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유몽인, 『어우야담』.(정환국 책임교열, 『정본 한국 야담전집 01』, 보고사, 2021) | 미소장 |
2 | 『청구야담』.(정환국 책임교열, 『정본 한국 야담전집 07』, 보고사, 2021) | 미소장 |
3 | 이원명, 『동야휘집』.(정환국 책임교열, 『정본 한국 야담전집 08』, 보고사, 2021) | 미소장 |
4 | 이중환, 『택리지』.(안대회 외 역, 『완역 정본 택리지』, 휴머니스트, 2018) | 미소장 |
5 | 신경준, 『여암전서』.(경인문화사, 1976) | 미소장 |
6 | 유득공, 『고운당필기』.(김윤조 외 校點, 『古芸堂筆記』, 한국고전번역원, 2020) | 미소장 |
7 | 고순희, 「우리 고전 해양문학 연구의 현황과 발전 방향」, 『해양문화학』 창간호, 한국해양문화학회, 2005. | 미소장 |
8 | 구모룡, 『해양문학이란 무엇인가』, 전망, 2004. | 미소장 |
9 | 구모룡, 『해양풍경』, 산지니, 2013. | 미소장 |
10 | 구모룡, 「한국 ‘해양문학’ 연구의 현실과 전망」, 『황해문화』 4집, 새얼문화재단, 1994. | 미소장 |
11 | 김수연, 「표류지에 대한 조선후기 상상력 일고」, 『이화어문논집』 37집, 이화어문학회, 2015. | 미소장 |
12 | 김승호, 「해양 공간의 설화적 수용과 의미—삼국유사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 37집, 한국문학연구소, 2009.(UCI: G704-001857.2009..37.005; DOI:10.20881/skl.2009..37.002) | 미소장 |
13 | 김정녀, 「고전서사문학에서 해양문학론의 현황과 전망」, 『인문사회과학연구』 12권 2호, 부경대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1.(UCI: G704-SER000011386.2011.12.2.004; DOI: 10.15818/ihss.2011.12.2.25) | 미소장 |
14 | 김태준, 「서평—윤치부 지음 한국해양문학연구」, 『국어국문학』 111호, 국어국문학회, 1994. | 미소장 |
15 | 남송우, 「한 ․ 중 해양문학론 논의의 현황과 방향성 모색」, 『동북아문화연구』 47집,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6.(UCI: G704-001565.2016.1.47.023; DOI: 10.17949/jneac.1.47.201606.001) | 미소장 |
16 | 신익철, 「신경준의 국토지리관과 해로 ․ 선박에 대한 인식」, 『한국한문학연구』 43집, 한국한문학회, 2009.(UCI: G704-000273.2009..43.006; DOI: 10.30527/klcc..43.200906.005) | 미소장 |
17 | 이경엽, 「고전문학에 나타난 해양인식 태도—어부가 ․ 표해록 ․ 어로요를 중심으로」, 『도서문화』 20집,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원, 2002. | 미소장 |
18 | 정환국, 「동아시아 표류서사 서설—동아시아 해양문화의 端緖로써」, 『대동문화연구』 100집, 대동문화연구원, 2017.(DOI: 10.18219/ddmh..100.201712.295) | 미소장 |
19 | 정환국, 「거인 소재 표류담의 몇 국면」, 『대동문화연구』 101집, 대동문화연구원, 2018.(DOI: 10.18219/ddmh..101.201803.103) | 미소장 |
20 | 정환국, 「조작되는 하위/하위주체들—횡재 소재 표류서사의 변이양상과 하위주체의 성격」, 『민족문학사연구』 68호, 민족문학사학회, 2018. | 미소장 |
21 | 정환국, 「18세기 후반 한문단편의 성격」, 『고전문학연구』 54집, 한국고전문학회, 2018.(DOI: 10.17838/korcla.2018..54.185<고전문학연구>54집,한국고전문학회,2018.185-218면.) | 미소장 |
22 | 정환국, 「조선후기 표류를 통해 발견된 섬, 그 심상지리적 성격」, 『민족문학사연구』71호, 민족문학사학회, 2019. | 미소장 |
23 | 정환국, 「18세기 제주문인 정체성의 일단—장한철 『표해록』의 경우」, 『한국문학연구』 65집, 한국문학연구소, 2021.(DOI: 10.20881/skl.2021..65.004) | 미소장 |
24 | 조규익 ․ 최영호 편, 『해양문학을 찾아서』, 집문당, 1994. | 미소장 |
25 | 조용호 ․ 최재남 외, 『고전문학과 바다』, 민속원, 2015. | 미소장 |
26 | 최영호, 「통섭적 사유와 인문학적 상상력: 해양문학의 지평 확대를 위하여」, 『인문언어』 13-2, 국제언어인문학회, 2011.(UCI: G704-001702.2011.13.2.002)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