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柳健休 『東儒論語解集評』에 나타난 조선유학사의 특징 = Characteristics of Korean Confucian history in Dongyu Saseo hae jipyeong 강지은 p. 5-41
『동유논어해집평(東儒論語解集評)』으로 본 박세채의 『논어(論語)』경설(經說)의 특징 = A study on Park Se-chae's views on the analects of Confucius through the Compilation of Korean Confucian Annotation on Analects of Confucius 남지만 p. 43-81
김창협 『논어집주』 해설 특징 연구 :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Kim Chang-hyeop's interpret on Zhuzi's commentary of Analects : focusing on the Commentary Collection of Analects / 『동유논어해집평(東儒論語解集評)』을 중심으로 이해임 p. 83-130
대산 이상정의 『중용』 해석과 성리설의 이해 = Understanding the doctrine of the mean and neo-Confucianism theory of Daesan Lee Sang-jeong 전성건 p. 131-163
유가의 인(仁) 개념과 돌봄의 자유관 = The Confucian concept of Ren as caring freedom 나종석 p. 165-211

후창 김택술(金澤述)의 간재 성리설 계승과 그 의미 = Succession of Kim Taek-Sul(金澤述) to Jeon U(田愚)'s Confucianism and its meaning 김근호 p. 213-241
현대 한국인의 “예의(禮儀)” 인식과 선진시기 예(禮)의 정치적 함의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courtesy(禮儀)" of modern Korean and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Li(禮) in pre-Qin(秦) period 홍린 p. 243-278

참고문헌 (3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南溪集』, 한국문집총간 138집~142집 수록본(규장각 奎6267). 미소장
2 『東儒四書解集評』 권4~권5 論語, 국립중앙도서관 古1237-30, (石版本(1934 )으로 nl.go.kr 홈페이지에서 디지털 원문 보기서비스를 이용) 미소장
3 한국경학자료시스템 원문 데이터베이스(http://koco.skku.edu 를 이용, 원문은 한국경학자료집성 수록본으로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과 같은 종류의 석판본) 미소장
4 『通義四書章圖大成』 宋朱子[宋朱熹][撰] ; 元倪士毅重訂輯釋; 元趙汸訂; 元朱公遷約説; 元程復心章圖; 明王元善通攷; 明王逢訂定通義, 게이오 대학교 175 437 1 (국립 중앙도서관 외부연계자료 https://babel.hathitrust.org/cgi/pt?id=keio.10812741080&view=1up&seq=1&skin=2021 ) 미소장
5 『四書輯釋』 (元)倪士毅輯釋, 北京大學圖書館본( China-America Digit al Academic Library (CADAL), https://archive.org/search.php?query =creator%3A%22%28%E5%85%83%29%E5%80%AA%E5%A3%AB%E6%AF%85%E8%BC%AF%E9%87%8B%22 ) 미소장
6 『四書大全校注』 胡廣, 楊榮, 金幼孜等편수, 周群, 王玉琴校注, 武漢:武漢大學出版社, 2015. 미소장
7 조준호 옮김, 『논어집평』, 한국국학진흥원, 2019. 미소장
8 강지은, 『대학 사변록』에 대한 새로운 정의: 주자학(朱子學)으로써주자주(朱子註)를 수정한 저술 , 『박세당 사변록 연구』, 태학사, 2020. 미소장
9 강지은, 『새로 쓰는 17세기 조선 유학사』, 푸른역사, 2021. 미소장
10 금장태, 한국 경학經學에서 계승과 개혁 , 『대동문화연구』 49, 2005. 미소장
11 김용흠, 박세채의 변통론과 황극탕평론 , 『동방학지』 143, 2008. 미소장
12 김종수, 南溪朴世采의 도통의식과 異端群비판 , 『한국학연구』 39, 2011 미소장
13 김태년, ‘正典’ 만들기의 한 사례, 『栗谷別集』의 편찬과 그에 대한비판들 ,『민족문화』 43, 2014. 미소장
14 김태년, 남당 한원진의 ‘正學’ 형성에 대한 연구 , 고려대학교 철학과 박사논문, 2006. 미소장
15 김태년, 『사변록』 저술 동기와 『대학』 본문 재배열 문제에 대한 검토 『박세당 사변록 연구』, 태학사, 2020. 미소장
16 김현수, 남계 박세채의 ‘사단리발 칠정기발’ 이해 , 『동양고전연구』30, 2008. 미소장
17 오세현, 박세채(朴世采, 1631∼1695)의 이이(李珥) 문집 편찬과 그특징 미소장
18 우경섭, 17세기 조선 학자들의 존왕론과 노소 분기(2) -1683년 종묘논쟁을 중심으로- , 태동고전연구 36, 2016. 미소장
19 우경섭, 朴世采의 朱子學연구와 朱子大全拾遺,『韓國文化』 39, 서울대학교, 2007. 미소장
20 유명종, 理氣折衷派의 思想槪觀, 『玄谷文貞復華甲紀念論文集』, 1984. 미소장
21 이남옥, 남계 박세채의 예론과 고금절충론적 특징 , 『동양고전연구』 68, 2017. 미소장
22 이동희, 조선 후기 ‘절충파’의 성리학설에 대한 연구 , 『동양철학연구』 26집, 2001. 미소장
23 이선열, 『송시열과 우암학단의 심론 연구』, 서울대학교 철학과 박사논문, 2010. 미소장
24 이영자, 박세채 퇴율절충론의 배경과 특징 , 『한국사상과 문화』 49, 2009. 미소장
25 이영호, 양명학배척과 주자학의 현양 : 남계 朴世采의 대학해석 , 『조선중기 경학사상연구』, 경인문화사, 2004. 미소장
26 이영호, 退溪論語解釋의 經學的特徵과 그 繼承樣相, 『퇴계학과한국문화』 36, 경북대 퇴계연구소, 2005. 미소장
27 이영호, 『論語集註』의 註釋方式과그 經學史的繼承樣相, 『동양학』35, 단국대학교동양학연구소, 2004. 미소장
28 이천승, 농암 김창협의 심성론에 대한 연구 ,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과 박사논문, 2004 미소장
29 전재동, 農巖金昌協의 論語註釋硏究- 農巖雜識所載‘論語說’의分析을 中心으로- ,『영남학』 8, 경북대 영남문화연구원, 2005. 미소장
30 전재동, 송시열(宋時烈)과 박세채(朴世采)의 퇴계설(退溪說) 비판(批判): 『퇴계사서질의의의(退溪四書質疑疑義)』 “논어(論語)” 분석을 중심으로 , 『韓國漢文學硏究』 42, 2008. 미소장
31 전재동, 퇴계학파 경전주석(經傳註釋)의 전승과 『논어석의(論語釋義)』 , 『국학연구』 25, 한국국학진흥원, 2014. 미소장
32 정경희, 17세기 후반 조선사상계의 분화 17세기 후반 '전향노론'학자의 사상: 박세채·김간을 중심으로 , 『역사와현실』13, 1994. 미소장
33 정호훈, 16 · 7세기 栗谷學派의 형성과 활동: 著述· 文集의 편찬과政治論을 중심으로, 『사학연구』 103, 2011. 미소장
34 최석기, 한국경학연구의 회고와 전망 , 『한국경학의 연구 시각』, 보고사, 2020. 미소장
35 최영성, 남계 박세채의 예학과 사회 정치 개혁: 변통, 탕병론을 중심으로 , 『율곡학연구』 21, 2010. 미소장
36 최천식, 김창협 철학 연구: 지각론(知覺論)을 중심으로 , 서울대학교 철학과 박사논문, 2016. 미소장
37 황의동, 『우계학파 연구』, 제3장 9절 남계 박세채 , 서광사, 2005.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