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기업에 ESG경영은 지체할 수 없는 명제다" : 윤민현 한국해사포럼 대표 [인터뷰]
|
윤민현 [인터뷰이] ; 이인애 [취재]
|
p. 38-43
|
|
보기
|
|
"ESG, 글로벌 고객과 거래에 거래조건으로 작용" : 윤영창 PWC(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컨설팅) 전무 [인터뷰]
|
윤영창 [인터뷰이] ; 이인애 [취재]
|
p. 44-47
|
|
보기
|
|
국내 해운사 ESG 지수, 글로벌 기준 평균 이하… S·G에도 주목해야
|
김우정
|
p. 48-52
|
|
보기
|
|
CJ대한통운 A등급 우수, KCTC·인터지스 올해 내재화 돌입 : 항만하역산업 ESG경영 어디까지 왔나
|
류지훈
|
p. 54-59
|
|
보기
|
|
조선업계 빅 3, ESG 경영 안착 속도전 급물살
|
류지훈
|
p. 60-69
|
|
보기
|
|
KOBC·KR·해운협회, 탄소중립 ESG경영 내재화 돌입 : 해사기관·단체 ESG경영체계 발돋움
|
류지훈
|
p. 70-72
|
|
보기
|
|
우리는 미래에 어떤 해운을 가질 것인가?
|
윤희성
|
p. 74-76
|
|
보기
|
|
유가급등, 선원안전 모색, 인도 등 러원유 아시아거래는 증가
|
이인애
|
p. 86-89
|
|
보기
|
|
물류사·화주 새로운 방안 긴급 모색, 공급망 재편 : 중국-유럽 연결하는 신 실크로드에 영향 끼쳐
|
김우정
|
p. 90-93
|
|
보기
|
|
우크라이나 긴장상황, 원자재시장 뒤흔들어 : '닛케이신문', "다국적 기업의 현지화 전략이 위험 헤징(hedge)할 수 있어"
|
김우정
|
p. 94-96
|
|
보기
|
|
러-우크라이나전쟁, 아-유럽간 철도·항공운송에 영향 미쳐
|
김순철
|
p. 97-101
|
|
보기
|
|
글로벌 해운사, 우크라이나 주변국 항만으로 뱃머리 돌려 : 영국·EU, 러시아 화물 운송하는 선박의 입항·항만 운영 거부
|
김우정
|
p. 102-103
|
|
보기
|
|
러 '컨'선 5척 미국 제재대상… 물류 공급 타격
|
류지훈
|
p. 104-105
|
|
보기
|
|
"물류업계 안전조치의 첫걸음, 최고경영책임자의 시행이 중요" : '중대재해처벌법이 물류사업에 미칠 영향과 대응방안'
|
김우정
|
p. 106-108
|
|
보기
|
|
항만에도 BIM(건설정보모델링) 도입 속도 낸다
|
이인애
|
p. 110-111
|
|
보기
|
|
중국 '제로 코로나' 정책에 물류정체, 트럭운송 지연
|
이인애, 김우정
|
p. 112-113
|
|
보기
|
|
글로벌 해운기업들의 '21년 역대급 경영실적
|
강미주
|
p. 114-115
|
|
보기
|
|
해양플라스틱 오염문제 해결 위해 각국 머리 맞댄다 : 제5차 유엔환경총회서 플라스틱 오염 대응 국제협약 마련 등 논의
|
김우정
|
p. 116-117
|
|
보기
|
|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제재(Sanction)문제
|
해양한국
|
p. 130-133
|
|
보기
|
|
재해를 당한 선원에 대한 선원법상 일시보상금 지급 : 대법원 2020. 7. 29. 선고 2018다268811, 268828 판결
|
이필복
|
p. 134-144
|
|
보기
|
|
구명정 이탈장치 레버의 잘못 조작으로 구명정의 부두 추락
|
정대율
|
p. 145-147
|
|
보기
|
|
COLREG 항법과 해사안전법의 오류 : COLREG 용어 'risk of collision'을 중심으로
|
김진동
|
p. 148-151
|
|
보기
|
|
'경제를 움직인 사람들'
|
강영민
|
p. 166-171
|
|
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