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의 미래역량 촉진을 위한 수업역량에 대한 과학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 데 있다.

방법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업역량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고, 13명의 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이메일 및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미래 교육 환경에서 과학교사에게 필요한 수업역량은 학생의 미래역량 촉진을 위한 수업역량, 에듀테크 활용 역량, 개별 맞춤형 수업역량, 교육 환경 변화 대응 역량 등으로 나타났다. 첫째, 학생의 미래역량 중 과학적 사고, 과학적 탐구력, 의사소통과 협업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과학교사는 자기주도적인 탐구 활동으로 주어진 문제를 함께 생각하고 논의하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확산적인 사고를 요구하는 발문을 하고, 학생들과 함께 탐구하고 사고하며 학생들이 지식을 찾아가는 과정을 격려하는 수업전략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증거자료를 기반으로 하는 논리적 글쓰기와 학생들이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말할 수 있도록 하며, 온라인 협업도구를 활용하였다. 반면 정보처리와 의사결정 능력과 초연결사회 대응 능력을 강조한 연구 참여자는 소수였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의 과학수업관은 교수⋅학습 전략의 선택뿐만 아니라 평가 방식의 선택과 실행에도 영향을 주었다. 연구참여자들은 학생 주도의 탐구 활동이나 지식 위주의 학습 요구 모두를 충족해야 하는 현실적인 어려움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다양한 해결 노력을 진행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이 사범대학 재학 동안 과제 연구를 경험해 보지 않아 〈과제 연구〉수업 지도에 어려움을 느꼈으며, 현행 사범대학 교육과정은 각 전공의 내용학에 치우쳐 있고, 교과교육학 및 교직 과목은 이론 중심으로 운영되므로 수업역량을 기르는 측면에서 볼 때 부족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교육환경, 수업역량, 학습자 특성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예비교사에게 교육실습기간을 대폭 늘려 수업 실연 기회를 충분히 주어야 한다고 하였다.

결론 연구참여자들의 과학수업관은 교수⋅학습 전략의 선택뿐만 아니라 평가 방식의 선택과 실행에도 영향을 주었다. 연구참여자들은 미래 교육환경은 예측 불가능하기에 변화를 받아들일 수 있는 열린 마인드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변화하는 학습자/교육 현장을 이해하고 수업 관련 기술 등 수업역량을 함양하기 위해서 사범대 교육과정을 통해 미래 교육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자세나 가치관 함양을 위한 과목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중학생의 또래관계에서의 목표와 이유의 잠재프로파일 탐색 및 사회적 적응의 차이 = Exploring the latent profile of goals and reasons in peer relationship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differences in social adaptation 염혜선 p. 1-13

아버지 양육참여와 부모-교사 협력이 어머니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aternal involvement in parenting, parent-teacher partnership o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김지원, 안선희, 이슬기 p. 15-27
학생의 미래역량 촉진을 위한 수업역량에 대한 과학교사의 인식 =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n teaching competency to promote students' future competency 유난숙, 김종희, 박지영 p. 29-52

역량 중심의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국가 수준 교육과정 설계 방안 탐색 = An exploratory design for the national curriculum for competency-based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박세훈, 장인실 p. 53-64
유아동작수업을 경험한 우즈베키스탄 예비유아교사들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Uzbekista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experienced young children’s movement classes 박부숙 p. 65-82
유아기 자녀의 문제행동, 어머니 원가족 건강성, 자기분화, 부부갈등 간 구조적 관계 = Problem behaviors of early childhood, health of mother's family of origin, differentiation of self, marital conflict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김형주, 이주리 p. 83-103
민간 주도 에듀테크 육성을 위한 이해관계자 갈등구조 분석 : Structural analysis of stakeholder conflicts related to the utilization of private-led education data for edtech development / 교육데이터 활용을 중심으로 최해옥, 하리다, 서승환, 이광호 p. 105-117
코로나19에 따른 대학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 연구 = Learners' perception of non-face-to-face dance practice classes at colleges due to COVID-19 권혜인, 허가영 p. 119-134
청소년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변화와 영향요인 분석 : The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and longitudinal trend in subjective academic achievement : focusing on affective characteristics / 정의적 특성을 중심으로 최진수, 정혜원 p. 135-150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개인별 변화궤적 분류 및 영향요인 분석 = A study on changes in trajectory classification and prediction factors of individual adolescent academic self-efficacy 김남연, 김재철 p. 151-165
유아교사가 인식한 사회적 지지와 반성적 사고, 교사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reflective thinking, and teacher efficacy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 the mediating effect of reflective thinking / 반성적 사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보현, 이홍재, 최양미 p. 167-178
대학생의 불안정한 성인애착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unstable adult attachment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in college students :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이미숙, 조경숙 p. 179-192
유아교사의 놀이신념과 교수창의성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beliefs and instructional creativity on their play teaching efficacy 이유진, 김경숙 p. 193-207
국내 대학 우수학생 관련 연구동향 = Research trends related to honor students in domestic universities 조보람 p. 209-219
영국 유아원 현장경험 연구 = A study on nursery participation in England 윤희경 p. 221-238
예비유아교사의 역량 증진을 위한 온라인 PBL 수업 사례연구 = A case study of online PBL class to improve the competen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한희경 p. 239-256
정신화(Mentalization)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mentalizaiton : a review of journals in Korea /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강민진, 이지연 p. 257-273
협업프로젝트 수업에서 플립드러닝 적용이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flipped learning in collaborative project on problem-solving efficacy,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최윤아 p. 275-283
코로나19상황에서의 대학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학습자 요구도 탐색 : An analysis of learner perception and needs for the liberal arts curriculum at university in the COVID-19 situation : focusing on A university / A대학교를 중심으로 박정인 p. 285-298
마이너리티 여성의 사회적 포용 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measuring social inclusion of minority women : limitations on the role of marriage immigrant women as parents, and their effect on child rearing / 결혼이주여성의 학부모로서의 역할 제한 및 자녀양육에의 영향 이은주 p. 299-313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교사애착관계, 그릿, 스스로 학습시간의 종단 관계 분석 = A study on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analysis among 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grit, and self-learning time using latent growth modeling 임신일 p. 315-331
재미한인 이민자 어머니의 역할 수행과 초국가주의 활동의 실천 = Maternal roles and transnational activities among Korean American immigrant mothers 정유진, 양성은 p. 333-342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의 지시 화행 분석 연구 = An analysis of directive speech act in business Korean textbooks 윤미라 p. 343-357
감각처리민감성이 대학생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ensory processing sensitivity on depression of university students :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아라 p. 359-370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교육과정이 예비수학교사의 교수관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연구 = The case study about effect of a curriculum of mathematics education at the college of education on th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perspectives 김인경 p. 371-380
기능성 인지보행패턴운동이 정신지체 장애 아동의 보행패턴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functional cognitive gait pattern program on gait pattern and cognitive function in mental retarded children 현광석, 박정민, 김경래 p. 381-393
인지진단모형을 활용한 초등학생의 읽기 이해력 분석 : Analysis of reading comprehens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cognitive diagnosis model : focusing on G metropolitan children's center / G광역시 지역아동센터를 중심으로 이재호 p. 395-410

중학교 교사용 과정 중심 평가 전문성 척도 타당화 연구 = A validation of process-based assessement scale for middle school teachers' expertise 김석우, 김형란, 배가나, 장재혁 p. 411-428

대학생의 진로소명,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동기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 = The relationship among career call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decision-level of college students 강영숙, 박관성 p. 429-441
초⋅중등학생의 메타버스 활용 교육에 대한 실태 및 인식 분석 = Analysis of the status and percept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on the metaverse in education 이동국, 김동원, 변숙자 p. 443-458
코로나 19 상황의 온라인 교양영어 수업에 대한 한국인과 원어민 교원의 인식 및 적응 과정 = Korean and native English teachers’ perceptions of online college English classes and their adaptation proces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김신혜 p. 459-479
남성의 육아휴직을 경험한 어머니가 인식하는 어머니 문지기 역할에 대한 질적연구 = Perceived by mothers who experienced father's parental leave a qualitative study on the role of a mother's gatekeeper 정효진 p. 481-497
코로나19에서의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신입생의 인식유형 연구 = A Q methodological analysis of types of freshmen’s perception on college life adjustmen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B대학 사회복지학과 신입생을 중심으로 오승민 p. 515-533
국내 창의적 교수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creative teaching 김경은 p. 535-553
코로나19 전후 초등교사의 직무요구와 소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s and burnou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fore and after COVID-19 : the moderating effect of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 학교조직풍토의 조절 효과 서은애, 김준미, 신효정 p. 555-569
비대면 지역사회간호학실습에서 간호대학생의 가족 보건교육 수행 경험 = The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family health education in non-face-to-face community health nursing practice 조은실 p. 499-513
코딩놀이 경험에 따라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주의집중력이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elf-regulation and attention concentration on computational thinking according to coding play experience of children 김미정, 부성숙 p. 571-588
학교 상담자의 동료 수퍼비전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연구 = A consensual qualitative study on school counselors’ peer supervision experience 김명화, 송현심, 하정희 p. 589-615
지연동기별 군집 비교 : The comparison of clusters by procrastination motives for self-determination, time perspectives and subject well-being / 자기결정성, 시간관, 주관적 안녕감을 중심으로 성수란, 정남운 p. 617-632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신장을 위한 프로젝트학습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a project learning program to enhance the basic vocational competency of college students 홍광표 p. 633-648
대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의 매개효과 = Mediated effect of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이우주, 조규판 p. 649-662
기혼자의 성인애착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adult attachment on marriage satisfaction : double mediation effect of self-compassion and emotional dysregulation / 자기자비와 정서조절곤란의 이중매개효과 곽미현, 김성지 p. 663-677
타투로 표현된 운동선수의 심리기술 = Athletes psychological skills expressed in tattoo 유하나, 최재원 p. 679-693
2019 개정 누리과정 사회관계 영역과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탐색 = Exploring the articulation between the social relations domai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integrated curriculum for the elementary education 안지영 p. 695-710
혁신초등학교 학부모가 경험한 의사소통 특성 연구 = A study on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experienced by parents in innovation elementary school 김양자 p. 711-735

중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가 다문화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parents'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n multicultural sensitivity : mediated effect of self-esteem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김보미 p. 737-754
역사 구조화를 넘어선 ‘이상형(Ideal Typus)’ 이론의 역사교육적 가능성 = History educational possibilities of the ‘Ideal Typus’ theory beyond structuring history 김형록 p. 755-770
COVID-19로 인한 비대면 학습환경에서 대학생의 학교소속감과 교수신뢰가 학업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n the academic persistence intention by the school belonging and the professor trust of university students in non-face-to-face learning environment due to COVID-19 김혜경, 이소영 p. 771-782
대면교육 공백에 따른 평생교육 담당자의 인식과 역할 변화 = The change of lifelong educators’ role and perspective in the absence of face-to-face education 이경화, 윤창국 p. 783-803
예비교사용 성인지 감수성 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gender sensitivity education program for preservice teachers 박성희 p. 805-819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놀이 실행에 대한 유치원 교사와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차이 =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daycare center teachers on the implementation of play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정효진 p. 821-839
여성주의 리더십 교육에 참여한 여대생에 관한 성찰적 탐구 = A reflective study on female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feminist leadership education 김혜숙 p. 841-863
간호대학생의 공감, 의사소통능력, 자아존중감이 대인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 of empathy,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elf-esteem on interpersonal satisfaction among nursing students 이영숙 p. 865-875
기업상담자의 윤리적 딜레마에 관한 인식 = Perspective on the ethical dilemma of workplace counselor 박금남, 손은령 p. 877-896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간호전문직관이 의료정보보호 인식도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n health information protection awareness in nursing students 문미영 p. 897-907
방역의 일상화, 교사 내러티브를 통해 살펴본 학생의 사회정서 탐색 = Dailyization of quarantine, teacher narrative exploring students' social emotions through 신경희 p. 909-931

참고문헌 (3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남화, 김민성, 유숙정, 이창현, 금선영 (2021). 과학수업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가이드. 과학창의재단. 미소장
2 고은정, 정대홍 (2014). 과학교과에서의 핵심역량에 대한 세계의 동향에 준거하여 우리나라 현장 교사들의 인식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6), 535-547. 미소장
3 고은정, 정대홍 (2019). 핵심역량 관련 국내 과학 교육 연구동향 분석. 현장과학교육, 13(4), 359-376. 미소장
4 곽영순 (2012a). 학습자의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과학과 수업방법 개선 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5), 855-865. 미소장
5 곽영순 (2012b).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과학교사교육 개선 방안. 한국지구과학교육학회지, 33(2), 162-169. 미소장
6 곽영순 (2020).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중등 과학교사 임용시험의 1차 전공영역에 대한 개선 방안 탐색. 과학교육연구지, 44(1), 122-132. 미소장
7 교육부 (2015). 과학과 교육과정(고시 제2015-74호). 교육부. 미소장
8 교육부 (2021). 국민과 함께 미래 교원을 그리다 (2021.7.13. 보도자료).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294&lev=0&statusYN=W&s=moe&m=020402&opType=N&boardSeq=85001에서 2022년 2월 7일 인출. 미소장
9 김현경, 나지연 (2017).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적용에 대한 초⋅중학교 교사의 인식과 요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1), 103-112. 미소장
10 박도영, 가은아, 민용성, 이양락, 이은경, 임찬빈,... 조보경 (2016). 역량중심 교육환경에 따른 교사 임용시험 체제의 개선 방향 (연구자료 CRM 2016-14-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소장
11 박종원, 윤혜경, 권성기 (2019). 과학 역량 모델의 제안과 과학교육과정에의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2), 207-220. 미소장
12 소경희 (2009). 역량기반 교육의 교육과정사적 기반 및 자유교육적 성격 탐색. 교육과정연구, 27(1), 1-20. 미소장
13 손미현, 정대홍 (2018). 지식정보처리역량에 대한 과학교사의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5), 693-703. 미소장
14 송신철, 심규철 (2018). 고등학교 통합과학 교과서의 탐구활동에 나타난 과학과 핵심역량 분석. 생물교육, 46(2), 222-236. 미소장
15 송진웅, 강석진, 곽영순, 김동건, 김수환, 나지연,... 김진희 (2019). 모든 한국인을 위한 과학적 소양 미래세대 과학교육표준. 교육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창의재단. 미소장
16 신태선 (2018). 2015 개정 교육과정 과학 교과 핵심역량에 대한 교사 및 학생의 인식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7 안유민, 변태진 (2020). 통합과학 교과 역량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0(2), 97-111. 미소장
18 양정은, 최애란 (2020). 중학교 과학교사의 과학 탐구 교수지향. 대한화학회지, 64(4), 210-224. 미소장
19 양혜정, 동효관, 권용주, 오경환, 김용진 (2011). 중등생물교사 임용 제3차 시험에 대한 수험생의 인식 조사: 수업능력, 심층면접과 실험능력의 평가를 중심으로. 생물교육, 39(3), 401-412. 미소장
20 양희선, 강성주 (2016). STEAM 교육 경력에 따른 융합형인재의 역량에 관한 인식.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22(1), 22-30. 미소장
21 이경건, 김유정, 장원형, 이재영, 홍훈기 (2020). 2015 개정교육과정의 「과학탐구실험」이 고등학생의 과학 및 일반 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 교수⋅학습 방법을 중심으로. 교육과정평가연구, 23(3), 23-50. 미소장
22 이미나, 박성희 (2015). 영재교육 담당 교원의 핵심 역량인식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IPA) 분석. 영재교육연구, 25(6), 927-949. 미소장
23 이봉우, 심규철, 신명경, 김종희, 최재혁, 박은미,... 김용진 (2013).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 문항에 나타난 과학교육학 이론의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4), 794-806. 미소장
24 이상은 (2019). OECD Education 2030에 나타난 역량교육의 주요 특징 및 시사점: 2015 개정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비교교육연구, 29(4), 123-153. 미소장
25 이영주, 김영민 (2017). 과학영재학교 구성원의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 및 교육요구도. 영재교육연구, 27(3), 349-366. 미소장
26 이진숙, 김은주, 김대현 (2017). 2015 개정 과학과 공통 교육과정에서의 핵심역량-교과역량, 교과역량-성취기준의관계 분석. 통합교육과정연구, 11(2), 1-25. 미소장
27 이현주, 하지훈, 곽영순 (2020).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핵심개념과 교과역량의 현장 적용에 대한 중학교과학교사 및 학생의 인식. 교육과학연구, 22(2), 1-23. 미소장
28 임규연, 임지영, 진명화 (2021). 테크놀로지 기반 개별화 학습에 대한 체계적 문헌 분석: 2011-2020년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37(3), 525-559. 미소장
29 임유나, 장소영 (2016).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과 교과의 관계성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0), 749-771. 미소장
30 조은순 (2020). 포스트 코로나시대 비대면 수업을 위한 교육공학의 역할과 과제. 교육공학연구, 36(3), 693-713. 미소장
31 최석민, 김병주, 김도기, 박수정, 정성수 (2015). 신규교사임용시험 제도개선 정책연구. 수탁연구. 미소장
32 하민수, 박현주, 김용진, 오필석, 김미점, 민재식,... 손미현 (2018).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기초한 과학과핵심역량 조사 문항의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4), 495-504. 미소장
33 하지훈, 신영주 (2016). 핵심역량과 과학과 교과 역량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분석. 초등과학교육, 35(4), 426-441. 미소장
34 한혜정, 김기철, 이주연, 장경숙 (2018). 역량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국내 선행연구의 이론적 논의 분석 및 쟁점탐색. 교육과정평가연구, 21(3), 1-24. 미소장
35 홍선주, 안유민, 최영인 (2019). 미래 학교 교사의 수업역량모델링. 교육문화연구, 25(3), 365-388. 미소장
36 OECD (2005).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Executive summary. 미소장
37 Rhee, S., Nam, I., & Im, S. (2018). A Relationship between scientific key cmpetencies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Physics under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Korea. New Physics: Sae Mulli, 68, 1081-1095.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