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논문에서는 한국전쟁기 피란수도 부산에서 펼친 전시음악사회의 활동을 실증적으로 고찰하였다. 개항도시 부산은 근대계몽기부터 문화적 자산을 구축해 왔으며, 해방 이후 다양한 음악활동을 통해 지역 음악사회를 형성해 나갔다. 한국전쟁은 문화의 지역재편을 통해 부산음악이 한 단계 더 도약하는 계기로 작용하였다. 부산음악인의 피란음악인에 대한 후원은 전시음악활동의 기반으로 작용했다. 전시음악사회의 형성과 전개 과정에서 부산음악사회의 재편도 가파르게 이루어졌다. 해방기 부산음악사회에서 큰 비중을 차지했던 교사-음악가와 아마추어 음악인들의 활동은 전쟁기 이후 쇠퇴하였으며, 일부 음악인은 반공 이데올로기의 칼날에 희생되기도 했다. 전후 부산에 잔류하거나 부산으로 이주한 음악인을 중심으로 부산음악사회가 새롭게 형성되었으며, 금수현, 윤이상, 배도순, 김점덕 등은 서울에서 활동 영역을 확장해 나갔다.

전중기 결성한 전시작곡가협회와 실험악회의 활동을 실증적으로 고찰한 결과, 창작활동의 다각화를 추구하고 음악의 본질적 가치를 모색하는 새로운 실험을 시도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전중기 음악은 반공주의와 국가주의의 자장 안에서 전시문화전선의 구축에 동원되는 한편 음악의 내적 가치를 추구하는 활동을 함께 전개한 셈이다. 이 연구를 통해 피란음악인이 전후 부산음악사회의 성장을 일방적으로 견인했다고 보는 기존의 관점에서 벗어나 부산음악인들과 피란음악인들의 상호교류와 협력을 통해 전시음악사회를 형성하고 활동을 전개해 나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이제껏 단체명만 거론되었던 전시작곡가협회와 실험악회의 결성 동기, 구성원, 활동 양상을 실증자료를 통해 규명함으로써 전시 부산음악의 실체를 해명할 수 있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전쟁기 피란수도 부산과 전시음악사회 = Wartime music society in Busan during the Korean War 남영희 p. 5-46

신무용과 부산 = New dance and Busan 박소윤 p. 47-85

피란수도기 부산의 한국화단, 담론을 위한 신문 기사 = Korean art in the wartime capital of Busan, the journal articles for the proposal for discourse 정종효 p. 87-118

沈彦光의 屈原 楚辭에 대한 이해 : A study on Shim Eon-gwang(沈彦光)'s acceptance of Qu Yuan(屈原) cho-sa(楚辭) : focus on 「Chaisogyeong(次離騷經)」 / 「次離騷經」을 중심으로 장종오 p. 119-152

영남 『소학』의 기풍 : The ethos of Yeongnam Sohak-study on Sohakhupyeon of Yu Hwi-moon / 유휘문의 『소학후편』 연구 박순남 p. 153-192

부산 기장군 토박이 해녀의 전통성과 지역성 : A study on tradition and locality of land-born Haenyeo in Gijang area : focusing on the late Joseon Dynasty / 조선후기를 중심으로 황경숙 p. 193-225

1920~30년대 궈모뤄(郭沫若) 작품의 번역과 그 의미 = Translation and significance of Guo Moruo(郭沫若)'s works during 1920s and 1930s 곽윤청 p. 227-259

일제강점기 남해지역 소년문예운동과 아동문학 연구 = A study on the juvenile literary movement and the juvenile literature in Namhae a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박경수 p. 261-318

한국 모더니즘 소설의 형성과 서양 고전음악의 의미 = Korean modern novels and Western classical music : 디지털 인문학 방법론을 통한 탐색 권은 p. 319-352

중국에서 윤봉길 사건의 주제의식 변천 연구 = A study on the narrative appearance of Yun Bong-gil's event in China 박혜진, 박설매 p. 353-382

해방기 신정언과 김동인의 활약상과 그 행방 : The activities and whereabouts of Shin Jeong-eon and Kim Dong-i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 liberation and Yadamers. 1 / 해방과 야담(작)가들. 1 공임순 p. 383-419

제주도 최초의 잡지 『신생』 연구 = A study on Jeju Island's first magazine 『Shinsaeng(New Life)』 김동윤 p. 421-450

1950년대 김수영과 김춘수 시의 헤테로토피아 = Heterotopia revealed in poems by Kim Soo-Young and Kim Chun-Soo in the 1950s 김지율 p. 451-486

김수영 시에 나타난 ‘집’과 ‘길’의 현장성 = The siteness of ‘house’ and ‘road’ in Kim Soo-yeong’s poetry 이승규 p. 487-516

선우휘 소설에 나타난 '아시아·태평양 전쟁' 인식 : Perception of 'Asia-Pacific War' in Sun Woo-hwi's short stories : focusing on 「Flame」 and 「Apocalypse」 / 「불꽃」과 「묵시」를 중심으로 이명원 p. 517-552

미감아(未感兒), 도래하지 않은 미래의 폭력 = Migam-a(未感兒), violence in the future that has not arrived 오현석 p. 553-586

순수한 자유에 도달하는 길 : A path to pure liberty : focusing on Lee Chung-joon's 1980s works / 이청준의 198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노태훈 p. 587-613

탈-가족 서사와 애도의 가능성 : Expansion of the family narrative and the trap of the bereaved family : based on the novel of the Sewol Ferry / 세월호 관련 소설을 중심으로 김영삼 p. 615-665

참고문헌 (5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금수현, 『나의 시대 70』, 월간음악출판부, 1989. 미소장
2 박두석, 『부산의 예술문화』, 부산일보사, 1991, 53쪽. 미소장
3 부산고등학교 60년사 편찬위원회, 『부산고등학교 60년사』, (주)윤일커뮤니케이션, 2005. 미소장
4 부산발전연구원 부산학연구센터, 『피란수도 부산의 문화예술』, 2015. 미소장
5 부산일보사 엮음, 『임시수도천일』, 부산일보사, 1985. 미소장
6 부산직할시사편찬위원회, 『부산시사』 제4권, 1991. 미소장
7 유치환, 『보병과 더불어』, 문예사, 1951.9. 미소장
8 유치환, 『청마시집』, 문성당, 1954. 미소장
9 이강숙ㆍ김춘미ㆍ민경찬, 『우리 양악 100년』, 현암사, 2001. 미소장
10 이수자, 『내 남편 윤이상』 상, 창작과비평사, 1998. 미소장
11 이순욱 외 여럿, 『피란수도 부산의 문학풍경』, (재)부산발전연구원 부산학연구센터, 2018. 미소장
12 제갈삼, 『잊을 수 없는 음악인과 음악회』, 세종출판사, 2006. 미소장
13 제갈삼, 『초창기 부산음악사』, 세종출판사, 2004. 미소장
14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엮음, 『한국작곡가사전』, 시공사, 1999. 미소장
15 『文總創立과 文化運動十年小觀』, 전국문화단체총연합회, 1957.2. 미소장
16 『부산문학』 5집, 문협부산지부, 1973.8. 미소장
17 『영문』 제8집, 영남문학회, 1949.11. 미소장
18 김창욱, 「광복~한국전쟁기의 부산음악계: 부산지역 일간지를 중심으로」, 『항도부산』 제16호,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00, 278-346쪽. 미소장
19 김창욱, 「한국전쟁기 부산음악의 사회사」, 『음악학』 제8집, 한국음악학학회, 2001, 85-129쪽. 미소장
20 남영희, 「해방기 부산 음악사회의 동향과 연주단체」, 『지역과 역사』 제47호, 부경역사연구소, 2020, 285-325쪽. 미소장
21 남영희, 「김학성의 삶과 음악활동」, 『인문과학』 제122집,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199-243쪽. 미소장
22 남영희, 「해방기 김학성의 초등용 100곡집 『노래모음』과 노래의 정전화」, 『한국문학논총』 제88집, 한국문학회, 2021, 89-136쪽. 미소장
23 남영희, 『부산음악사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1. 미소장
24 남영희․이순욱, 「해방기 주한미군사령부 공보원 지역분관의 설립과 문화활동」, 『석당논총』 제30집,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0, 78-109쪽. 미소장
25 남영희․이순욱, 「해방기 부산 음악교육기관과 음악교육」, 『인문연구』 제97호,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211-247쪽. 미소장
26 원종찬, 「한국전쟁기 임시 교과서와 반공 아동문학: 『전시생활』․『소년기마대』․『새음악』의 반공 텍스트를 중심으로」, 『현대문학의 연구』 제64호, 한국문학연구학회, 2018, 285-320쪽. 미소장
27 이순욱, 「정전체제의 형성과 부산 지역 문학사회의 동향」, 『지역과 역사』제32호, 부경역사연구소, 2013, 37-65쪽. 미소장
28 제갈삼, 「한국전쟁기 부산음악의 실상: 음악인ㆍ음악단체ㆍ연주회장ㆍ감상실 등을 중심으로」, 『음악학』 제8집, 한국음악학학회, 2001, 131-184쪽. 미소장
29 조선우, 「부산현대음악사」, 『항도부산』 제14호,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1997, 65-104쪽. 미소장
30 조선우․이기정․김원명, 「부산음악사 서술을 위한 시론」, 『음악과 민족』제19호, 민족음악학회, 2000, 71-121쪽. 미소장
31 「70년대 문화점검 4. 음악」. 『동아일보』, 1978.9.12, 5면. 미소장
32 「문화소식」, 『부산일보』, 1952.10.24, 2면. 미소장
33 「뮤직클럽 연주회」, 『부산일보』, 1989.5.2. 미소장
34 「인사」, 『경향신문』, 1956.2.19, 1면. 미소장
35 「제7회 실험악회 배재중서 연주회」, 『경향신문』, 1953.11.24, 2면. 미소장
36 「집회」, 『동아일보』, 1952.11.2, 2면. 미소장
37 「프리마 트리오 제1회 연주회」, 『조선일보』, 1956.6.8, 4면. 미소장
38 오화섭, 「하나의 무시험지대-실험악회 협주곡의 밤」, 『동아일보』, 1956. 4.8, 4면. 미소장
39 윤용하, 「악단의 재건 음악」, 『경향신문』, 1952.1.2, 2면. 미소장
40 이성재, 「악단 상반기 실내악적 양식의 연주회」, 『경향신문』, 1957.7.25, 4면. 미소장
41 전봉초, 「실험악회」, 『조선일보』, 1956.6.18, 4면. 미소장
42 박형태, 「음악계의 뿌리와 맥」, 『산여울』 제7집, 부산전문대학, 1986. 미소장
43 방부원, 「해방에서 5·16까지의 부산음악계」, 『(팸플릿) 부산 원로음악가연주회』, 악천회 주최, 부산산업대 콘서트홀, 1985.6.11, 13-17쪽. 미소장
44 배도순, 「6․25와 나와 음악과-그 속에서의 연주활동」, 『월간음악』 1973년 6월호, 월간음악사. 미소장
45 윤이상, 「작곡계, 발흥기에 도달하였다」, 『음악』 1956년 4월호, 국민음악연구회. 미소장
46 이상근, 「상반기 부산악단」, 『예술집단』 창간호, 현대출판사, 1955.7. 미소장
47 이순욱 외 여럿, 「한국 사람이 아니면 쓸 수 없는 음악, 작곡가 이상근」, (재)부산문화재단, 2022. 미소장
48 한규동, 「해군정훈음악대약사」, 『정훈음악』 1권 8호, 1954.11. 미소장
49 『(팸플릿) Group A 제1회 발표연주회』, 남성여고 강당, 1958.12.20. 미소장
50 『(팸플릿) 이상근 작곡발표회』, 이화여대 강당, 1952.12.5. 미소장
51 『(팸플릿) 전시작곡가협회 제1회 작품발표회』, 남선여중 강당, 1951.7.7. 미소장
52 『(팸플릿) 제12회 부산뮤직클럽연주회』, 경성대 콘서트홀, 1991.12.23. 미소장
53 『(팸플릿) 제14회 실험악회연주회』, 배재강당, 1955.4.16.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