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鄭允容(1792-1865)은 『字類註釋』의 작자로 많이 알려져 있으며, 여러 저술을 남겼음에도 『자류주석』 외에는 큰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본 논문은 정윤용의 여러 저술 가운데 『北路紀略』을 중심으로 하여 구성과 내용을 살피고 이를 토대로 『북로기략』의 서술적 특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北路紀略』은 정윤용이 그의 사촌 형인 정원용을 따라 1829-1830년 함경도 지방으로 갔을 때 이곳을 돌아보고 지은 저술이다. 그동안 『북로기략』은 북방 관련 풍부한 자료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여러 차례 중요한 북방 관련 자료로 언급되는 등 그 중요성은 일찍부터 지적되어왔다. 그러나 한 차례의 연구 성과가 나온 이후로 40여 년간 이에 관한 연구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고는 이에 문제의식을 느끼고 『북로기략』 연구에 관한 기초작업으로 우선 『북로기략』의 구성과 내용을 자세하게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북로기략』의 서술적 특성을 1) 함경도 지역에 대한 인식 提高 2) 다양한 자료를 활용한 자신의 견해 표출 3) 北方의 변화된 實狀 기록 세 가지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북로기략』에는 백두산 지변의 지형, 大澤의 원류, 백두산 정계비를 비롯하여 함경도 지방의 전반적인 정보, 豐沛之鄕으로서의 함경도의 위상을 보여주는 태조와 선대들의 사적과 유적, 북방 지역 주변 민족에 대한 내용, 임진왜란 때 함경도 지역의 의병 활동, 이 지역의 특성 등이 기록되어 있다. 이처럼 『북로기략』은 다른 북방 관련 저술과 비교하면 그 양과 내용이 풍부하여 조선 후기 북방 관련 저술 가운데에서도 그 가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나당동맹의 성립 과정 =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the Silla and Tang alliance 김덕원 p. 9-43

구암학 연구의 자료 범위와 한국유학사에서 구암 이정의 역할 = The scope of materials in Guam (龜巖) Leejeong (李楨) study and his roles in the history of Confucianism in Korea 정우락 p. 45-82

임진왜란 의병장 『일기』 조작의 한 사례 : A case of manipulating 『Diary』 of a righteous army in the Imjin War : focused on Lee Gyeong-yeon's 「Diary in the years of Imjin war」 / 이경연의 「龍蛇日錄」을 중심으로 송수환 p. 83-114

鄭允容의 『北路紀略』 硏究 = A study of Jeong Yun-yong's 『Bukro-giryak』 권은지 p. 115-140

『한국천주교회사』(샤를르 달레, 1874)의 편찬과 한글 번역 = Compilation and Korean translation of the Histoire de l'Église de Corée(Charles Dallet, 1874) 양인성 p. 141-170

<태원지(太原誌)>의 일주(一周) 상상력과 다원(多元)의 세계관 : Imagination around the world and a multi-dimensional worldview of <Taewonji> : by adding an opinion on the thought experiment of old novels in the late Joseon Dynasty / 고소설의 사유 실험에 대한 단상을 더하여 김수연 p. 171-199

郭法鏡의 행적을 통해 본 친일-항일 구도의 재고 = A reconsideration of the pro-Japanese/anti-Japanese composition through the actions of Gwak Beop-gyeong (郭法鏡) 박재현 p. 201-222

일제강점기 교파신도의 조선포교 양상 연구 : A study on aspects of the propagation of sectarian Shinto in Korea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 focusing on the records of "The Official Gazette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1911-1945) / 『조선총독부관보』(1911-1945) 기록을 중심으로 권동우 p. 223-259

연길교구(延吉敎區)의 교육운동 : The educational movement of the Diocese of Yenki : focusing on the school of the star of the sea / 해성학교를 중심으로 장명선 p. 261-300

1950년대 미국 국제정보교육교환법(PL 402)에 의한 한⋅미 교육교환 : Korea-U.S. educational exchange under the U.S. International Information and Educational Exchange Act (PL 402) in the 1950s : focusing on the scholar program / 학자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장영민 p. 301-336

역행(逆行)의 정치 : Counter politics : Korean labor art(1987-1994) / 한국의 노동미술 (1987-1994) 서유리 p. 337-382

강원·경북 동해안 접경 지역의 w 반모음화 관련 현상 = Phenomena related to w glide formation in the border region of the east coast of Gangwon-Gyeongbuk 김봉국 p. 383-402

남북 음악 전문용어 유형과 어종 분석 : Analysis of North-South music terminology types and species : focusing on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 중⋅고등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김령령, 신중진 p. 403-433

참고문헌 (2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李建昌, 明美堂集, 韓國文集叢刊, 349, 2005. 미소장
2 李端夏, 彰烈祠志, 미국 버클리대 동아시아도서관 소장. 미소장
3 李瀷, 星湖全集, 韓國文集叢刊, 198, 1997. 미소장
4 丁若鏞, 經世遺表, 다산학술문화재단, 2012 미소장
5 鄭元容, 經山集, 韓國文集叢刊, 399, 2002, 미소장
6 鄭元容, 北行隨錄, 규장각 소장. 미소장
7 鄭元容, 經山北征錄, 연세대 소장. 미소장
8 鄭允容, 北路紀略, 규장각 소장; 장서각 소장. 미소장
9 鄭允容. 北路紀略, 아세아문화사, 1974. 미소장
10 洪良浩, 耳溪集, 韓國文集叢刊, 241, 2000. 미소장
11 강석화, 조선 후기 함경도와 북방영토의식, 경세원, 2000, 1-313면. 미소장
12 강석화, 「조선후기 함경도 지역민의 국가의식」, 진단학보 136, 진단학회, 2021, 135-160면. 미소장
13 고승희, 조선후기 함경도 상업 연구, 국학자료원, 2003, 1-313면. 미소장
14 윤호진, 박윤미, 「정윤용의 심의고증에 관한 연구」, 아시아민족조형학보 14, 아시아민족조형학회, 2014, 17-37면. 미소장
15 장존무, 「북로기략(北路紀略)』의 작자와 저작시기」, 『동방학지』 18, 연세대 국학연구원, 1978, 229-231면. 미소장
16 鄭元容, 허경진⋅구지현 옮김, 국역 경산일록, 1-3, 보고사, 2009. 미소장
17 韓國學中央硏究院, 藏書閣圖書韓國本解題. 2:地理類, 「北路紀略」, 2005, 194-197면. 미소장
18 홍양호, 홍의영, 이범윤⋅김노규 著, 손성필⋅오세옥⋅이정욱 譯, 조선 후기의 북방지리서 北塞記略, 北關紀事, 北輿要選, 한국고전번역원, 2018, 1-456면. 미소장
19 고려대 해외한국학자료센터(http://kostma.korea.ac.kr/) 미소장
20 朝鮮王朝實錄, (http://sillokhistory.go.kr/) 미소장
21 韓國文集叢刊, 한국고전번역원DB(http://db.itkc.or.kr)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