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논문은 이문열로 하여금 민비에 대한 새로운 해석-‘조선의 잔 다르크’-을 시도케 한 정념(passion)이 무엇이며, 그것이 그의 유교적 복고주의 사상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망국사를 소재로 한 이문열의 다른 작품군과 마찬가지로, 『여우사냥』 역시 조선이 망국에 이른 원인을 오로지 ‘일제의 침탈’에서 찾으려 하며, 일제에 저항한 민비는 조선을 지키려 한 애국적 지도자로 그려진다. 그러나 정작 이문열 자신은 이 작품에 대해 거듭 확신 없는 태도를 보여왔다는 점에 착목하여, 본 연구는 이문열의 내적 갈등이 『여우사냥』이 빚어낸 ‘명성황후’ 캐릭터의 허구성과 역사적 진실에 배치되는 반리얼리즘, 노골적인 반일 프레임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작품은 조상숭배와 혈통주의를 중시하는 유교적 복고주의에 바탕하고 있어, 그가 중시하는 문학의 리얼리즘에서는 ‘확신’할 수 없으나, 종교적 신념으로는 ‘긍정’할 수밖에 없는 내용임을 밝혔다. 또한, 이 작품을 계기로 활발해진 우리 사회의 ‘명성황후 붐’에 대해서도 지적인 성찰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This thesis is intended to delve into the cause of Munyol Yi’s literary passion to interpret the Queen Min as ‘Joan of Arc of Joseon’, and reveal its relationship with the writer’s Confucian revivalism. The writer, without exception, tries to attribute the cause of the fall of Joseon to the Japanese Imperialism and its invasion of Joseon. Therefore, the Queen Min, who ardently resisted Japan, is described as an patriotic leader of the nation. Yi, however, does not seem to have conviction in this idea, for this interpretation comes out of anti-realistic and anti-Japanese frame that contradict to some historical facts. As this work comes from Yi’s Confucian revivalism indivisible from the faith in bloodline and ancestral worship, it has to be approved of by him for his religious faith, although it lacks in reality. This may require intellectual reflection on this popular, yet fictitious image of ‘the Empress Min.’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동식(2021), “제의와 역사 -소설집 <아우와의 만남>에 관한 몇 가지의 주석”, 『아우와의만남』(이문열), 377-392, 서울: 알에이치코리아. | 미소장 |
2 | 나홍주(1987), 『오-명성황후!수탉이 울지 못하면 암탉이라도』, 서울: 아성출판사. | 미소장 |
3 | 나홍주(1990), 『민비암살(⾓⽥房⼦著) 비판』, 서울: 미래문화사. | 미소장 |
4 | 박돈규(2021), “이문열 “요즘 시국? 난 희망을 봤다””, 『조선일보』(1월 9일). | 미소장 |
5 | 배상열(2017), 『(조선을 홀린 무당)진령군』, 서울: 청림. | 미소장 |
6 | 윤치호(1895), “국역 윤치호 영문일기”,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한국사료총서, 3집』, |
미소장 |
7 | 이경재(2021), “민족이라는 아버지와의 만남 -이문열의 초기 소설에 잠재된 어떤 가능성”,『타오르는 추억』(이문열),382-400, 서울: 알에이치케이코리아. | 미소장 |
8 | 이남호(1994), 『이문열 문학앨범』, 서울: 웅진출판. | 미소장 |
9 | 이문열(1984), “장려(壯麗)했느니, 우리 그 낙일(落⽇)”, 『우리가 행복해지기까지』, 25-53,서울: 문이당. | 미소장 |
10 | 이문열(2021), “아우와의 만남”, 『이문열 중단편전집 5 아우와의 만남』, 174-176, 서울:알에이치코리아. | 미소장 |
11 | 이문열(1995), 『여우사냥』, 서울: 살림. | 미소장 |
12 | 이문열(2004), “역사와 관점”, 『신들메를 고쳐매며』, 157-166, 서울: 문이당. | 미소장 |
13 | 황현 저, 이장희 옮김(2008), 『매천야록』 上, 서울: 명문당. | 미소장 |
14 | 황현 저, 김종익 옮김(2016), 『오하기문』, 서울: 역사비평사. | 미소장 |
15 | ⾓⽥房⼦(1988), 『閔妃暗殺』, 東京: 新潮⽂庫. | 미소장 |
16 | ON多COM(2022), “영상다큐 꿈꾸는 사람들의 바이오그래피 이문열 part 1”,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9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