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몸, 춤 그리고 춤 만들기에 대한 일 고찰 = A study of soma, dance and making dance / 한혜주 ; 조기숙 1

국문초록 1

Ⅰ. 서론 2

1.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2

1.2. 연구범위 및 방법 3

Ⅱ. 몸과 춤 3

2.1. 몸이란 무엇인가 3

2.2. 춤이란 무엇인가 8

Ⅲ. 춤 만들기 12

3.1. 춤 만들기의 이해 12

3.2. 새로운 춤 만들기 방식 14

Ⅳ. 결론 16

참고문헌 18

ABSTRACT 19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행화적 인지로 고찰한 뷰포인트 배우 훈련 = The viewpoints training examined by enactive cognition 이곤 p. 1-24

보기
창작자(Creator)로서의 배우 양성을 위한 훈련법 연구 : A study on the methodology for training actor as a creator : focusing on Exercises of Anne Bogart's composition / 앤 보가트의 컴포지션(Composition)응용 훈련을 중심으로 정은영 p. 25-47

보기
경극(京劇)의 공간적 특성과 표현양상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patial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 patterns of Beijing opera 이선진 p. 49-68

보기
'환상'모티프의 연극성에서 본 관객의 전이체험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transition experience pattern of the audience from the dramatic characteristics of the 'illusion' motif 김현정 p. 69-86

보기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영화에서 나타나는 반사성 이미지를 통한 욕망의 시각화 연구 = A study on visualization of desire through reflective images in the films of Bernardo Bertolucci 박성환 p. 87-113

보기
중국 연극 교육의 현황과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 Research on the present situation and development of Chinese drama education : based on Henan Province universities drama / 허난성 고교 연극을 중심으로 지아오지에 p. 115-138

보기
포스트 뮤지엄 : 럭셔리 패션 브랜드를 문화콘텐츠로 향유하는 새로운 관객성 연구 : Post museum : new spectatorship enjoys luxury fashion brand as cultural contents : focused on <Legendary Louis Vuitton Trunk Exhibition> and <Gucci Garden Archetype: An Absolute Archetype Exhibition> / <레전더리 루이비통 트렁크 展>, <구찌 가든 아키타이프: 절대적 전형>을 중심으로 박성연 p. 139-170

보기
생산요소 가격의 변화와 드라마 제작시장의 진화 = Increase in the number and price of production factors due to changes in the drama production market 노동렬 p. 171-196

보기
대중음악 확산 의미와 한류문화의 중요성 = The meaning of popular music spread and the importance of Korean wave culture 최태선 p. 197-211

보기
한·중 선종(禪宗) 애니메이션의 의경(意境) 미학 연구 : A study of the mood aesthetics of Korean and Chinese Zen animations : with the Korean animation Oseam and the Chinese animation Feelings of Mountains and Waters as examples / 한국 애니메이션 <오세암>과 중국 애니메이션 <산수정(山水情)>을 중심으로 오호, 증사사, 양종훈 p. 213-238

보기
한·중 문학의 희곡 창작화 위한 서사구조비교 고찰 : A comparative study on narrative structures for the creation of a play from Korean-Chinese literature : focused on the Utopias in CheongHakDong-Gi by Lee In-ro and DoHwaWon-Gi by Do Yeon-myeong / 이인로 <청학동기>와 도연명 <도화원기>의 낙토(樂土)를 중심으로 손대환 p. 239-259

보기
진실한 사건을 바탕으로 각색한 한중 영화의 서사 전략 비교 분석 : A comparative analysis of narrative strategies of Korean and Chinese films based on real events : focused on Escape From Mogadishu and Operation Red Sea / <모가디슈>와 <오퍼레이션 레드 씨>를 중심으로 문사강, 양종훈 p. 261-282

보기
몸, 춤 그리고 춤 만들기에 대한 일 고찰 = A study of soma, dance and making dance 한혜주, 조기숙 p. 283-301

보기

참고문헌 (1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Caldwell, C. 저, 김정명, 신금옥, 황미정 옮김(2020). Bodyfulness: Somatic Practices for Presence, Empowerment, and Waking Up in This Life. 한울 출판사. 미소장
2 Fraleigh, S.(1996). Dance And The Lived Body.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미소장
3 Hanna, J.(1988). DANCE, SEX and GENDER.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미소장
4 Hanna, T.(1980). The Body of Life. New York: Alfred A. Knopf. 미소장
5 Hayes, J.(2008). Performing the Dreams of Your Body. ARCHIVE PUBLISHING Wimborne, England. 미소장
6 조기숙(2017). 소마 춤에서 몸과 소통: SCL '움직임을 통한 경청과 소통실습'을 중심으로. 무용역사기록학, 44, 275-300. 미소장
7 조기숙(2011). 일과 춤, 경영과 공연의 상호관계에 관한 고찰–몸학(Somatics)을 중심으로.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3, 155-173. 미소장
8 조기숙(2009). 주체적인 몸 살아있는 춤-몸학에 기반한 안무방식에 대한 탐구. 대한무용학회학회지, 61, 259-276. 미소장
9 Hanna, T.(2003.04.). What is Somatics? Somatics, 2003-04 Fall/Winter, 48-50. 미소장
10 McLeod, S.(2020). Dance improvisation through Authentic Movement: A practice of discernment. Journal of Dance & Somatic Practices, 12(2), 191-205.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