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나리(2016). 무용동작치료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스트레스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 | 김태련, 강우선, 김경은, 김도연, 김문주, 박랑규, 서수정, 양혜영, 이경숙, 장은진, 정은정, 조현섭, 허묘연(2010). 발달장애심리학, 학지사. | 미소장 |
3 | 류분순(2017). 무용동작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 미소장 |
4 | 문상준(2022). 팬데믹 상황의 아동 정서지원을 위한 비대면 무용/동작심리치료 효과성 검증,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5 | 문송이, 남현우(2022).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코로나19 전후 예술심리치료 연구 동향 분석, 문화와 융합 44, 209-234. | 미소장 |
6 | 신경림, 조명옥, 양진향 외(2017). 질적 연구 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 미소장 |
7 | 심영희(2016). 무용동작 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정서조절 능력과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8 | 유명선(2019). 무용/동작심리치료가 위기가정 청소년의 문제행동 감소와 면역세포 변화에 미치는 영향 : 가족치료사례연구, 무용동작심리치료연구 3(2), 5-27. | 미소장 |
9 | 이예슬, 신범철, 정양순(2021). 코로나19에 따른 학교 교육에서의 패러독스 현상, 교육학연구 59(1), 131-165. | 미소장 |
10 | 정재임(2021). 위드 코로나(With Corona) 시대의 무용동작치료의 방향 탐색: 국내․외 사례를 중심으로, 무용동작심리치료연구 5(2), 25-40. | 미소장 |
11 | 주현옥(2022).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부모애착관계가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호남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12 | 최주희, 남현우(2017). 시설보호 청소년의 음악치료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질적 연구, 예술심리치료연구 13(2), 181-202. | 미소장 |
13 | 최주희, 문송이, 남현우(2020). 언택트 사회의 예술심리치료 방향, 예술심리치료연구 16(4), 47-78. | 미소장 |
14 | 최준섭(2021). 코로나19 팬데믹 시대 1년, 초등학생의 내적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교육학연구 59(2), 159-189. | 미소장 |
15 | 하요상, 문가람(2022). 코로나(COVID-19)로 인한 비대면 학교생활에 적응하는 고경력 교사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3), 777-800. | 미소장 |
16 | 한명선(2014). 한국무용/동작치료가 다문화 아동의 사회성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7 | 한국교육평가원(2020). 국외 COVID-19 학교 교육 대처 방안 사례 분석을 통한 후속 추진 과제. | 미소장 |
18 | Atkins, S. S., 최애나, 이병국 역(2008). Expressive arts therapy, 통합적 표현예술치료-예술과 삶의 창조적 과정, 푸른솔. | 미소장 |
19 | Giorgi, A.(1997). The theory, practice, and evaluation of the phenomenological method as a qualitative research procedure, Journal of phenomenological psychology 28(2), 235-260. | 미소장 |
20 | Lakhani, P. K., Jain, K., & Chandel, P. K.(2017). School adjustment,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Social Sciences 7(10), 333-348.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