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강지영, 소경희 (2011). 국내 교육관련 실행연구(action research)동향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12(3), 197-224. |
미소장 |
2 |
곽삼근, 박세영 (2016). 한국 성인문해교육의 전개과정과 리터러시 확장의 과제. 평생교육학연구, 22(2), 85-108. |
미소장 |
3 |
국가문해교육센터 (2022). 생활문해교육. https://www.le.or.kr/index.do에서 2022년 4월 30일 인출. |
미소장 |
4 |
김미옥 (2009). 사회복지학에서의 실행연구(Action research)적용과 유용성. 한국사회복지학, 61(3), 179-204. |
미소장 |
5 |
김영천 (2015). 질적연구방법론Ⅱ: Methods.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
미소장 |
6 |
김지현 (2020). 우리는 노년층의 스마트폰 이용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가?: 노년층 내에서의 디지털 격차 결정요인. 정보사회와 미디어, 21(3), 33-64. |
미소장 |
7 |
김창규, 이정미 (2018). 노인학습자 관점에서의 노인정보화교육 발전방향. 한국노년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2018(2), 1-29. |
미소장 |
8 |
김학실, 심준섭 (2020).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사회활동. 정책분석평가학회보, 30(2), 153-180. |
미소장 |
9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21). 디지털 배움터 사업. https://www.korea.kr/main.do에서 2021년 7월 2일 인출. |
미소장 |
10 |
박창희, 장석준 (2013). 노년층 스마트 미디어와 디지털 복지-스마트 기기 접근 및 이용격차를 중심으로. 지역과커뮤니케이션, 17(4), 79-105. |
미소장 |
11 |
성열관 (2006). 교육과정 실행연구의 성장과 주요 특징에 대한 이론적 고찰. 교육과정연구, 24(2), 87-109. |
미소장 |
12 |
우예신 (2021). 노인을 위한 스마트폰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검증-대중교통 이용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3 |
위키백과 (2021). 앱 인벤터. https://ko.wikipedia.org/wiki에서 2021년 8월 8일 인출. |
미소장 |
14 |
유기웅, 정종원, 김영석, 김한별 (2018).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박영스토리. |
미소장 |
15 |
이경희 (2021). 코로나19와 노인교육의 변화 방향. 한국노년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2021(1), 31-56. |
미소장 |
16 |
이안 (2021). 비문해 여성노인에 대한 대안적 문해교육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0), 445-463. |
미소장 |
17 |
이용숙, 김영천, 이혁규, 김영미, 조덕주, 조재식 (2015). 교육현장 개선과 함께하는 실행연구방법.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18 |
이종원 (2020). 앱 인벤터: 쉽고 재미있게 만드는 앱 프로그래밍. 서울: 한빛아카데미. |
미소장 |
19 |
임양미, 오민석 (2020). 한국 노년교육학 분야 질적 연구 동향 분석(2000~2019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4), 497-523. |
미소장 |
20 |
조용환 (2015). 현장연구와 실행연구. 교육인류학연구, 18(4), 1-49. |
미소장 |
21 |
조윤희 (2017). 디지털 리터러시 관점에서 본 고령층 정보화교육 수준 분석-고령층 정보화교육교재 및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7(4), 509-518. |
미소장 |
22 |
최영이, 임춘희 (2015). 비문해 농촌 여성노인의 문해교육 경험과 삶의 변화.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0(1), 165-193. |
미소장 |
23 |
한정란, 김승원, 서정분 (2019). 세대 간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노인 휴대폰 활용교육의 성과. 노년교육연구, 5(1), 43-61. |
미소장 |
24 |
허영숙, 기영화 (2008). 노인여성학습자의 문해교육 참여에 관한 연구. 평생교육⋅HRD연구, 4(1), 29-57. |
미소장 |
25 |
EC(European Commission) (2019). Key Competences for Lifelong Learning in the European Schools. European Union. |
미소장 |
26 |
Freire, P., & Macedo, D. (1987). Literacy: Reading the Word and the World. 허준 역 (2014). 문해교육: 파울로 프레이리의 글 읽기와 세계읽기. 서울: 학이시습. |
미소장 |
27 |
Friemel, T. N. (2016). The digital divide has grown old:Determinants of a digital divide among seniors. New media & society, 18(2), 313-331. |
미소장 |
28 |
Gilster, P. (1997). Digital literacy. 김정래 역 (1999). 디지털리터러시. 해냄출판사. |
미소장 |
29 |
JRC (2013). DIGCOMP: A Framework for Developing and Understanding Digital Competence in Europe. Ferrari, A., (Editors: Yves Punie and Barbara N. Brečko), European Commission Joint Research Centre(JRC). |
미소장 |
30 |
Kemmis, S., & McTaggart, R. (2005).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Communicative Action and the Public Sphere. In N. K. Denzin, & Y. S. Lincoln (Eds.). The Sag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pp. 559-603). Sage Publications, Thousand Oaks, California, USA. |
미소장 |
31 |
Kirsch, I. (2001). The International Adult Literacy Survey (IALS): Understanding What Was Measured. Educational Testing Service. |
미소장 |
32 |
Loureiro, A., & Barbas, M. (2014). Active Ageing-enhancing digital literacies in elderly citizens. I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Learning and Collaboration Technologies (pp. 450-459). Springer, Cham. |
미소장 |
33 |
NCES (2018). National Adult Literacy Survey (NALS). NCES Handbook of Survey Methods. |
미소장 |
34 |
Susło, R., Paplicki, M., Dopierała, K., & Drobnik, J. (2018). Fostering digital literacy in the elderly as a means to secure their health needs and human rights in the reality of the twenty-first century. Family Medicine &Primary Care Review, 3, 271-275. |
미소장 |
35 |
UNESCO (2004). The Plurality of Literacy and its implications for Policies and Programs. UNESCO Education Sector Position Paper. |
미소장 |
36 |
UNESCO (2018). A Global Framework of Reference on Digital Literacy Skills for Indicator 4.4.2, (51). UNESCO Institute for Statistics. |
미소장 |
37 |
Warrican, S. J. (2006). Action research: a viable option for effecting chang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8(1), 1-14, DOI: 10.1080/00220270500175537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