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고는 김기림의 소설에 방언이 나타나는 방식과 그것이 갖는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왜 김기림이 표준어로 문학을 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는가를 밝히고자 한다. 김기림은 고향인 함북 지역을 배경으로 한 세 편의 소설에서 학성 지역의 방언을 풍부하고 일관성 있게 구사하였다. 그런데 이때 소설에서의 방언 사용은 단순히 사실성을 확보하거나 미학성을 살리기 위한 것만은 아니었다. 그중에서도 「철도연선」에 나타난 방언 간의 위계는 근대화 과정 속에서 ‘고향’이 소외되는 위치에 놓여 있다는 인식과 무관하지 않다. 이러한 의식의 연장선상에서 고향 방언은 ‘과거의 것’으로 위치지어지며, 설령 함경도가 ‘굳셈’과 ‘건강함’의 가치를 지닌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궁극적으로 자본의 공세하에 밀려나는 것으로 인식된다. 결과적으로 김기림은 소설에서 함북 방언을 풍부하게 활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현대의 문명을 노래하는 모더니즘 시에서는 방언을 배제하게 된다. 이는 방언을 문학어로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판단이 순전히 미학적인 차원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며, 근대 문명에 대한 인식과 밀접한 관련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 준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학동·김세환 편(1988), 『김기림 전집』 5, 심설당. | 미소장 |
2 | 『삼천리』 | 미소장 |
3 | 『신동아』 | 미소장 |
4 | 『조광』 | 미소장 |
5 | 『조선일보』. | 미소장 |
6 | 강은진(2016), 「식민지기 관북 출신 시인들의 방언 의식과 시적 언어의 향방」, 『한국시학연구』 45, 한국시학회. | 미소장 |
7 | 곽충구(2001), 「동북 방언」, 『방언학 사전』(방언연구회 편), 태학사. | 미소장 |
8 | 김용직(1997), 『김기림: 모더니즘과 詩의 길』, 건국대학교출판부. | 미소장 |
9 | 김윤정(2005), 『김기림과 그의 세계』, 푸른사상사. | 미소장 |
10 | 김태균(1986), 『함북방언사전』, 경기대학교출판국. | 미소장 |
11 | 김한성(2014), 「김기림 문학 연구: 비교문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2 | 김흥수(2001), 「소설의 방언에 대하여」, 『문학과 방언』, 역락. | 미소장 |
13 | 박상천(1985), 「金起林의 小說 硏究」, 『韓國學論集』 8,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미소장 |
14 | 송규진(2014), 「함경선 부설과 길회선 종단항 결정이 지역경제에 끼친 영향」, 『韓國史學報』 57, 고려사학회. | 미소장 |
15 | 심재기(2010), 『우리말 방언사전』, 낱말 어휘정보처리연구소. | 미소장 |
16 | 유필재(2006), 『서울방언의 음운론』, 월인. | 미소장 |
17 | 이경돈(2019), 「北鮮의 기억: 식민에서 분단까지, 공간감각의 표상들」, 『대동문화연구』 106,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미소장 |
18 | 이근화(2011), 「김기림 시어의 혼재 양상 연구」, 『한국근대문학연구』 23, 한국근대문학회. | 미소장 |
19 | 정승철(2018), 『방언의 발견』, 창비. | 미소장 |
20 | 조영복(2007), 『문인기자 김기림과 1930년대 ‘활자-도서관’의 꿈』, 살림. | 미소장 |
21 | 최시한(1988), 「김기림의 희곡과 소설에 대하여」, 『배달말』 13, 배달말학회. | 미소장 |
22 | 홍경표(1998), 「지형적 변동과 모더니즘 정신: 편석촌 김기림의 소설」, 『어문학』 62, 한국어문학회.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