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온라인 체육수업에 참여하는 중학생들의 수업만족과 수업효과의 관계에서 수업유형의 매개효과 검증과 학년별 수업만족, 수업유형, 수업효과에 대한 차이분석을 검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연구대상은 온라인 체육수업에 참여한 중학생 390명이며, 연구도구로 수업만족, 수업유형, 수업효과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매개회귀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으로 하였다.
연구 내용: 온라인 체육수업에서 수업만족과 수업효과의 관계와 두 변인관계에서 수업 유형의 매개효과와 수업만족, 수업유형, 수업효과에 대한 차이를 학년별로 알아본다.
결론 및 제언: 첫째, 온라인 체육수업 수업만족에서 수업내용의 영향력이 가장 높았고, 둘째, 수업유형에서는 상호작용형의 영향력이 가장 높았으며, 셋째, 상호작용형과 수업효과에서 부분 매개와 강의형은 수업환경에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넷째, 학년별 수업효과에 차이가 있었고, 저학년의 수업만족이 높았다. 이를 바탕으로 온라인 체육수업에서 학습자가 참여하고, 교육적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는 체육수업 다각화에 기여하길 기대한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권경임(2009), “온라인 영어·수업 학습 활동에 대한 학습자의 선호도와 학습 전략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 | 권아연(2021), “온라인 체육수업 학습분석을 통한 학습자 맞춤형 온라인 수업체제 탐색”,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3 | 김제연(2009), “중학교 학생들의 체육수업에 대한 만족도 조사”, 우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4 | 김진희·황두희·이상숙(2022), “Apriori 알고리즘을 활용한 학습자의 성별과 학교급에 따른온라인 수업 유형 선호도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20(1): 33-39. | 미소장 |
5 | 류진선(2004), 『교과별 콘텐츠 제작 지침 개발 연구(KR 2004-5),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미소장 |
6 | 박세원·김상목·김영식(2018), “가상현실(VR) 스포츠실을 활용한 ICT 융합 체육수업의 현황및 발전방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8): 1003-1025. | 미소장 |
7 | 손찬희·장혜승·김은영·김성미·이은주·조일현·정광식·김지현(2019), 『온라인 학습분석 기반맞춤형 교육지원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 미소장 |
8 | 심승보·김하영(2022), “비대면 체육수업 경험이 수업 만족도 및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ce』, 10(4): 169-178. | 미소장 |
9 | 손혁준·이옥선(2020), “중등 체육교사의 온라인 체육수업 지도양상과 영향 요인 탐색”, 『한국체육학회』, 59(6): 157-175. | 미소장 |
10 | 양선미(2007), “무용수업 재미와 수업만족 및 무용지속사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1 | 양희인·김성미·손찬희·이은철·서순식·이준·정영식·양혜경·김정혜(2015),『중둥교육에서의 학습권 제고를 위한 온라인수업 내실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 미소장 |
12 | 오광수(2022), “에듀테크(Edu-Tech)를 활용한 중학교 체육수업 건강영역 프로그램 개발및 적용에 따른 교육 효과 탐색”,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3 | 유혜강(2011), “중학교 학생들의 체육수업 중 표현 활동(무용) 단원의 만족도 및 선호도에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4 | 윤찬수·김현식(2021),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체육수업에서 고등학생의 교사 신뢰와 상호작용 및 학습만족의 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5(4): 123-134. | 미소장 |
15 | 이병임(2022),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수업내용의 질, 자기조절학습, 교수실재감을 중심으로”, 『인문사회21』, 13(2): 1159-1170. | 미소장 |
16 | 이상수·강정찬·이인자·황주연·이유나(2005), “웹기반 교육의 최근 연구동향에 대한 비판적분석”, 『교육공학연구』, 21(4): 229-254. | 미소장 |
17 | 이상진(2010), “고등학교 체육교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8 | 이쌍철(2017), 『2016 초·중등 이러닝 활성화(온라인수업 활성화)사업 결과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 미소장 |
19 | 이아름(2017), “초등학생의 방과후 표현활동영역 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체육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0 | 이충현(2009), “온라인 멀티미디어 영어교육 수업을 위한 효율적인 콘텐츠 유형과 수업, 학습 방안”, 『외국어교육연구』, 23(1): 103-134. | 미소장 |
21 | 임슬기·조욱상(2021), “초임 체육교사의 온라인 비대면 체육수업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6(5): 73-90. | 미소장 |
22 | 전인영(2013), “체조 및 티볼 수업이 중학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영향”,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3 | 정광희·장혜승·손찬희·김은영·서재영·이쌍철·조영환·남창우·김지현(2018), 『중등교육 온라인 개방형 교육체제 구축 방안: 교육기회 보장을 위한 학력·수업인정 온라인 교육을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 미소장 |
24 | 정의석·최제영·박충식(2016), 『링크드 데이터 기반 학습 분석 플랫폼 구축 전략』,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미소장 |
25 | 조성호·정순영(2004), “e-learning을 위한 동적 콘텐츠 구성 시스템”, 『정보과학회지』, 22(8): 50-56. | 미소장 |
26 | 조용길(2004), “가상대학 현황 및 콘텐츠 개발”, 『산업경영연구』, 27(2): 231-255. | 미소장 |
27 | 주영주·김서령(2006), “혼합형 학습에서 교사의 역할에 관한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 분석”, 『초등교육연구』, 19(1): 105-127. | 미소장 |
28 | 최자경(2002), “대학생의 교양체육에 대한 인식과 수업만족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9 | 최혜길(2008), “SCORM 기반의 온라인 교육 IT 표준 컨텐츠 개발 및 운영에 관한 연구”, 『전자공학회논문지』, 45(3): 7-14. | 미소장 |
30 | 한수연(2021), “실시간 원격 화상수업에서 대학생이 인식하는 교수실재감이 수강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실재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35(5), 177-189. | 미소장 |
31 | Baron, R. M., & D. A. Kenny(1986), “The moderate-mediator vari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 미소장 |
32 | Borup, J.,Graham, C. R.,& J. S. Drysdale(2014), “The nature of teacher engagement at an online high school”,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45(5):793-806. | 미소장 |
33 | Nunnally, J. C., & I. H. Bernstein(1994), “The Assessment of Reliability”, 『Psychometric Theory』, 3: 248-292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9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