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고등학생들의 주제 탐구 논술에서 논증 형식 변화 분석 = Analysis of argumentation form changes in high school students' subject inquiry essays 정다운 p. 1-15
부모의 비일관적 양육태도와 청소년 행복감의 관계에서 주의집중과 그릿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attention and gri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inconsistent parenting attitude and adolescent's happiness 김명화, 김혜진, 최재혁 p. 17-32
비대면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셀프리더십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 of self-leadership, critical thinking on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in online learning 이윤희, 안나 p. 33-41
읽기부진 학생을 위한 ‘개에게 책 읽기 프로그램’의 교육적 개입 모형 탐색 = Exploration of educational support measures for poor readers based on the mechanism of effect of reading to dogs 심혜미, 박종효 p. 43-56
대학생의 학습공동체 활동에서 협력적 자기조절,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팀 효능감, 문제해결력 간의 관계에 대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skil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collaborative self-efficacy, team efficacy, and problem solving skills in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박미정, 박성희 p. 57-75
한글 문해 앱(App) 제작에 기반한 스마트폰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활용 가능성 탐색 = Development of a smartphone education program and its utilization plan based on the production of Korean literacy app 이안, 정진숙 p. 77-94
유아교사의 교육신념과 교사역량이 유아의 2019 개정 누리과정 교육내용 경험 정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ducational beliefs and teacher competencies on the degree of young children’s experience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education contents 천연주, 장상옥 p. 95-110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이 감성지능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직적성의 매개효과 = The effect of the creative personality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ediated effect by the teaching motivation 임연자 p. 111-124
글쓰기 교육에 참여한 지구과학교육 전공 교사들의 SSI 교수에 대한 인식 및 글쓰기에 나타난 논증 구조 분석 = Analysis of the argumentation structure shown in writing and earth science teachers’ perception for SSI teaching through writing education 서혜정, 위수민 p. 125-146
현직 유아교사의 ‘유아 원격교육에서의 유아교사’에 대한 이미지 = The imag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childhood remote education’ by current early childhood teachers 김은정, 하민경 p. 147-161
(The) effectiveness of experiential hygiene education on the attitudes toward and practice of personal hygiene among the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체험위생교육이 초등 저학년 아동의 개인위생 태도와 실천에 미치는 영향 So Yeon Park, Hye-Ryeon Park p. 163-172
국내 상담학 분야의 현상학적 연구 동향 분석(2010~2020) : Analysis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domestic counseling (2010-2020) :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 상담학 연구, 상담 및 심리치료 박경자, 김명찬 p. 173-187
중⋅고등학생용 학생주도성 측정 도구 개발 = Development of tools to measure student agency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조윤정, 박세진, 정우진 p. 189-211
토픽모델링을 통한 우수 원격수업 특성 및 요소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elements of best distance learning lecture through topic modeling : A 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송이, 노양진, 김태종 p. 213-232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 적응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Research trend analysis on school adaptation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focus on the publication of Korean academic journals from 2009 to 2020 / 2009년~2020년 국내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정민영, 이주영, 배가나, 김현지 p. 233-249

학생 수요 기반 교양교육 개선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liberal arts education based on student demand : focusing on the case of K university’s ‘Liberal Arts Education Student Monitoring Group’ as a student demand and opinion analysis organization / 학생 수요 및 의견 분석 기구로서 K대학교 ‘교양교육 학생 모니터링단’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동욱, 전종희 p. 251-271
대학 온라인 팀 학습에서 자기평가와 동료평가의 일치유형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types of agreement between self-evaluation and peer evaluation on team effectiveness in online team learning at university 김수연, 김민정 p. 273-291
대학생의 헌혈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 Factors influencing college students' intention to donate blood 이윤지, 김주은, 엄수현, 고하나 p. 293-302
임상수행능력 강화를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병합 간호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 The effects of nursing education program combined virtual reality simulation for enhancing critical performance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이은주, 백규리 p. 303-313

한 중년전환기 직장인의 장기근속 후 이직 결정 경험 연구 =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the office worker in his mid-life transition who decided to change jobs after working for a long time 배선희, 손은령 p. 315-332
대학 1학년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플로리싱 관계에서 인지적 자기조절의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self-regulation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flourishing of first-year university students 김국현, 이주미 p. 333-350

부모의 결혼만족도, 초등학생의 부모애착, 자아탄력성, 자아정체감, 학교적응 간 구조적 관계 : The relationship among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al attachment, ego-resiliency, ego-identity, and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 using APIM / 자기-상대방효과 최효식, 연은모 p. 351-365
컴퓨터 기반 협력학습에서 사회적으로 공유된 조절을 지원하는 시각화 도구 및 학습성과 분석 = A study on the visualization tool supporting socially shared regulated learning and learning performance in computer 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조현아, 공정민, 주재홍, 신윤희 p. 367-392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 영향요인 탐색 : Exploring factors influencing career maturity of high school students : focusing on student and school factors / 학생 및 학교 요인을 중심으로 장은아, 정혜원 p. 393-413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아동기 부모애착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mothers’ childhood parental attachment on maternal parenting stress : the mediating effect of paternal involvement /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매개로 김동선, 문혁준 p. 415-426
대학생의 정신건강, 디지털 사회자본, 디지털 리터러시, 스마트폰 의존도, 학습몰입과의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mental health, digital social capital, digital literacy, smart phone overdependence, learning flow of university students 김윤정 p. 427-444
여고생의 삶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 간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arch for meaning and the presence of meaning in life among high school girls : focusing on religion / 종교 유무를 중심으로 김유미, 길혜지 p. 445-459
청소년의 진로개발역량 잠재전이유형과 관련 변인 연구 : A study on types of latent transition of youth’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and related variables : focused on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 부산교육종단연구를 중심으로 김형란, 김석우, 배가나 p. 461-474
학습자 주도 질문 활동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탐구 : An exploration of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n a learner-led questioning activity : based on general English classes / 교양영어수업을 중심으로 김병선, 최윤정, 손은경 p. 475-487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수업 참여도 및 전공 만족도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in relation of university student’ s academic self-efficacy and instruction partic[i]pation, major satisfaction 고정리 p. 489-503
유아교육 전공 교과 수업에 2019 개정 누리과정을 반영하는 교수의 경험 = Professor’s experience reflecting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curriculum class 박애경, 서혜정 p. 505-524
성인의 인정욕구와 사회불안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s need for approval and social-anxiety : the doubl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and self-compassion / 정서인식명확성과 자기자비의 이중매개 한소희, 박영순 p. 525-538
청소년의 게임 캐릭터 감정이입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adolescents’ experience of empathizing with game characters 이도연, 정여주 p. 539-555
역함수의 존재성에 관한 예비수학교사들의 이해 = Study o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existence of inverse function 허남구 p. 557-570
소규모 초등학교 교사의 학년 통합 체육수업 경험과 교육적 의미 = A teacher’s experiences with integrated PE lessons for different grades and the teacher’s educational meanings at a small-sized elementary school 김우섭, 박재정 p. 571-592
과학 개념에 기반한 메이커 교육 활동에 대한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maker education activity based on science concept : targeting 6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이서안, 강성주 p. 593-613

종양전문간호사의 노인 암환자 케어 코디네이션 경험에 관한 내용분석 =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n oncology advanced practice nurse’s experiences of care coordination for elderly cancer patients 박미란, 염혜아 p. 615-629

특수교육 분야 국내 내러티브 탐구 동향분석(2000~2021) = Analysis of narrative inquiry trend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in Korea(2000~2021) 고아라, 홍재영 p. 631-647
대학 교양교육에서 인류세(Anthropocene) 위기의 심화와 대응방안에 대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 = A focus group interview on the deepening of the anthropocene crisis and countermeasures in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추성경, 윤혜경, 변소연 p. 649-666

역량중심 교양교육 실현을 위한 CQI 적용 및 성과 분석 : Application of CQI for the realization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it’s effects : focusing on the case of D university / D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최정희 p. 667-683
온라인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적극성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activity of problem-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in online classes : parallel multiple mediation effect of growth mindset and fixed mindset / 성장마인드셋과 고정마인드셋의 병렬다중매개효과 김혜자, 강명주 p. 685-697
중급상담자의 의미 있는 관계 경험과 개인적 성장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meaningful relationship experience and personal growth of intermediate counselors 박성지, 홍지선, 백윤영 p. 699-722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초등학교 취학 후 학업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 academic ability and school adjustment as mediating factors / 유아의 학업 능력과 학교적응의 이중매개 심현숙, 박경빈 p. 723-734
대학생들의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진로 결정수준 간의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identity between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college students 최영옥, 구본용 p. 735-748
대구⋅경북권 초⋅중등학교 현직교사의 융합수업에 대한 인식 및 교육요구도 조사 연구 = A study on Daegu and Kyungpook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and their education needs of convergence classes 구경연 p. 749-767
전문연주자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공연몰입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The analysis of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and performance flow of professional music performers 김동진, 최웅용 p. 769-786
(The) impact of Korean university restructuring on the employment of NESTs and NNESTs = 대학의 구조 조정이 원어민과 비원어민 영어교육자의 고용 구도에 미친 영향 Kyung-Ae Oh, Jeong-Ah Lee p. 787-810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 학업소진, 사회적지지 다중매개 분석 = Multiple parameters analysis of self-efficacy, academic exhaustion, social support in the effect of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stress on psychological well-being 진윤달 p. 811-829
머신러닝을 활용한 대학생 핵심역량 지표 예측 모형 개발연구 : Development of a predictive model for university students’ core competency index using machine learning : focusing on D university / D 대학을 중심으로 이승형, 백은주 p. 831-849
직무역량 기반 블라인드 이력서 작성을 위한 모바일 인터페이스 설계 = Mobile interface design for job competency-based blind resume 홍광표 p. 851-864
COVID-19로 인해 전환된 화상상담의 내담자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연구 = A counsensual qualitative study of client experience on video conferencing counseling switched due to COVID-19 정광훈 p. 865-881
코로나 19 장기화에 따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가정양육 경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family caring experience of mothers with early childhood children due to the prolongation of COVID-19 신남주 p. 883-894
Early childhood teacher certification in major countries : 주요 국가의 유아교사 자격기준 및 대학의 유아교사교육과정 비교연구 :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를 중심으로 / criteria and curriculum Mariam Nuzhat p. 895-910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 현장의 의견 분석과 차기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탐색 = Analyzing the opinions of the educational field on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 curriculum and exploring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for the next curriculum 이승미 p. 911-932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interpersonal stress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for kindergarten teachers 오함초롬, 정희정 p. 933-952

참고문헌 (3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지영, 소경희 (2011). 국내 교육관련 실행연구(action research)동향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12(3), 197-224. 미소장
2 곽삼근, 박세영 (2016). 한국 성인문해교육의 전개과정과 리터러시 확장의 과제. 평생교육학연구, 22(2), 85-108. 미소장
3 국가문해교육센터 (2022). 생활문해교육. https://www.le.or.kr/index.do에서 2022년 4월 30일 인출. 미소장
4 김미옥 (2009). 사회복지학에서의 실행연구(Action research)적용과 유용성. 한국사회복지학, 61(3), 179-204. 미소장
5 김영천 (2015). 질적연구방법론Ⅱ: Methods.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미소장
6 김지현 (2020). 우리는 노년층의 스마트폰 이용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가?: 노년층 내에서의 디지털 격차 결정요인. 정보사회와 미디어, 21(3), 33-64. 미소장
7 김창규, 이정미 (2018). 노인학습자 관점에서의 노인정보화교육 발전방향. 한국노년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2018(2), 1-29. 미소장
8 김학실, 심준섭 (2020).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사회활동. 정책분석평가학회보, 30(2), 153-180. 미소장
9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21). 디지털 배움터 사업. https://www.korea.kr/main.do에서 2021년 7월 2일 인출. 미소장
10 박창희, 장석준 (2013). 노년층 스마트 미디어와 디지털 복지-스마트 기기 접근 및 이용격차를 중심으로. 지역과커뮤니케이션, 17(4), 79-105. 미소장
11 성열관 (2006). 교육과정 실행연구의 성장과 주요 특징에 대한 이론적 고찰. 교육과정연구, 24(2), 87-109. 미소장
12 우예신 (2021). 노인을 위한 스마트폰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검증-대중교통 이용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3 위키백과 (2021). 앱 인벤터. https://ko.wikipedia.org/wiki에서 2021년 8월 8일 인출. 미소장
14 유기웅, 정종원, 김영석, 김한별 (2018).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박영스토리. 미소장
15 이경희 (2021). 코로나19와 노인교육의 변화 방향. 한국노년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2021(1), 31-56. 미소장
16 이안 (2021). 비문해 여성노인에 대한 대안적 문해교육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0), 445-463. 미소장
17 이용숙, 김영천, 이혁규, 김영미, 조덕주, 조재식 (2015). 교육현장 개선과 함께하는 실행연구방법. 서울: 학지사. 미소장
18 이종원 (2020). 앱 인벤터: 쉽고 재미있게 만드는 앱 프로그래밍. 서울: 한빛아카데미. 미소장
19 임양미, 오민석 (2020). 한국 노년교육학 분야 질적 연구 동향 분석(2000~2019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4), 497-523. 미소장
20 조용환 (2015). 현장연구와 실행연구. 교육인류학연구, 18(4), 1-49. 미소장
21 조윤희 (2017). 디지털 리터러시 관점에서 본 고령층 정보화교육 수준 분석-고령층 정보화교육교재 및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7(4), 509-518. 미소장
22 최영이, 임춘희 (2015). 비문해 농촌 여성노인의 문해교육 경험과 삶의 변화.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0(1), 165-193. 미소장
23 한정란, 김승원, 서정분 (2019). 세대 간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노인 휴대폰 활용교육의 성과. 노년교육연구, 5(1), 43-61. 미소장
24 허영숙, 기영화 (2008). 노인여성학습자의 문해교육 참여에 관한 연구. 평생교육⋅HRD연구, 4(1), 29-57. 미소장
25 EC(European Commission) (2019). Key Competences for Lifelong Learning in the European Schools. European Union. 미소장
26 Freire, P., & Macedo, D. (1987). Literacy: Reading the Word and the World. 허준 역 (2014). 문해교육: 파울로 프레이리의 글 읽기와 세계읽기. 서울: 학이시습. 미소장
27 Friemel, T. N. (2016). The digital divide has grown old:Determinants of a digital divide among seniors. New media & society, 18(2), 313-331. 미소장
28 Gilster, P. (1997). Digital literacy. 김정래 역 (1999). 디지털리터러시. 해냄출판사. 미소장
29 JRC (2013). DIGCOMP: A Framework for Developing and Understanding Digital Competence in Europe. Ferrari, A., (Editors: Yves Punie and Barbara N. Brečko), European Commission Joint Research Centre(JRC). 미소장
30 Kemmis, S., & McTaggart, R. (2005).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Communicative Action and the Public Sphere. In N. K. Denzin, & Y. S. Lincoln (Eds.). The Sag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pp. 559-603). Sage Publications, Thousand Oaks, California, USA. 미소장
31 Kirsch, I. (2001). The International Adult Literacy Survey (IALS): Understanding What Was Measured. Educational Testing Service. 미소장
32 Loureiro, A., & Barbas, M. (2014). Active Ageing-enhancing digital literacies in elderly citizens. I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Learning and Collaboration Technologies (pp. 450-459). Springer, Cham. 미소장
33 NCES (2018). National Adult Literacy Survey (NALS). NCES Handbook of Survey Methods. 미소장
34 Susło, R., Paplicki, M., Dopierała, K., & Drobnik, J. (2018). Fostering digital literacy in the elderly as a means to secure their health needs and human rights in the reality of the twenty-first century. Family Medicine &Primary Care Review, 3, 271-275. 미소장
35 UNESCO (2004). The Plurality of Literacy and its implications for Policies and Programs. UNESCO Education Sector Position Paper. 미소장
36 UNESCO (2018). A Global Framework of Reference on Digital Literacy Skills for Indicator 4.4.2, (51). UNESCO Institute for Statistics. 미소장
37 Warrican, S. J. (2006). Action research: a viable option for effecting chang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8(1), 1-14, DOI: 10.1080/00220270500175537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