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중국의 范立本이 1393년 이전에 작성한 것으로 보이는 『명심보감』 서문(청주본)에 석가의 가르침 중에서 좋은 말을 모아서 한 권으로 엮어 ‘명심보감’이라고 하였다는 언급이 있다. 이 말처럼 원본 『명심보감』 서문을 비롯하여 본문에서 ‘方便과 선행, 인과응보, 知足安分’ 등 불교사상과 관련된 내용이 적지 않다. 그뿐만 아니라, 부처님의 慈悲와 功徳을 찬양하는 원색적인 불교 용어와 불교사상이 포함된 내용이 인용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한국에서 통용되고 있는 『명심보감』 판본에는 불교적 용어를 전혀 찾아볼 수 없다.
이는 조선시대 중기 이후 원본 ‘청주본’이 자취를 감추고 난 후 간행된 ‘초략본’에서 불교적인 내용을 의도적으로 삭제하여 『명심보감』의 유교화를 시도한 탓이다. 그 때문에 현재 학계에서도 『명심보감』의 유불도 3교 합일 사상을 언급하고는 있으나 불교사상과 관련한 심도 있는 후속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1454년에 간행된 원본 『명심보감』의 불교사상 중에서 우선 서문에 보이는 불교와 관련된 내용을 발췌하여 『명심보감』과 불교사상과의 관련을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R. 뿔리간들라 지음, 이지수 옮김(1991), 『인도철학』, 민족사. | 미소장 |
2 | 袁黃, 김지수 옮김(1997), 『운명을 뛰어 넘는 길(了凡四訓)』, 불광출판부. | 미소장 |
3 | 송희준(1999), 「『명심보감』의 諸問題」, 『啓明漢文學會』 14. | 미소장 |
4 | 무비스님이 가르쳐 뽑은 명구100선①(2006), 『진흙 소가 물 위를 걸어간다』, 불광출판사. | 미소장 |
5 | 성해준(2007), 「『명심보감』의 저자 및 서문에 관하여」(『日語日文學』 제33집, | 미소장 |
6 | 정공법사 요범사훈(了凡四訓) 강설, 이기화 옮김(2010), 『운명을 바꾸는 법』, 불광출판사. | 미소장 |
7 | 성해준(2015.5.8), 「불교로 읽는 고전-유불도 권선서 명심보감」, 『현대불교신문』. | 미소장 |
8 | 增谷文雄(1971), 『業と宿業』, 講談社現代新書. | 미소장 |
9 | 古田紹欽(1973), 『宗敎とはなにか-仏敎の立場から』, 社會思想史. | 미소장 |
10 | 今成元昭(1978), 『佛敎文學の世界』, NHKブックス307. | 미소장 |
11 | 瀨戶內寂聽編著(1985), 『佛敎と事典』, 三省堂. | 미소장 |
12 | 大隅和雄(1986), 「因果と輪廻に關する日本人の宗敎意識」, 『大系 佛敎と日本人』 4, 因果と輪廻, 春秋社.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