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죽순』은 1946년 창간되어 해방 4년 동안 12집이나 발간되었으며, 1979년 봄 복간호를 낸 이후에도 현재까지 발행을 계속하고 있는 대구지역의 대표적 시 동인지이다. 『죽순』은 중앙과 대타적인 지점에서 지역문학의 성과를 보여주었으며, 해방기 대구지역의 시문학에 대한 열망을 제대로 수용해 나간 매체였다. 본고에서는 해방기에 발간된 죽순을 대상으로 죽순시인구락부와 『죽순』지의 탄생과정, 시 동인지로서 『죽순』이 서 있는 자리와 매체적 전략, 『죽순』 이후 동인들이 전선문단으로 이동해 가는 과정 등을 살펴보았다. 먼저 『죽순』은 이윤수, 이호우, 박목월 등 대구지역 시인들 외에 유치환, 김춘수, 조지훈, 박두진, 설창수, 조향 등 대구 바깥의 유명 시인들도 참가시켜 필진의 위상을 높였다.
『죽순』은 출발부터 좌익 진영과 거리를 두고 출발하였는데, 『죽순』에 수록된 시나 시론을 통해 『죽순』이 크게 순수시나 ‘민족시’의 큰 자장 안에 머무르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죽순』의 경우 순수시를 지향한다는 것 외에 동인들을 묶어줄 뚜렷한 이념이나 모토를 제시하지는 못하였다. 이러한 것이 제한된 필진을 넘어 외부 필진의 자유로운 참여를 보장하게 하는 기능을 하기도 했지만 매체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데는 한계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지역 매체가 가진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죽순』은 다양한 기획과 편집전략을 구사하였다. 매체전략으로는 첫째, 신인추천제를 실시하여 김요섭, 최계락, 천상병, 윤운강 등의 시인을 등단시켰고, 둘째, 일반 문학지망생과 학생들이 작품을 발표할 수 있는 일반시단과 학생시단란을 설치했으며, 셋째, 지역문인의 표상화 작업을 시도하여 이상화 시비 건립과 상화시비 특집호를 발간했으며, 넷째, 시조에 대한 관심과 시조 발표 지면을 지속적으로 유지시켰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한편 한국전쟁기로 접어들면서 『죽순』 동인들은 전선매체로 이동해 가는데, 특히 문총구국대 경북지대의 이름으로 나온 『전선시첩』 2집은 『죽순』의 전시판 매체라 할 수 있었다. 죽순시인구락부의 대표였던 이윤수가 『전선시첩』 2집의 발간 주체로 원고 수합, 편집, 「후기」까지 관여한 것은 그러한 사실을 증빙해 준다. 전선시첩에 실린 시들은 순수시를 지향했던 시인들이 국가가 위기에 처했을 때 어떻게 전선시로 이동해 가는지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죽순』 1-11집, 죽순시인구락부, 1946-1949. | 미소장 |
2 | 『죽순』 임시증간호, 죽순시인구락부, 1947. | 미소장 |
3 | 『죽순』 복간호, 죽순시사, 1979 봄. | 미소장 |
4 | 『죽순』 18집, 죽순시사, 1984., | 미소장 |
5 | 문총구국대 편집, 『전선시첩』 1집, 국방부 정훈국, 1950. | 미소장 |
6 | 이윤수 편집, 『전선시첩』 2집, 문총경북지대, 1951. | 미소장 |
7 | 이윤수 편, 『전선시첩』, 학문사, 1984. | 미소장 |
8 | 강민희, 「문학동인지의 지역성과 스토리텔링 가능성 연구」, 『어문학』 135, 한국어문학회, 2017, 185-208쪽. | 미소장 |
9 | 강호정, 「해방기 동인지 『죽순』 연구」, 『한국문학논총』, 69, 한국문학회, 2015, 127-157쪽. | 미소장 |
10 | 김준현, 「순수문학과 잡지 매체-청년문학가협회 문인들의 매체 전략」, 『한국근대문학연구』 22. 한국근대문학회, 2010, 59-84쪽. | 미소장 |
11 | 노춘기, 「해방기 조향의 시적 지향-동인지 『낭만파』와 『죽순』을 중심으로」, 『우리문학연구』 48, 2015, 261-288쪽 | 미소장 |
12 | 박민규, 『해방기 시론의 구도와 동력』, 서정시학, 1914, 269-270쪽. | 미소장 |
13 | 박용찬, 「이호우 시조의 변모와 매체」, 『시조학논총』 32, 2010, 35-60쪽. | 미소장 |
14 | 박용찬, 「해방기 대구․경북 지역 문학매체와 학생시단의 위상」, 『국어교육연구』 47, 국어교육학회, 2010, 277-298쪽. | 미소장 |
15 | 박용찬, 「출판매체를 통해 본 근대문학 공간의 형성과 대구」, 『어문론총』 55, 한국문학언어학회, 2011, 35-60쪽. | 미소장 |
16 | 박태일, 『한국지역문학 연구』, 소명출판, 2019. | 미소장 |
17 | 송영목, 「해방기 『죽순』지의 시세계」, 『비평문학』 7, 한국비평문학회, 1993, 102-127쪽. | 미소장 |
18 | 시문학사 편찬, 『박용철전집』 제2권, 동광당서점, 1940. | 미소장 |
19 | 이순욱, 「광복기 경남․부산 시인들의 문단 재편 욕망과 해방 1주년 기념시집 『날개』」, 『비평문학』 43, 한국비평문학회, 2012, 189-226쪽. | 미소장 |
20 | 조섭제, 『대학국어 현대국문학수』, 행문사, 1948, | 미소장 |
21 | 조지훈, 『조지훈전집 3- 문학론』, 나남출판, 1996.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