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글은 2013년에 발간된 『민중사를 다시 말한다』 이후 10여 년 간 제출된 민중사 연구 가운데 19세기 말~20세기 초의 시기를 다룬 연구들을 살펴본 것이다. 또 이 시기의 민중사 연구성과 가운데 다음 두 가지 문제의식과 관련이 있는 논저들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첫째, 근대비판 내지 근대의 상대화와 관련된 연구들이다. 둘째, 민중 구성의 다양성을 드러낸 연구, 그리고 다양한 정체성을 가진 민중들 간의 연대라는 문제의식과 연결되는 연구들이다. 이상의 두 가지 문제의식을 중심으로 검토하는 것은 『민중사를 다시 말한다』에서 제시한 문제의식의 핵심이 이 두 가지였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글에서는 먼저 이러한 문제의식을 담고 있는 대표적인 연구성과들의 내용과 연구사적 의미를 소개하고, 이어서 각 연구들에 대한 필자의 생각을 간단히 정리함으로써 향후 한 걸음 더 진전된 연구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새로운 연구 방법을 통해 기왕의 연구와는 다른 민중상을 그리고 있는 연구들이 적지 않았다. 그러나 민중과 근대를 어떤 관계 속에서 바라볼 것인가 하는 점과 민중을 구성하는 다양한 목소리들이 연대하는 조건이나 연대의 과정에서 보이는 또 다른 가능성에 대해서는 좀 더 깊은 고민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새로운 민중사’ 이후 민중사 연구의 진전을 위하여 : For the advancement of the study of people's history after the new people's history : around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 19세기 말~20세기 초를 중심으로 배항섭 p. 17-66

마이너리티 역사, 민중사의 새로운 혁신인가 해체인가? = Minority history : an innovation or a deconstruction of people’s history? 소현숙 p. 67-102

식민지시기 산림이용권을 둘러싼 갈등과 그 성격 = The conflict and characteristics of forest use rights in the colonial period 김태현 p. 103-135
1920년대 중·후반 식민지 조선의 ‘사적 유물론’ 전개 과정에서 ‘발전(發展)’과 ‘정체(停滯)’의 관계성 =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 of “development” and “stagnation” in the acceptance process of “historical materialism” in colonial Joseon during the late 1920s : ‘발전’과 ‘모순’·‘봉건’ 개념을 중심으로 김명재 p. 259-297
1920년대 후반~1930년대 중반 조선총독부의 주택 공급 조성과 자가 확대의 이면 : The hidden sides of housing supply and expanding homeowners under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the late 1920s and middle 1930s : with a focus on Gyeongseong area / 경성 지역을 중심으로 이명학 p. 299-337
군 자료를 통해 본 한국군의 창설과 변화 : The establishment and change of Korean Army based on military data : with the constabulary and the army at the center / 국방경비대·육군을 중심으로 노영기 p. 377-413

일제시기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 학생의 진학과 진로 = Admission and career path of students of Keijo-Jeil Secondary School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임이랑 p. 207-257

오키다이토섬의 일본군 위안소 = Comfort station in Oki Daito Island 하종문 p. 339-376

참고문헌 (6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데이비드 하비, 최병두 옮김, 『신자유주의 : 간략한 역사』, 한울, 2007. 미소장
2 마루야마 마사오, 김석근 옮김, 『일본정치사상사연구』, 한길사, 1995. 미소장
3 마크 피셔, 박진철 옮김, 『자본주의 리얼리즘 : 대안은 없는가』, 리시울, 2018. 미소장
4 미야지마 히로시 외, 배항섭 엮음, 『동아시아의 근대 장기지속으로 읽는다』, 너머북스, 2021. 미소장
5 박헌호·류준필 편집, 『1919년 3월 1일에 묻다』,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9. 미소장
6 사단법인 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 『동학농민혁명과 농민군 지도부의 성격』, 서경출판사, 1997. 미소장
7 역사문제연구소 민중사반, 『민중사를 다시 말한다』, 역사비평사, 2013. 미소장
8 윤해동, 『식민지의 회색지대 : 한국의 근대성과 식민주의 비판』, 역사비평사, 2003. 미소장
9 정병욱, 『식민지 불온열전』, 역사비평사, 2013. 미소장
10 정병욱, 『낯선 3·1운동』, 역사비평사, 2022. 미소장
11 제임스 C. 스콧, 전상인 옮김, 『지배, 그리고 저항의 예술 : 은닉 대본』, 후마니타스, 2020. 미소장
12 조경달, 박맹수 옮김, 『이단의 민중반란』, 역사비평사, 2008. 미소장
13 조경달, 허영란 옮김, 『민중과 유토피아』, 역사비평사, 2009. 미소장
14 조 굴디, 데이비드 아미티지, 안두환 옮김, 『역사학 선언』, 한울, 2018. 미소장
15 조오지 뤼데, 박영신·황창정 옮김, 『이데올로기와 민중의 저항』, 현상과 인식, 1993. 미소장
16 토니 주트, 김일년 옮김, 『더 나은 삶을 상상하라』, 플래닛, 2011. 미소장
17 한국역사연구회, 『1894年 농민전쟁연구 5』, 역사비평사, 1997. 미소장
18 한국역사연구회 3·1운동100주년기획위원회 엮음, 『3,1운동 100주년총서』(전 5권), Humanist, 2019. 미소장
19 기유정, 「식민지 군중의 ‘길거리 정치’와 식민자의 공포(1920~1929)」, 한국역사연구회 3·1운동100주년기획위원회 엮음, 『3·1운동 4. 공간과 사회』, Humanist, 2019. 미소장
20 김성보, 「‘민중사학’ 아직도 유효한가」, 『역사비평』 14, 역사비평사, 1991. 미소장
21 김엘리, 「정체성의 정치에서 횡단의 정치로: 『젠더와 민족』」, 『아시아여성연구』 52-1,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3. 미소장
22 김이경, 「일제하 한국 협동조합운동의 형성과 전개: 개념·주체·연대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논문, 2022. 미소장
23 김정인, 「기억의 탄생: 민중 시위 문화의 근대적 기원」, 『역사와 현실』 74, 한국역사연구회, 2009. 미소장
24 김태현, 「식민지시기 산림이용권을 둘러싼 갈등과 그 성격」, 『역사문제연구』 48, 역사문제연구소, 2022. 미소장
25 김헌주, 「후기의병의 사회적 성격에 관한 연구」, 고려대 한국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18. 미소장
26 도면회, 「3·1운동 원인론에 관한 성찰과 제언」, 한국역사연구회 3·1운동100주년기획위원회 엮음, 『3·1운동 1. 메타역사』, Humanist, 2019. 미소장
27 배성준, 「3·1운동의 농민봉기적 양상」, 박헌호·류준필 편집, 『1919년 3월 1일에 묻다』,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9. 미소장
28 배항섭, 「현행 고등학교 근현대사 교과서 서술에서 보이는 민중상」, 『한국사연구』 122, 한국사연구회, 2003. 미소장
29 배항섭, 「‘등신대’의 민중상으로 본 동학농민전쟁-조경달, 『이단의 민중반란: 동학과 갑오농민전쟁』」, 연세대학교 현대한국학연구소 편, 『해외한국학평론』 4, 일조각, 2006. 미소장
30 배항섭, 「근대를 상대화하는 방법: 민중사에서 바라보는 근대」, 『역사비평』 88, 역사비평사, 2009. 미소장
31 배항섭, 「19세기 후반 민중운동과 公論」, 『한국사연구』 161, 한국사연구회, 2013. 미소장
32 배항섭, 「19세기 향촌사회질서의 변화와 새로운 공론의 대두: 아래로부터 형성되는 새로운 정치질서」, 『조선시대사학보』 71, 조선시대사학회, 2014. 미소장
33 배항섭, 「동학농민전쟁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내재적 접근」, 『역사비평』 110, 역사비평사, 2015. 미소장
34 배항섭, 「‘탈근대론’과 근대중심주의」, 『민족문학사연구』 62,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6. 미소장
35 배항섭, 「1880~90년대 동학의 확산과 동학에 대한 민중의 인식-유교 이념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보』 77, 조선시대사학회, 2016. 미소장
36 배항섭, 「‘근세’ 동아시아의 直訴와 정치문화」, 『역사비평』 117, 역사비평사, 2016. 미소장
37 배항섭, 「동학농민전쟁의 사상적 기반과 유교」, 『역사학보』 236, 역사학회, 2017. 미소장
38 배항섭, 「방법으로서의 '동아시아사' 연구와 새로운 역사상의 모색-근대중심주의 (modernocentrism) 비판과 트랜스히스토리칼(transhistorical)한 접근-」, 『대동문화연구』 112,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0. 미소장
39 백승종, 「식민지의 일상, 지배와 저항의 함수」, 『역사비평』 107, 역사비평사, 2014. 미소장
40 변은진, 「전시체제기 전북지역 비밀결사운동의 세대별 양상과 민주주의」, 『전북사학』 57, 전북사학회, 2019. 미소장
41 소현숙, 「식민지 조선에서 ‘불구자’ 개념의 형성과 그 성격」, 『한국학논총』 48,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미소장
42 소현숙, 「마이너리티 역사, 민중사의 새로운 혁신인가 해체인가?」, 『역사문제연구』 48, 역사문제연구소, 2022. 미소장
43 이경원, 「교조신원운동기 동학지도부의 유교적 측면에 대한 고찰」, 『역사연구』 19, 역사학연구소, 2010. 미소장
44 이동수·정화열, 「횡단성의 정치: 소통정치의 조건」, 『한국정치연구』 21-3,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2. 미소장
45 이영호, 「1894년 농민전쟁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변혁주체의 성장」, 한국역사연구회, 『1894년 농민전쟁연구』 1, 역사비평사, 1991. 미소장
46 이용기, 「한국 근대 지역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 『청람사학』 24, 청람사학회, 2015. 미소장
47 이용기, 「식민지기 농촌 지역사회의 중첩된 시간-‘전통적인 것’의 향방과 함의」, 『대동문화연구』 96,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6. 미소장
48 장원아, 「1920년대 보천교의 활동과 조선사회의 대응」, 서울대국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3. 미소장
49 정병욱·이혜령·조형근·이기훈·장신, 「‘불온’한 자들의 삶, 어떻게 역사로 이야기할 것인가-정병욱 저, 『식민지 불온열전』, 역사비평사, 2013」, 『역사문제연구』 31, 역사문제연구소, 2014. 미소장
50 지수걸, 「1894년 ‘공주대회전’ 시기의 ‘공주 확거·고수’ 전술과 ‘호서도회(湖西都會)’ 개최 계획」, 『역사문제연구』 33, 역사문제연구소, 2015. 미소장
51 지수걸, 「『酒幕談䕺』의 사료가치와 읽기 방법」, 송충기, 지수걸 외, 『(1910년대 일제의 비밀사찰기) 酒幕談䕺 : 공주를 주막에서 엿듣다』, 공주: 공주대학교 공주학연구원, 2017. 미소장
52 허 수, 「교조신원운동기 동학교단과 정부 간의 담론투쟁-유교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근현대사연구』 66, 한국근현대사학회, 2013. 미소장
53 허영란, 「지방사를 넘어, 지역사로의 전환-한국 근대 지역사 연구의 현황과 새로운 모색-」, 『지방사와 지방문화』 20-2, 역사문화학회, 2017. 미소장
54 허영란, 「3·1운동의 네트워크와 조직, 다원적 연대」, 『사학연구』 132, 한국사학회, 2018. 미소장
55 홍동현, 「1894년 ‘東徒'의 농민전쟁 참여와 그 성격」, 『역사문제연구』 20, 역사문제연구소, 2008. 미소장
56 홍동현, 「1894년 동학농민군의 향촌사회내 활동과 무장봉기에 대한 정당성 논리–경상도 예천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 32, 역사문제연구소, 2014. 미소장
57 牧原憲夫, 「書評 国民国家における重層性と相互浸透をめぐって-『世紀転換期の国際秩序と国民文化の形成』〔西川長夫·渡辺公三 編〕を読んで」, 『立命館言語文化研究』 12-2, 立命館大学国際言語文化研究所, 2000. 미소장
58 趙景達, 「甲午農民戰爭の指導者=全琫準の硏究」, 『朝鮮史叢』 7, 朝鮮史叢編集委員会, 1983. 미소장
59 趙景達, 「政治文化の變容と民衆運動-朝鮮民衆運動史の立場から」, 『歷史學硏究』 859(增刊號), 2009. 미소장
60 戶邊秀明, 「‘민중사상사’ 연구의 출발-야스마루 요시오(安丸良夫)의 방법적 혁신」, 도면회·윤해동 엮음, 『역사학의 세기: 20세기 한국과 일본의 역사학』, 휴머니스트, 2009. 미소장
61 Bae, Hang seob, “Foundations for the Legitimation of the Tonghak Peasant Army and Awareness of a New Political Order”, Acta Koreana , vol.16, no.2(December 15), 2013. 미소장
62 Keith Michael Baker, “Introduction”, K. M. Baker et al., The Political Culture of the Old Regime(The French Revolution and the creation of modern political culture , v. 1), Oxford: Pergamon Press, 1987. 미소장
63 「東匪討錄」, 『韓國民衆運動史資料大系』 1, 여강출판사, 1986. 미소장
64 『駐韓日本公使館記錄』 1, 국사편찬위원회, 1986. 미소장
65 『동학농민혁명사료총서』 10, 사운연구소, 2006. 미소장
66 『동학농민혁명 신국역총서 11』,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2019.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