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위태로운 시대의 취약성 연구 : Vulnerability studies in precarious times : transdisciplinary investigation on the concept of vulnerability / 취약성 개념의 초학제적 탐색 노대원, 이소영, 황임경 p. 15-41

코로나19 시대의 마스크들 : Masks in the era of COVID-19 : medical masks and the ecosystem of masks / 보건용 마스크와 마스크 생태계 장하원, 임성빈 p. 43-69

유랑 체험의 심화와 정신적 고양의 도정 : The process of wandering life and spiritual uplift : a competitive study on Lilke's and Baekseok's poems / 릴케와 백석 시의 비교 연구 이혜원 p. 73-106
과 김유정의 <안해>를 중심으로"> 근대적 미의식의 양가적 충돌과 타자적 여성성에 대한 서로 다른 두 시선 연구 : A study on the two different perspectives of the ambivalence of modern aesthetics and the femininity of otherness : focusing on "The Birthmark" by Nathaniel Hawthorne and "Anhae(Wife)" by Kim Yu-jeong / 너새니얼 호손의 <반점(The Birthmark)>과 김유정의 <안해>를 중심으로 표정옥 p. 107-136
디지털 정보기술을 활용한 근대한국학 연구의 성과와 한계 =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modern Korean studies research using digital information technology [서평] 선민서 [평] p. 139-167
(The) bookish landscapes : 풍경과 기억 : 이제현의 사(詞) 문학과 동아시아의 양층언어(diglossia) 환경 / Yi Che-hyŏn’s travel lyrics in the sinographic cosmopolis Jamie Jungmin Yoo p. 171-195
김초엽의 SF에 나타난 새로운 존재론의 모색 = The exploration of the new ontology in Kim Cho-yeop's fictions 양윤의, 차미령 p. 197-226
번역사회학 시각에서 본 중국에서 장혁주 문학의 번역 및 수용 양상 : Production construction and reception communication of translation text from the perspective of Bourdieu's theory of sociology : focusing on the translation and introduction of Korean writer Jang Hyukjoo in China / 부르디외의 사회학 이론을 중심으로 리둥메이, 김성, 왕옌리 p. 227-251
김종삼 시에 나타난 메시지와 청취자(聽取者) 주체 = "Message" and "listener-subject" that appeared in Kim Jong-sam's poetries 윤은성, 이경수 p. 253-285

참고문헌 (3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권경미, 「들병이와 유사가족 공동체 담론-김유정의 소설을 중심으로-」, 『우리문학연구』 66, 우리문학회, 2020. 미소장
2 권장규, 「토지로부터 분리된 농민과 투기자본주의 주체 사이-김유정 소설의 탈주하는 하층민들」, 『인문과학연구』 55,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미소장
3 권장규, 「가부장 권력과 화폐 권력의 결탁과 경합: 김유정 소설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42, 한국여성문학학회, 2017. 미소장
4 김근호, 「김유정 농촌 소설에서 화자의 수사적 역능」, 『현대소설연구』 50, 한국현대소설학회, 2012. 미소장
5 김미현, 「숭고의 탈경계성 -김유정 소설의 “아내 팔기” 모티프를 중심으로」, 『한국문예비평연구』 38,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2. 미소장
6 김유정, 전신재 엮음, 『원본 김유정 전집』, 강, 2012. 미소장
7 김유정학회, 『김유정 문학 콘서트』, 소명출판, 2020. 미소장
8 김유정학회, 『김유정 문학 다시 읽기』, 소명출판, 2019. 미소장
9 김유정학회, 『김유정 문학의 감정미학』, 소명출판, 2018. 미소장
10 김유정학회, 『김유정의 문학산맥』, 소명출판, 2017. 미소장
11 김윤상, 「근대의 이념적 지표들과 원칙적 의미」, 『제13회 김유정 가을학술대회 논문집』, 김유정문학회, 2021. 미소장
12 너새니얼 호손⋅천승걸 옮김, 『너새니얼 호손 단편선』, 민음사, 2012. 미소장
13 데릭 젠슨⋅이현정 옮김, 『혐오와 문명』, 아고라, 2020. 미소장
14 박양근, 「너새니얼 호손의 단편에 나타난 과학의 이원성」, 『인문사회과학연구』 17-3,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6. 미소장
15 서세림, 「이상 문학에 나타난 ‘안해’의 의미 고찰」, 『이화어문논집』, 이화어문학회, 2016. 미소장
16 신제원, 「김유정 소설의 가부장적 질서와 폭력에 대한 연구」, 『국어국문학』175, 국어국문학, 2016. 미소장
17 심재욱, 「김유정 문학의 미학적 정치성 연구」, 『김유정과 문학콘서트』, 소명출판사, 2020. 미소장
18 아슈만 토마르, 「김유정과 쁘렘짠드 소설의 여성상 비교 연구-‘매춘’의 양상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167-198쪽. 미소장
19 양문규, 「김유정과 리얼리즘, 바흐친, 탈식민주의」, 『김유정과 문학 콘서트』, 소명출판, 2020. 미소장
20 오태호, 「김유정 소설에 나타난 ‘연민의 서사’ 연구」, 『국어국문학』 184, 국어국문학, 2018. 미소장
21 유인순, 『김유정을 찾아 가는 길』, 솔과학, 2003. 미소장
22 유인순, 『정전 김유정 전집1,2』, 소명출판, 2021. 미소장
23 이 경, 「김유정 소설에 나타난 친밀성의 거래와 여성주체」, 『여성학연구』 28-2,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8. 미소장
24 이만영, 「김유정의 ‘귀여운 소녀’번역 저본의 발굴과 그 의미」, 『김유정의 문학산맥』, 소명출판. 미소장
25 이재선, 『현대소설의 서사주제학』, 문학사상사, 2007. 미소장
26 이태숙, 「김유정 소설의 근대성과 여서의 신체」, 『김유정 문학의 감정미학』, 소명출판사, 2018. 미소장
27 장경욱, 「너새니얼 호손의 「반점」에 나타난 미국의 이상주의 비판」, 『영어영문학연구』 29-2, 대한영어영문학회, 2003. 미소장
28 전신제 외, 『김유정 문학과 문화충돌』, 소명출판, 2021. 미소장
29 정의진, 「김유정 문학의 한국적 근대성-프랑스 지역주의 문학과의 비교연구 시론」, 『제13회 김유정가을학술대회 논문집』, 김유정문학회, 2021. 미소장
30 제러미 월드론⋅홍성수⋅이소영 옮김, 『혐오표현, 자유는 어떻게 해악이 되는가』, 이후, 2017. 미소장
31 조비, 「1930년대 한, 중 매춘 모티프 소설에 나타난 비극적 가정서사 비교 연구-「소낙비」와 「노예가된 어머니」를 중심으로」, 『춘원연구학보』, 춘원연구학회, 2019, 131-157쪽. 미소장
32 주영하 외, 『조선시대 책의 문화사』, 휴머니스트, 2008. 미소장
33 차희정, 「김유정 소설에 나타난 한탕주의 욕망의 실제」, 『현대소설연구』 64, 한국현대소설학회, 2016. 미소장
34 천연희, 「너새니얼 호손의 「반점」에 나타난 “좀 더 심오한 지혜”」, 『영어영문학연구』 37-2, 대한영어영문학회, 2011. 미소장
35 최배은, 「김유정의 <두포전>과 동아시아 아기장수 설화」, 『김유정과 문학 콘서트』, 소명출판, 2020. 미소장
36 한상무, 「고상한 여성상/타락한 여성상: 김유정의 두 작품에 그려진 여성상」, 『어문학보』33, 강원대학교 국어교육과, 2013. 미소장
37 한우리, 「너새니얼 호손의 반점 에 나타난 인종, 젠더, 국가」, 『미국학논집』 53-1, 한국아메리카학회, 2021. 미소장
38 홍기돈, 「김유정 소설의 아나키즘 면모 연구-원시적 인물 유형과 들병이 등장 작품을 중심으로」, 『김유정 문학과 문화충돌』, 소명출판사, 2021.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