기
이른바 ‘막말’에 대한 언어학적 고찰 = Linguistic consideration of Korean spiteful speech so-called ‘Makmal’ 김강희 p. 79-99

보기
한국어 교육을 위한 사동사 목록 선정과 제시 : Selection and proposal of causative verb list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 focusing on causative verbs at the beginner and intermediate level / 초·중급 수준의 사동사를 중심으로 김영일 p. 101-136

보기
‘Post-ACE’ 시대 공통교양 ‘대학 글쓰기’ 교육의 문제와 과제 : The problem and task of the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in the post-ACE era : focusing on the essential curriculum ‘writing’ at D. university / D대학의 ‘사고와 표현’ 영역 사례를 중심으로 변상출 p. 137-170

보기
<김현감호>에 나타난 공간양상과 문학적 의미 = Spatial form and literary meaning in <Kimhyeongamho> 김현화 p. 171-194

보기
<천수석>에 나타난 악인의 서사와 서술의식 연구 = A study on the villains and narrative consciousness in Cheonsuseok 최어진 p. 195-234

보기
김춘수의 ‘무의미시론’에 나타난 탈의미적 태도의 실존적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exist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de-meaningful attitude in Kim Chun-soo's 'theory of meaningless poetry' : based on the connection with N.A. Berdyaev's 'existential world' / N.A. 베르자예프의 ‘실존적 세계’와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류순태 p. 235-272

보기
반성적 시 읽기의 실현을 위한 교수·학습의 방향 : The direction of teaching-learning methods in reflective poetry reading : focused on the concept of irony / 아이러니를 중심으로 이상아 p. 273-292

보기
여행의 정치와 구성된 정체성 : Politics of travel and composed identity : focused on the world travelogues in the 1960s∼1970s / 1960~70년대 세계여행기를 중심으로 정미진 p. 293-320

보기
경기 방언 모음조화의 변화 = Changes in the vowel harmony of the Gyeonggi dialect 김수영 p. 35-54

보기

참고문헌 (3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시습(1998), 『금오신화』, 이재호 옮김, 솔. 미소장
2 이검국, 최환 저(1998), 『신라수이전 집교와 역주』, 영남대학교 출판부. 미소장
3 이상구 역주(2003), 『17세기 애정전기소설』(수정판), 월인. 미소장
4 일연(1997), 『삼국유사』 2, 이재호 옮김, 솔. 미소장
5 강상순(2007), 「전기소설적 애정 서사의 변주 혹은 패러디에 대한 일고찰」, 『국제어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 국제어문학회, 29∼36쪽. 미소장
6 권도경(2004), 『조선후기 전기소설사의 전변과 새로운 시각』, 보고사. 미소장
7 김승호(2004), 「불교전기소설의 유형 설정과 그 전개 양상」, 『고소설연구』 17, 한국고소설학회, 107∼125쪽. 미소장
8 김용기(2017), 「전기소설의 죽음에 나타난 인연, 운명, 세계-<김현감호>, <최치원>을 중심으로」, 『온지논총』 50, 온지학회, 9∼33쪽. 미소장
9 김종대(2017), 「김현감호에 나타난 호녀의 상징에 대한 의미와 재해석」, 『어문론집』 70, 중앙어문학회, 173∼195쪽. 미소장
10 김종철(1995), 「전기소설의 전개양상과 그 특성」, 『민족문화연구』 28,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31∼51쪽. 미소장
11 김현화(2013), 『고전소설 공간성의 문예미』, 보고사. 미소장
12 류준경(2010), 「김현감호를 통해 본 전기소설의 형성과정과 그 특징」, 『고소설연구』 30, 한국고소설학회, 125∼152쪽. 미소장
13 류준필(2017), 「김현감호형 서사의 비교문학적 접근」, 『한국학연구』 45,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49∼192쪽. 미소장
14 박일용(1993), 「소설의 발생과 수이전 일문의 장르적 성격」, 『조선시대의 애정소설』, 집문당, 51∼85쪽. 미소장
15 박일용(2007), 「소설사의 기점과 장르적 성격 논의의 성과와 과제」, 『고소설연구』 24, 한국고소설학회, 5∼33쪽. 미소장
16 박희병(1997), 『한국전기소설의 미학』, 돌베개. 미소장
17 소인호(1998), 『한국전기문학연구』, 국학자료원. 미소장
18 송효섭(1986), 「김현감호의 환상적 주제」, 『국어국문학』 95, 국어국문학회, 231∼251쪽. 미소장
19 신재홍(2009), 「김현감호와 조신의 비극적 삶과 치료적 글쓰기」, 『문학치료연구』13, 한국문학치료학회, 301∼326쪽. 미소장
20 윤재민(1995), 「전기소설의 인물 성격」, 『민족문화연구』 28,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53∼67쪽. 미소장
21 윤채근(1999), 『소설적 주체, 그 탄생과 전변-한국전기소설사』, 월인. 미소장
22 이상구(2002), 「나말여초 전기의 특징과 소설적 성취-당대 지괴 및 전기와의 대비를 중심으로-」, 『배달말』 30, 배달말학회, 317∼346쪽. 미소장
23 이정원(2002), 「전기계 소설에 등장하는 여주인공 형상과 의미」, 『어문연구』 30-2, 한국어문교육연구회, 153∼170쪽. 미소장
24 이정원(2003), 「조선조 애정 전기소설의 소설시학 연구」, 서강대학교 박사논문. 미소장
25 이정원(2008), 「애정전기소설사 초기의 서사적 성격-『대동운부군옥』에 실린 『수이전』 일문을 중심으로-」, 『고소설연구』 25, 한국고소설학회, 63∼87쪽. 미소장
26 임재해(1986), 「화소체계에 따른 김현감호 설화의 유형적 이해」, 『한민족어문학』13, 한민족어문학회, 169∼192쪽. 미소장
27 임형택(1980), 「나말여초의 전기문학」, 『한국한문학연구』 5, 한국한문학연구회, 89∼104쪽. 미소장
28 장효현(2005), 「고전소설의 현실성과 낭만성 문제」, 『한국고소설의 창작방법 연구』, 새문사, 73∼89쪽. 미소장
29 정규식(2012), 「고전소설 동물 주인공의 의미와 위상-<금현감호>, <호질>, <서동지전>을 중심으로」, 『고소설연구』 33, 한국고소설학회, 83∼111쪽. 미소장
30 정충권(1995), 「김현감호형 설화의 구조적 고찰」,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논문집』 55, 한국국어교육연구회, 24∼45쪽. 미소장
31 조동일(1979), 『문학연구방법』, 지식산업사. 미소장
32 조하연(2012), 「김현감호에 나타난 호녀와 김현의 상호 인정 관계에 대한 고찰」, 『고전문학과 교육』 23,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301∼329쪽. 미소장
33 조현우(2001), 「금현감호와 호원의 대비 연구」, 『어문연구』 29, 한국어문교육연구회, 178∼195쪽. 미소장
34 탁원정(2013), 『조선 후기 고전소설의 공간 미학』, 보고사. 미소장
35 한국고소설학회(1991), 『한국고소설론』, 아세아문화사.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