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대학 인문학교육은 환상과 현실이 혼합된 가상사회의 도래와 더불어 위기에 빠져 있다. 이른바 아마존 물류혁명, 암호화폐, 사회적 VR의 등장은 전통적인 실재 모델을 바꾸어 놓고 있다. 가상사회의 기반인 네트워크 미디어 환경에서 ‘사실상의 표준’(de facto standard)이 된 페이크뉴스는 진실을 말하고, 가르치는 자의 사회적 책임을 생각하게 한다. 지난 세기말 데리다는 인간 고유의 것을 성찰하는 인문학교육에 대한 옹호를 통해 미래 인문학의 방향을 제시한바 있다. 미래 인문학은 인간의 법과 권리에 관련된 인권, 문학의 역사, 교수직의 역사 등 인간성에 관한 주제들을 이념삼아 간 학문적이고 실천적인 성격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여기에는 순수 이론에 대한 탐구와 사회 참여를 동시에 실천하는 인문학 교수의 독특한 역할에 대한 성찰도 들어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민교육 수업에서 다룬 차별의 법적‧도덕적 기준, 생명윤리학적 쟁점 등을 통해 데리다가 옹호한 미래 인문학교육의 가치를 검토하였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명숙(2018). 대학과 대학생의 시대. 파주: 서해문집.(Translated in English) Kang, M. S.(2018). University and the Age of University Student. Paju: Seohaemunjib. | 미소장 |
2 | 곽덕주‧최진(2018). 맥신 그린의 ‘미적 체험 예술교육 접근’의 인문교육적 가치: 새로운‘인문적’ 교수-학습 패러다임을 탐색하며. 교육철학연구, 40(2), 1-26.(Translated in English) Kwak, D. J. and Choi, J.(2018). A Study on the Educational Values of Maxine Greene’s Aesthetic Approach to Arts Education: in Search of a New Humanistic Approach in Teaching-and Learning. The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40(2), 1-26. | 미소장 |
3 | 권영우(2014). 철학은 인문학인가?: 철학, 과학의 본래적 이름: 융복합 교육으로서 철학교육. 동서철학연구, 73, 372-393.(Translated in English) Kwon, Y. W.(2014). Is philosophy just humanities?:Philosophy, the original name of science: Education of philosophy as interdisciplinary education. S.P.E.W., 72, 372-393. | 미소장 |
4 | 김대석‧홍후조(2009). 대학교육과정의 확대와 정합성에 대한 역사적 고찰: 미국 대학교육과정사를 중심으로. 비교교육연구, 19(1), 111-129.(Translated in English) Kim, D. S. & Hong, H. J.(2009). Proliferation and Coherence in Colleges Curriculum centering around the History of American Higher Education, Journal of Comparative Research Education, 19(1), 111-129. | 미소장 |
5 | 김영애(2020). 인공지능 시대 교양교육의 방향: 소통·공감 능력 제고를 위한 인문학적 교육콘텐츠의 확대. 한국융합인문학, 8(4), 7-22.(Translated in English) Kim, Y. A.(2020). Directions of Education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ra : Expanding Content of Humanistic Education to Improve Communication and Empathy. Korean Journal of Converging Humanities, 8(4), 7-22. | 미소장 |
6 | 김중철(2015). 영화를 통한 공학교육과 인문학의 만남. 공학교육연구, 18(6), 57-63.(Translated in English) Kim, J. C.(2015). The Meeting between Engineering Education and Humanities through a Movie.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8(6), 57-63. | 미소장 |
7 | 김현경(2015). 사람, 장소, 환대. 서울: 문학과지성사.(Translated in English) Kim, H. K.(2015). Human, Place and Hospitality. Seoul:Munhakgwajisungsa. | 미소장 |
8 | 박선균(2021). 대학 교양 인문학 수업의 철학 텍스트 교수법 연구. 교양교육연구, 15(1), 67-81.(Translated in English) Park, S. G.(2021).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s of Philosophical Texts in a Humanities Class of a Liberal Arts Course at University.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5(1), 67-81. | 미소장 |
9 | 박영주(2017). 대학 교양교육과 인문학적 소양. 동아인문학, 41, 291-310.(Translated in English) Park, Y. J.(2017).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of Liberal Arts Education at College and Knowledge of Humanities. Journal of Donga Humanities, 41, 291-310. | 미소장 |
10 | 신재철(2002). 대학교수의 역할과 자질. 대학교육, 117. 45-52.(Translated in English) Shin, J. C.(2002). The Role and Talent. Higher Education, 117, 45-52. | 미소장 |
11 | 이은선(2008). 국제화시대 한국교육의 ‘무한경쟁주의’ 극복을 위한 인문학적 성찰. 교육철학연구, 41, 203-223.(Translated in English) Lee, E. S.(2008). An humanistic critical Rethinking on the endless competitive spirit of Korean contemporary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41, 203-233 | 미소장 |
12 | 이정우(2004). 사범대생의 눈으로 본 사범대학 교육의 의미: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의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교육, 43(4), 107-137.(Translated in English) Lee, J. W.(2004). A case study of an undergraduate student in social studies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Meaning and the Role of College of Education through Undergraduate Student's Life. Social studies education, 43(4), 107-137. | 미소장 |
13 | 임은정(2007). 대학 교육과정 결정과정의 특징: 4개 대학 교양 교육과정 결정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25(3), 81-107.(Translated in English) Im, E. J.(2007). Characteristics of the Decision-Making Process for the University Curriculum.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5(3), 81-107. | 미소장 |
14 | 최신일(2016). 도덕교육의 인문학적 함의. 초등도덕교육, 51, 377-401.(Translated in English) Choi, S. I.(2016). A Humanistic Implication of Moral Education. Journal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51, 377-401. | 미소장 |
15 | 최훈(2019). 동물 윤리 대논쟁: 동물을 둘러싼 열 가지 철학 논쟁. 고양: 사월의책.(Translated in English) Choi, H.(2019). Animal Ethics: A Controversy. Goyang:Swoleichak. | 미소장 |
16 | 한기철(2016). 인문주의의 형성과 전개: 고전적 맥락을 중심으로. 도덕교육연구, 28(3), 163-196.(Translated in English) Han, G. C.(2016).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Humanism: In the Classical Context. Journal of Moral Education, 28(3), 163-196. | 미소장 |
17 | 한숭희‧양은아(2007). 평생교육 맥락에서의 인문학습의 새 지평: 인문학 위기론의 재해석. 평생교육학연구, 13(4), 237-54.(Translated in English) Han, S. H. & Yang, E. A.(2007). New horizons of liberal education of humanities in the context of lifelong education. Jouranl of Lifelong Education, 13(4), 237-54. | 미소장 |
18 | 홍은숙(2017). ‘인문학 교육’ 개념의 뒤틀림 분석. 교육철학연구, 39(2), 211-241.(Translated in English) Hong, E. S.(2017). An Analysis of the Distorted Concept of `Humanities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39(2), 211-241. | 미소장 |
19 | 東浩紀(2015). 존재론적‧우편적: 자크 데리다에 관하여[存在論的‧郵便的: ジャック・デリダについて]. 東京: 新潮社. (조영일 역). 서울: 도서출판b. (원전은 1998년에 출판).(Translated in English) Hiroki, A.(2015). Ontologically‧Fragmentary: About Jacques Derrida. Tokyo: Shinyosha. | 미소장 |
20 | 服部健司‧伊東隆雄(2016). 의료윤리학의 이론과 실제[医療倫理学のABC]. 東京: メヂカルフレンド社. (김도경‧정신희 역). 서울: 로도스. (원전은 2015년에 출판)(Translated in English) Kenji, H. & Takao, I.(2015). ABC of Medical Ethics. Tokyo: Medicafriendsha. | 미소장 |
21 | 大黒岳彦(2018). ヴァーチャ社会の哲学: ビットコイン‧VR‧ポストトゥールーズ. 東京:靑土社.(Translated in English) Takehiko, D.(2018). The Philosophy of Virtual Society:Bitcoin‧VR‧Post-truth. Tokyo: Aokisha. | 미소장 |
22 | Ball, J.(2020). 개소리는 어떻게 세상을 정복했는가: 진실보다 강한 탈진실의 힘[Post-truth:How Bullshit Conquered the World]. New York: Biteback Publishing. (김선영 역).다산초당. (원전은 2017년에 출판). | 미소장 |
23 | Baudrillard, J.(1998). The consumer society: myths and structures. London: Sage Publisher. | 미소장 |
24 | Blackburn, A., Chen, Irene L., Pfeffer, R. et al.(2019). Emerging Trends in Cyber Ethics and Education. PA, USA: IGI Global. | 미소장 |
25 | Derrida, J.(2016). 아듀 레비나스[Adieu à Emmanuel Lévinas]. Paris: Galilée. (문성원역). 서울: 문학과지성사. (원전은 1997년에 출판). | 미소장 |
26 | Derrida, J.(2004). 환대에 대하여[De l’hospitalite]. Paris: Galilée. (남수인 역). 파주: 동문선. (원전은 1997년에 출판). | 미소장 |
27 | Derrida, J.(2010). 그라마톨로지[De la grammatologie]. Paris: Minuit. (김성도 역). 서울:민음사. (원전은 1967년에 출판). | 미소장 |
28 | Derrida, J.(2021). 조건 없는 대학[L’Université sans condition]. Paris: Galilée. (조재룡역). 파주: 문학동네. (원전은 2001년에 출판). | 미소장 |
29 | Derrida, J. and Stiegler, B.(2014). 에코그라피: 텔레비전에 관하여[Écho graphies: de la télévision]. Paris: Galilée. 김재희‧진태원 역(2014). 서울: 민음사. (원전은 1996년에출판). | 미소장 |
30 | Englund, T.(2002). Higher Education Democracy and Citizenship: the Democratic Potential of the University? Studies in Philosophy and Education, 21, 281-287. | 미소장 |
31 | Gabriel, M.(2021). 생각이란 무엇인가[The Meaning of Thought]. London: Polity Press.(전대호 역). 파주: 열린책들. (원전은 2018년에 출판). | 미소장 |
32 | Gilder, G.(2019). 구글의 종말[Life After Google: The Fall of Big Data and the Rise of the Blockchain Economy]. New York: Regnery Publishing. (이경식 역). 서울: 청림출판. (원전은 2018년에 출판). | 미소장 |
33 | Hellman, D.(2016). 차별이란 무엇인가[When is Discrimination Wrong?] Massachusetts:Harvard University Press. (김대근 역). 파주: 서해문집. (원전은 2008년에 출판). | 미소장 |
34 | Koczanowicz, L. and Włodarczyk, R.(2021). Education for Critical Community and the Pedagogy of Asylum: Two Responses to the Crisis Of University Education. Studies in Philosophy and Education. open access. | 미소장 |
35 | Macdonald, H.(2018). 만들어진 진실: 우리는 어떻게 팩트를 편집하고 소비하는가[Truth: How the Many Sides to Every Story Shape Our Reality]. New York: Transworld Publishers Ltd. (이지연 역). 서울: 흐름출판. (원전은 2017년에 출판). | 미소장 |
36 | McIntyre, L. C.(2019). 포스트트루스[Post-truth]. Massachusetts: MIT Press. (김재경역). 서울: 두리반. (원전은 2018년에 출판). | 미소장 |
37 | Mounk, Y.(2018). 위험한 민주주의: 새로운 위기, 무엇이 민주주의를 파괴하는가[The People vs. Democracy: Why Our Freedom is in Danger & How to Save it].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함규진 역). 파주: 와이즈베리. (원전은2018년에 출판). | 미소장 |
38 | O′Neil, C.(2017). 대량살상 수학무기: 어떻게 빅데이터는 불평등을 확산하고 민주주의를 위협하는가[Weapons of Math Destruction: How Big Data Increases Inequality and Threatens Democracy]. New York: Penguin Books. (김정혜 역). 서울: 흐름출판. (원전은 2016에 출판). | 미소장 |
39 | Peters, M.(2009). The university and the future of the humanities. (Peters, M., and Biesta, G. Eds.) Derrida, Deconstruction, and the Politics of Pedagogy. NY:Peter Lang Publishing. | 미소장 |
40 | Strike, K.(1973). The Logic of Neutrality Discussions: Can a University be Neutral? Studies in Philosophy and Education, 8, 62-91. | 미소장 |
41 | Weber, S.(2002). The Future of the Humanities. Institution and Interpretation. expanded edi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236-252. | 미소장 |
42 | 인터넷사이트 https://www.youtube.com/watch?v=YbiNbAwAO7s 2022.3.13. 인출.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