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磻溪隨錄의 方法과 體系 = Method and structure of Bangye Surok(磻溪隨錄) / 안병직 1
[목차] 1
국문요약 1
1. 머리말 3
2. 著述의 背景 4
1) 著述의 動機 4
2) 實學的 學風의 擡頭 7
3) 三代로의 回歸 9
4) 時代的 課題 11
3. 方法論 14
1) 實理論 14
2) 條理論 19
4. 『磻溪隨錄』의 構成 22
1) 章節의 構成 22
2) 節目과 攷說 25
5. 經世學의 體系 26
1) 經典的 根據 26
2) 井田制 28
3) 賦貢制 31
4) 官制 34
6. 맺음말 35
참고문헌 37
Abstract 39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周禮』 | 미소장 |
2 | 『朝鮮王朝實錄』 | 미소장 |
3 | 柳夢寅, 『於于集後集』 | 미소장 |
4 | 柳馨遠著․韓長庚譯註(1962), 『磻溪隨錄』(一), 충남대학교. | 미소장 |
5 | 柳馨遠著․韓長庚譯註(1968), 『磻溪隨錄』(四), 충남대학교. | 미소장 |
6 | 李睟光, 『芝峯集』 | 미소장 |
7 | 李珥, 『栗谷全書』 | 미소장 |
8 | 丁若鏞, 『尙書古訓』 | 미소장 |
9 | 趙翼, 『浦渚集』 | 미소장 |
10 | 韓百謙, 『久菴遺稿』 | 미소장 |
11 | 黃宗羲, 『明夷待訪錄』 | 미소장 |
12 | 김태희(2021), 「실학담론의 재구성과 양득중의 실사구시론」,『한국실학연구』 41, 한국실학학회, 7-42면. | 미소장 |
13 | 문석윤․김태영․김무진․최윤오․김선경(2013), 「磻溪의 實理論」,『반계 유형원 연구』, 사람의 무늬. | 미소장 |
14 | 안병직(2017), 『經世遺表에 관한 硏究』, 景仁文化史. | 미소장 |
15 | 안병직(2021), 「書評 : James B. Palais(1996), Confucian Statecraft and Korean Institutions–Yu Hyŏngwŏn and the Late Chosŏn Dynasty–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제임스 B. 팔레 지음․김범 옮김(2002), 『유교적 경세론과 조선의 제도들- 유형원과 조선후기-』, 1․2, 산처럼)」,『茶山經世學에 관한 硏究』, 동서문화사. | 미소장 |
16 | 유형원 지음․임형택 편역(2017), 『반계유고』, 창작과 비평사. | 미소장 |
17 | 이동희(2021), 「반계 유형원과 우반동 이주와 『반계수록』 편찬」,한국실학학회 2021년 동계학술대회 『반계유형원탄신400주년대비국제학술대회(2)』, 2021년 12월 22일. | 미소장 |
18 | 이우성(1988), 「初期 實學과 性理學과의 關係」,『동방학지』 58, 15-22면. | 미소장 |
19 | 최 식(2010), 「19세기 ‘實事求是’의 다양한 층위와 학적 지향」,『한국실학연구』 19, 한국실학학회, 255-286면. | 미소장 |
20 | 溝口雄三․池田知久․丸山 松幸 編(2001), 『中國思想文化史事典』, 東京大學出版會. | 미소장 |
21 | Boudewijn Walraven(2016), 「In Dialogue with Yu Hyŏngwŏn : Debates of Western and Korean Scholars」,한국실학학회 2016년 국제학술대회, 『국제적 시각에서 본 반계 유형원의 실학사상』, 2016년 11월 25일.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